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신년인터뷰 | 녹색연합 박은정 팀장 | 2025년 환경단체에 주어진 과제
환경운동가 기후위기 대응, 환경운동가 박은정이 녹색연합에서의 7년 간 활동을 회고하며, 2025년 새로운 역할인 정책대응의 과제를 밝힌다. 윤석렬 정부의 반환경 정책을 비판하고,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시민사회와의 연대를 강조하고 있다.


신년인터뷰 | 잊고 있던 지구의 이야기를 되살려 주는 존재
2025-01-10 최민욱 기자 창간 1주년을 맞아 본지 창간호의 첫 인터뷰를 진행한 한국임업인총연합회 박정희 회장을 만났다. 플래닛03을 마주한 첫인상부터 시작해, 1년간의 활동을 지켜본 소감, 그리고 앞으로 언론이 나아가야 할 방향까지 폭넓은...


인사이트 | 이인식 | 자연은 위대한 스승이다
자연의 생물들은 화석연료를 고갈시키지도 않고 지구를 오염시키지도 않으며 미래를 저당 잡히지 않으면서 우리가 하고자 하는 일을 전부 해 왔다. 이보다 더 좋은 모델이 어디에 있겠는가. 2024-12-13 김사름 기자 이인식은...


특별기고 | 야생동물학자가 바라보는 '동물권'
2014-11-29 한상훈| 한반도야생동물연구소 소장 한상훈 박사는 동물학자로 한반도야생동물연구소 소장이다. 1961년 부산에서 태어나 경희대 생물학과를 졸업했다. 도 쿄대에서 석사를 마치고 홋카이도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환경부...


이대택 | 기후위기의 시대, 스포츠의 생태계를 살려야
운동생리학을 전공한 이대택 교수가 말하는 기후위기의 시대, 스포츠권', 그리고 스포츠에 대한 편견 없애기 2024-11-13 박성미 총괄 이대택은 국민대학교 체육대학 교수로 지구의 자연 환경에 인간이 어떻게 적응하는지를 연구한다. 연세대학교...


인터뷰 | 미래 세대의 메세지, 하이킹 히어로즈 코리아
미국에서 시작된 청소년 환경활동 단체 '하이킹 히어로즈 코리아'의 학생들이 DMZ를 통해 경험한 희망과 치유의 메시지를 소개한다.


신원섭 | '산림치유'로 인간성 상실 막을 수 있어
신원섭 전 산림청장은 "산림치유로 인간성 회복 가능"이라며, 산림의 긍정적 효과를 과학적으로 증명하며 국제 연대 조직 설립을 추진 중이다.


국종성 | 점진적 기후변화보다 급격한 기후변화에 관심가져야
2024-10-25 황희정 기자 국종성은 1976년에 태어나 서울대학교 지구과학과 학사, 석사를 받고 동대학 지구환경과학대학원 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 연구센터 연구원, 한국해양과학기술연구원 지구기후변화연구센터 책임연구원,...


안병진ㅣ'공적 지식인'으로서의 삶
2024-10-18 황희정 기자 안병진 은 현재 경희대학교 미래문명원 교수로 재직 중이다. 서강대학교 사회학 학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정치학 석사, 뉴스쿨 대학원(New School for Social Research)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윤세종 | 법이 지켜지지 않아서가 아니라, 법이 부족해서 생기는 문제
황희정 기자 2024-10-11 윤세종 변호사는 서울대 법학과·로스쿨을 졸업하고 하버드 로스쿨에서 석사 학위(LL.M.)를 취득했다. 에너지 분야의 주요 국제 분쟁 사건과 환경 규제 자문을 담당한 변호사로 일하였고 2019년부터 기후솔루션의...


이영숙 | 식물의 사회생활, 식물의 위기는 인간의 위기다
황희정 기자 2024-10-04 이영숙 교수는 서울대학교 식물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미국 코네티컷주립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수료했다. 박사 과정 후 1년간 하버드대학교에서 연구원 근무했다. 포항공과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 후...


유승경 | 기후위기의 시대, 경제적 대안을 찾아서
2024-09-25 박성미 총괄 유승경 (전) 경기도 경제과학진흥원장, (현) 정치경제연구소 '대안' 수석연구위원 유승경은 '정치경제연구소 대안'의 수석연구위원으로서 화폐 및 금융 관련 연구자이다.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일리노이 주립대...


박태현 | '자연'을 법적 주체로 인정하고 그 권리를 보장하는 '지구법'의 실현을 위하여
2024-09-13 박태현 교수는 성균관대학교 법대를 졸업하고 2001년 사법연수원 수료 후 변호사로 활동했다. 2003년부터 환경운동연합 환경법률센터에서 환경전문변호사로 일했다. 대한변협 환경인권소위원회 위원, 강원도 행정심판위원회 위원,...


송기원 | 생명과학자가 말하는 '사유(思惟)'하는 사회
2024-09-09 송기원 교수는 연세대학교 생화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코넬대학교에서 생화학 및 분자유전학 박사를 받았다. 미국 밴더빌트대학교 의과대학의 박사후 연구원을 거쳐 1996년부터 현재 연세대학교 생명시스템대학 생화학과 교수로 있다....


특별인터뷰 | '907기후정의행진' 이영경 기획팀장을 만나다
황희정 기자 2024-09-06 이영경은 대학에서 산림자원학을 전공했다. 현재 에너지정의행동의 사무국장으로 있다. 이번 907기후정의행진의 기획팀장이다. 저서로는 『지구를 살리는 기후위기 수업』(2022), 『내가 에너지를 생각하는 이유』(공저,...


박수택ㅣ‘인폼드 시티즌(Informed Citizen)'을 위하여
황희정 기자 2024-08-12 박수택은 언론사에서 33년을 지낸 저널리스트로 환경전문기자다. 1984년 아주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연합통신(지금의 연합뉴스)에 입사, 같은 해 MBC로 이직했다. 1991년부터 SBS에 국제부 기자로 들어가...


인사이트 | 최형태 산림과학원 과장 | 산림으로 물을 관리하다
산림수문학 물관리 기술, 산림수문학 전문가가 기후변화 시대 물 관리의 핵심인 산림 관리에 대해 설명한다. 우리나라 수자원 공급의 63%를 차지하는 산림을 통해 물의 양과 질을 높이는 방법을 소개한다.


이송희일 | 기후위기의 시대에 춤을 추어라
이유경 기자 2024-07-22 이송희일 감독은 사회학을 전공했다. 1999년 첫 단편영화를 만든 이후 25년째 영화를 만들고 있다. 영화를 만드는 사람이지만 가끔 글을 쓰기도 한다. 『 기후위기 시대에 춤을 추어라 』 을 출판했다. 영상과...


제종길 | 바다를 지키지 않으면 지구는 멸망한다
황희정 기자 2024-07-19 제종길 박사는 1993년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해양생태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1984년부터 20년간 한국해양연구소에서 일했다. 2001년 대통령 산업포장을 수상했다.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으로...


이재경ㅣ기후를 '돌봄'으로써 감축에 도달해야 한다
황희정 기자 2024-07-04 이재경 박사는 지역 ·행복·세대 관련 연구자로 지역에서 청년들과 함께 먹고사는 문제에 관심이 많다. 한신대학교 민주사회정책연구원, 생태문명원의 연구위원, 국민총행복연구소 소장, 삼양로컬랩사회적협동조합 이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