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대선기획 | 정책포럼 '기후국가로 가는 길'
기후국가 정책 해법, 정치경제연구소 '대안'과 플래닛03이 주최한 '기후국가로 가는 길' 정책 포럼에서 기후기술, 농업, 민주주의 등 기후국가 실현을 위한 실질적 솔루션을 모색하였다.


김현권의 아사(餓死) 직전 | ⑤ 정확한 농업 통계부터 만들자
농업소득 통계 개선방안, 농업 소득세와 사업자등록 제도 개선을 통해 정확한 농업 통계를 구축하여 농업 정책의 근본적인 한계를 극복해야 한다.


김현권의 아사(餓死) 직전 | ④ 농업 개혁의 절반은 농협이다
농협 개혁 필요성 문제, 농협 중앙회장 선거 방식 개선과 농협의 역할 확대에 대한 글이다. 지역 농협의 통폐합과 품목 농협으로의 전환, 축협의 농협 통합 문제, 농협 지주제 개선 필요성 등을 제시하며, 농협 중앙회장 선출 방식 변경을 주장하고 있다.


김현권의 아사 직전 | ① 식량 위기에 어떻게 대응할까
식량위기 대응 정책방안, 일본의 쌀 파동이 장기화되는 이유와 우리나라 농업의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영세 소농 구조와 이중곡가제도의 한계, 농지 규모화와 집적화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감축 정책이 아닌 공급망 확대와 수출 활성화를 통한 위기대응 능력 제고 방안을 제안하였다.


기획 | 물 부족 시대의 유전자 혁신
유전자가위 가뭄저항성 작물, 유전자 가위 기술로 가뭄내성 작물 개발이 가능해지면서 물 부족 시대의 농업 혁신이 기대되고 있다. 이를 통해 안정적인 식량 생산을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사설] 기후위기시대, 먹거리의 재정의](https://i.ytimg.com/vi/7ErKuXByRto/maxresdefault.jpg)
![[사설] 기후위기시대, 먹거리의 재정의](https://i.ytimg.com/vi/7ErKuXByRto/maxresdefault.jpg)
[사설] 기후위기시대, 먹거리의 재정의
김용만 대표 편집인 인간은 먹지 않으면 살 수 없다. 자연에서 에너지를 공급받지 못하면 생존할 수 없는 존재다. 식량 확보는 인류의 오랜 숙원이고 이를 위해 전쟁까지 불사하곤 했다. 인류사는 먹거리 투쟁사라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