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현장취재ㅣ기후 위기 대응 탄소제로숲 조성을 위한 국제심포지엄
이유경 기자, 김진아 영상기자 2024-05-16 2024년 5월 14일, 고양시 일산서구청 대강당에서 ‘탄소제로 도시를 향한 고양시의 비전을 모색하다’라는 주제로 국제 심포지엄이 열렸다. 탄소제로숲고양네트워크 이은형 상임대표의 환영사와 김동연...


김정인ㅣ중앙대학교 명예교수ㅣ탄소경제가 개인에게도 이득임을 알려가야
이유경 기자 2024-05-15 1985년 중앙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한 뒤, 위스콘신대학교에서 자원경제학 석사학위를 받고 미네소타대학교에서 환경경제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 국무총리실 녹색성장위원회의 위원, 한국환경정책학회 이사로...


박현 | 서울대학교 객원교수ㅣ인류가 살아남기 위한 대안
황희정 기자 2024-05-09 박현 교수는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산림자원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산림자원학과 산림생태학 석사, 위스콘신대학교 토양학과 토양생태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4년부터 2023년 2월까지 국립산림과학원에서...


박진희의 먹거리 정의ㅣ탄소중립 농산촌 기업은 탄생 가능할까?
박진희 2024-05-03 박진희 로컬의 지속가능성 활동가 (재)장수군애향교육진흥재단 사무국장 초록누리 협동조합의 이사장 역임 한국농어민신문, [박진희의 먹거리 정의 이야기] 연재 창업을 지원하는 사업은 많다 농산어촌에 살다 보면 창업의...


액티비티 | 장동용ㅣ시흥갯골사회적협동조합ㅣ모든 것에 감동하라, 그리고 행하라
황희정 기자, 김동혁 영상기자 2024-04-25 장동용은 1998년부터 2003년까지 시흥환경운동연합 사무국장을 맡았다. 시화호 문제 발생 후 시화공단의 대기 개선 해결에 앞장서서 시민단체 운동을 주도했다. 시화호 북측 317만평(현...


특별취재 | 국내 첫 기후소송 공개변론장을 가다
정부의 기후 대응 계획이 국민의 기본권을 침해하는지 여부를 논의하기 위한 헌법재판소의 공개변론이 시작됐다. 지난 2024년 4월 23일 종로구 헌법재판소 앞에는 로이터통신 등 외신들과 일반 시민들로 북적거렸다. 오후 2시에 시작한 공개변론은...


인터뷰 | 김은수 | 과학은 늘 시험대에 오른다, 『스켑틱(SKEPTIC)』
홍석근 기자 2024-04-18 『스켑틱』 한국어판을 이끌고 있는 바다출판사의 김은수 기획편집부 팀장. 사진_ 바다출판사 제공 한국 사회는 과학적 인식과 전통적 관념 사이 어딘가에서 행진 중이다. 우리 사회의 과학적 인식과 태도의 변화를...


액티비티 | 최명애 인류학자 | 생태전환도시포럼: 인간 너머의 생태화
송민경 기자 2024-04-09 지난 3월 29일, 서울환경연합에서 진행하는 '제1차 2024 생태전환도시포럼: 인간 너머의 생태화하는 인간'이 개최되었다. 연세대학교 문화인류학과의 최명애 교수가 '야생의 도시: 도시 동물과 재야생화'를 주제로...


액티비티 | 도시양봉가 박진 | 도시로 온 꿀벌들
송민경 기자 2024-04-09 도시 곳곳에 세워진 빌딩의 옥상과 공원에서 특별한 소리가 울려 퍼지고 있다. 꿀벌의 날개짓 소리다. 도시 한복판에서 벌을 키우는 이들이 있다. 그 중심에 '어반비즈서울' 박진 대표가 있다. 불문학을 전공한 그는...


액티비티 | 동물복지활동가 최혁준 | 존재 그 자체에 다가가기 위하여
이유경 기자, 김동혁 영상기자 2024-04-09 최혁준은 '전시 동물' 복지 활동가이며 ‘곰 보금자리 프로젝트’ 활동가다. 태어날 때부터 동물을 사랑했다. 돌 사진도 호랑이 인형 위에서 찍었다. 처음 배운 한글도 ‘엄마, 아빠, 가나다라’가...


