top of page


기자집담회 | '기후국가 10대 과제' 연재를 마치며
2025-06-12 김복연 기자 대선 기획 기후국가 10대 과제를 준비한 기자들이 한 자리에 모여 10주 동안의 취재에 대한 소회를 나눴다. 10대 과제는 10개의 다른 주제이기도 하다. 주 마다 숨차게 달려온 기자들이 바라본 진짜 '기후국가'의...
1


'시민형 AI'는 기술이 아니라 ‘절차적 정의’를 구현하는 새로운 사회적 장치
시민형 인공지능 민주주의, '시민형 AI'는 기술이 아닌 절차적 정의를 구현하는 새로운 사회적 장치이다. 지방자치의 다원적 이해관계와 숙의 과정에서 시민 참여를 확대하고자 하는 실험적 시도로, 기술과 민주주의의 접점을 탐색하고자 한다.
1


특별기고 정수근 | 새 대통령에게 바란다 | 강은 마지막 야생의 공간, 뭇 생명들과 함께 살아야
4대강 재자연화 필요성, 정수근이 새 대통령에게 바라는 바는 강의 자연성 회복과 야생생물 서식처 보호이다. 그는 4대강사업이 야생생물의 서식지를 파괴했으며, 이로 인해 강이 죽어가고 있다고 말한다. 새 정부가 강의 자연성을 되찾고 생태계를 보호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2


기획 | 남북 기후 협력 시작, ‘한반도 생물다양성 정보 플랫폼’ 구축으로
남북 생물다양성 협력, 남북 생물다양성 보전 협력을 통해 한반도 생명의 숨결을 지키고, 기후위기 대응과 평화 구축에 기여하고자 한다.
1


기획 | 기후위기 대응, 세계 지방정부의 선택
지방정부 기후위기 대응전략, 지방정부가 기후위기 대응의 핵심 주체가 되어야 한다는 주장. 유럽연합과 국제기구들이 강조하는 지방정부 주도의 기후정책 전환 사례를 소개하며, 실천력과 지역 맞춤형 대응을 높이기 위해서는 지방정부의 권한과 자율성이 필요하다고 설명한다.
1


기획 | 탄소감축정책, 중앙 중심에서 지방정부 중심으로 변해야
지방정부 탄소배출권 역할, 지방정부가 탄소중립을 위한 배출권거래제와 자발적 탄소시장의 실행자이자 설계자가 되어야 한다는 주장이다. 기업의 탄소 감축을 실질적으로 유도하고, 투명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중앙정부에서 지방정부로의 정책 전환이 필요하다고 말하고 있다.
1


기획 |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기후국가의 선택은?
후쿠시마 오염수 재협상 가능성,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해양 방류에 대한 국제법적 쟁점과 한국 정부의 대응 변화를 다루고 있다. IAEA의 안전성 평가에도 불구하고 국제사회의 반발이 계속되고 있으며, 한국 정부는 일본과의 재협상을 추진할 의지가 있다는 내용이다.
1


특별기고 | 정창현 | 기후위기 대응 나선 북한, 달라진 전략과 남북 협력의 길
북한 기후위기 대응전략, 북한이 기후위기 대응과 재해 방지를 국가적 과제로 격상시켜 정책 변화를 추진하고 있다. 특히 '위기대응법' 제정, 농업 작물 전환, 산림 녹화, 재생에너지 확대 등 다양한 정책을 통해 기후위기에 대응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1


기획 | 계통망 없는 에너지 전환은 전환이 아니다
에너지 전환 계통망 문제, 계통망 없이는 전환이 불가능하다. 재생에너지 확대에도 불구하고 계통망의 한계로 전기 낭비가 발생하고 있다. 선제적 계통 계획과 다각도의 정책 대응이 정의로운 에너지 전환의 핵심이다.
1


현장취재 | 윤여창 서울대 명예교수 | 보호구역의 생물다양성과 '생태계 서비스' 지불제
산림정책 생물다양성 보전,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쿤밍-몬트리올 글로벌 생물다양성 프레임워크'의 4대 목표와 국내 산림 정책의 한계, 시민사회 참여 부족 등 산림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정책 방향을 다루고 있다.
0


