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특별인터뷰 | 청년농부 장정우,줄 낟알 세어 농사를 어찌 안다 하옵니까?
청년농부 농업 정책 방향, 청년농부 장정우가 홍동면에서 농사를 짓며 마을 활동을 하는 모습을 소개한다. 그는 농민의 공익적 가치를 강조하며, 정부와 대중의 농업에 대한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0


정욱식의 전쟁과 기후ㅣ방위 산업이 미래의 먹거리?
방위산업 경제효과 분석, 한국의 군사력 신장과 방위산업 육성이 국가안보와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다룬다. 국방예산 증가, 무기 수출입 확대, 일자리 창출 효과 등을 분석하며, 이러한 정책이 윤리적, 환경적 측면에서 문제가 있음을 지적한다.
0


기획② 자연을 본떠 만든 물질
황희정 기자 2024-12-13 도마뱀붙이는 발바닥 작은 주름들에 있는 강모, 그리고 강모에 있는 나노 빨판으로 벽에 붙어 있을 수 있다. @pixabay 자연에서 본뜬 접착제 21세기 초반부터 생물영감, 생물모방 연구가 활발해지면서 자연을 본떠...
0


기획⑤ 인체를 보완하는 기술
황희정 기자 2024-12-13 손상되거나 상실된 신체 부위를 인공적으로 대체할 수 있다. @unsplash 인공 장기와 신경 보철 인공 장기와 신경 보철 기술은 생명 연장과 기능 회복을 목표로 하는 의학 기술로, 과학과 공학의 결합을 통해...
0


김우성의 생태포럼 | 생물다양성이 만드는 숲, 숲이 만드는 생물다양성(하)
2 024-11-14 김우성 woosung.kim83@gmail.com 다양한 종이 생태계 안에서 생태자리를 나누며 함께 살아가는 모습을 우리는 생물다양성(Biodiversity)이라고 부릅니다. 연구자들은 생물다양성의 개념을 유전자,...
0


생태포럼 | 김우성 | 탄소가 만드는 숲 (하)
2 024-10-17 김우성 woosung.kim83@gmail.com “탄소는 최대 4개까지 안정된 결합을 형성할 수 있습니다.” “네?!” 탄소가 어떻게, 그리고 왜 4개의 안정된 결합을 만들 수 있는지를 이해하는 과정에서 많은...
0


이영숙 | 식물의 사회생활, 식물의 위기는 인간의 위기다
황희정 기자 2024-10-04 이영숙 교수는 서울대학교 식물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미국 코네티컷주립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수료했다. 박사 과정 후 1년간 하버드대학교에서 연구원 근무했다. 포항공과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 후...
0


생태포럼 | 김우성 | 질소가 만드는 숲
김우성 woosung.kim83@gmail.com 2 024. 09. 26. 끝날 것 같지 않던 여름이 끝나 가고 있습니다. 낮이 짧아지고 이제는 제법 선선한 바람이 붑니다. 길어진 여름을 만끽하던 나무들이 바빠졌습니다. 급하게 찾아온...
0


기획ㅣ인권헌장, 그리고 지구헌장
황희정 기자 2024-09-13 인권헌장; 세계평화와 인권보호 인권헌장은 1948년 유엔 총회에서 채택된 것으로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전 세계적으로 인권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모든 인간이 기본적으로 누려야 할 권리와 자유를 명시한 선언문이다....
0


송기원 | 생명과학자가 말하는 '사유(思惟)'하는 사회
2024-09-09 송기원 교수는 연세대학교 생화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코넬대학교에서 생화학 및 분자유전학 박사를 받았다. 미국 밴더빌트대학교 의과대학의 박사후 연구원을 거쳐 1996년부터 현재 연세대학교 생명시스템대학 생화학과 교수로 있다....
0


물건이 아니다, 동물과 사람이 다르다는 당신에게 | 박주연
2023년 4월 27일, 11년 만에 전면 개정된 동물보호법이 시행되었다. 동물보호법은 1991년 제정된 이후 2007년과 2011년 두 번의 전면 개정을 거쳤지만, 증가하는 반려동물 양육 인구와 높아지는 국민들의 동물권 의식을 법이 따라가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