김레베카 | 가로수에 대한 인간의 예의
송민경 기자 2024-04-04 김레베카는 불문학을 전공하고 2000년대 초반부터 시민운동에 동참했다. 2011년부터 ‘4대강 사업’을 계기로 환경운동에 뛰어들었다. 뒤늦게 시작한 사회학 박사과정과 현장경험을 통합해 환경사회학자의 길을 걷고...


액티비티 | 엄삼용 | 동강은 최고의 선물입니다
이유경 기자, 김동혁 영상기자 2024-04-03 동서강보존본부 엄삼용이사는 강원도 정선에서 나고 자랐다. 영월에 댐이 지어진다는 소식을 듣고 처음 동강을 찾았다. 늘 곁에 있어서 미처 인식하지 못했다. 동강은 너무나도 아름다운 곳이었다....


박진희의 먹거리 정의ㅣ식품의 쓰레기화 막는 사회로 나아가야
박진희 2024-03-27 박진희 로컬의 지속가능성 활동가 (재)장수군애향교육진흥재단 사무국장 초록누리 협동조합의 이사장 역임 한국농어민신문, [박진희의 먹거리 정의 이야기] 연재 우리는 음식물 쓰레기의 생산자 지난 2021년...


특별취재 | 세계 제로 웨이스트의 날 (ZERO WASTE)
송민경 기자 2024-03-27 2023년부터 시작된, 세계 제로 웨이스트의 날은 자원의 재사용과 재활용을 촉진하며, 지속가능한 생활 방식을 장려하는 일에 초점을 맞춘다. 이 날은 지구의 한정된 자원을 보호하고 환경오염을 줄이기 위한 국제적인...


택배 쓰레기, 지구를 덮치다
이유경 기자 2024-03-27 2015년 미국에서 매립된 쓰레기의 절반은 ‘음식물 포장 배달’로 인한 쓰레기였다. 중국에서 택배 포장에 쓰인 테이프 길이는 17만㎞로, 지구를 425바퀴나 감을 수 있다. 2020년 기준, 중국이 한 해 배출하는...


현장취재 | 종이팩 컬렉티브 정책포럼
황희정 기자, 김동혁 영상기자 2024-03-26 2024년 3월 21일, 서초구 소재 (재)숲과나눔 강당에서 <초록열매 종이팩 컬렉티브 정책포럼>이 열렸다. 숲과나무, 사랑의열매, 기후변화행동연구소가 진행하는 것으로 이번 여섯번째 포럼의...


특별기고 | 어스아워(Earth hour)
김우성 생태정치포럼 운영위원장 2024-03-26 어스아워, 전등을 끄고 생명의 빛을 켜는 한 시간 2024년 3월 23일 토요일 저녁 8시 30분, 우리 집 거실의 전등이 꺼졌습니다. 다른 많은 곳의 전등도 함께 꺼졌습니다....


생태포럼 | 나무는 일반쓰레기입니다
나무는 일반쓰레기입니다 우리는 아낌없이 주는 나무에 관한 이야기를 듣고 자랐습니다. 나무는 우리에게 열매를 주고, 땔감을 줍니다. 나무로 집도 짓고, 가구도 만들고, 악기도 만들 수 있습니다. 우리 주변의 다양한 공예품과 장난감은 나무로...


이의철ㅣ전문의ㅣ기후위기와 기후미식
황희정 기자 2024-03-20 이의철은 직업환경의학 및 생활습관의학 전문의다. 14년 전부터 식물성 식사를 유지하고 있다. 현대인들이 겪는 다양한 만성질환을 치료하고 예방하는 데 힘쓰고 있다. 현재 LG에너지솔루션 기술연구원 부속의원 원장과...


송원규 | (사)농정전환실천네트워크 | 지구와 인간이 상생하는 '대안적 먹거리 체계'
송민경 기자, 양성욱 영상 2024-03-14 송원규는 농과대학을 졸업한 후 농민단체에서 활동했다. 이후 석박사과정에서 유통구조와 직불제를 연구했으며 농식품경제학에서 로컬푸드, 지역 먹거리 정책으로 연구 분야를 확장해 왔다. 농민의 입장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