특집 | 농민 김현권, 7일간의 산불 현장을 기록하다
의성 산불 현장 기록, 의성 산불 현장을 기록한 농민 김현권의 7일간의 경험을 소개한다. 김현권은 가족과 이웃을 지키기 위해 발벗고 나섰으며, 산불 진화 과정에서 겪은 힘든 고군분투와 시사점들을 생생하게 전한다.
0


기획 | 한국인이 체감 못하는 ‘물 부족 국가’ 대한민국의 진실
한국 물부족 위기 현황, 한국은 물 스트레스 국가로, 연간 1인당 물 사용량이 세계 평균의 두세 배에 달한다. 수돗물 사용 외에 농축산물 생산을 위한 '보이지 않는 물'인 가상수 수입량도 세계 5위로 높아 식량·물 안보에 취약하다. 현실적인 물 관리
0


기획 | 식량 위기, 기후위기의 또 다른 이름
기후위기 식량안보 위기, 기후위기로 인한 식량안보 위기가 대두되고 있다. 국제 갈등과 기후변화가 농업 생산성을 저하시켜 전 세계적인 식량 부족 사태를 초래하고 있으며, 취약국가인 한국은 식량자급률 제고와 탄소중립 대응이 시급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1


기후위기와 과학기술 | 기후위기의 해법, 생체모방기술이 뜨고 있다
자연모방기술 기후위기 해결, 자연에서 영감을 얻어 개발한 자연모방기술은 지속가능한 혁신을 이끌며 기후위기 해결의 열쇠가 되고 있다.
0


현장취재 | 45년 만에 다시 열린 '대한민국 산주(山主)대회'
산주대회 산림 활용방안, 45년 만에 열린 '대한민국 산주대회'로 220만 산주들이 모여 숲의 미래를 논의하였다. 산림 경영 컨설팅으로 큰 호응을 얻었으며, 산주들이 기후 리더로서의 역할을 강조하였다.
0


현장취재 | 박승원 | 광명시가 기후위기 시대를 준비하는 법
광명시 탄소중립 정책, 광명시는 기후위기 시대에 대응하기 위해 전 부서가 참여하는 탄소중립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교육과 시민 참여를 통해 탄소중립 실천을 확산하고, 시민 주도의 에너지전환과 지속가능한 경제 생태계를 만들어가고 있다.
0


기획 | 세계는 지금 태양광으로 에너지 전환 중
글로벌 에너지 전환 정책, 파리기후협정 이후 전 세계적으로 에너지 전환이 주요 과제로 대두되었다. 주요국의 탄소중립 목표와 다양한 에너지 전환 정책 동향을 살펴보며, 한국의 과제와 에너지 전환을 위한 정부의 투자와 결단이 필요하다.
0


기획 | 신인아 디자이너 | '기후대응 이의있음' 캠페이너
디자인으로 기후위기 해결, 디자이너 신인아가 기후 위기 해결을 위해 비영리단체와 협업하며 디자인의 역할을 실험하고 있다. 디자인이 사회적 변화의 과정이 될 수 있도록 관계 맺기와 참여를 이끌어내는 새로운 방식을 모색하고 있다.
0


기획 | AI의 두 얼굴, 지속가능한 기술로 나아가야
2025-02-05 이담인 기자 인공지능(AI) 기술이 급격히 진화함에 따라 AI 관련 산업이 에너지 소비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새로운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대규모 언어 모델(LLM)과 같은 생성형 AI의 개발 및 운영 과정에서 막대한 전력이...
0


기획특집ㅣ플라스틱의 모든 것
2025-01-24 황희정 기자 @pexels 코끼리 상아를 대체하다 플라스틱은 현대 사회를 상징하는 소재로 가볍고, 저렴하고, 다재다능하다. 플라스틱(plastic)은 그리스어로 ‘쉽게 원하는 모양으로 가공할 수 있다’라는 의미의...
0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