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최중기 교수ㅣ해양생태학자ㅣ 해양생태계가 살아야 지구가 산다
황희정 기자 2024-03-05 최중기 해양생태학자 planet03 DB 최중기 교수는 서울대학교에서 해양학을 전공했다. 1980년에서 2015년까지 인하대학교 해양학과에서 후학을 가르치며, 플랑크톤 생태학을 연구했다. 1989년 Univ....


특별인터뷰 | 김우성 | 생태정치포럼위원장 | 22대 국회에 바란다
2024. 03.03 박성미 총괄 '생태정치포럼'(제종길, 전재경, 윤여창 공동대표)이 22대 국회의원 선거를 맞아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생태정치'를 제안했다. 생태정치는 기후위기의 원인을 생태계 파괴로 규정하고,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제종길 박사ㅣ해양생태학자ㅣ바다를 알아야 대응할수 있다
황희정 기자 2024- 02-22 제종길 박사는 1993년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해양생태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1984년부터 20년간 한국해양연구소에서 일했다. 2001년 대통령 산업포장을 수상했다.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어...


한상훈 소장 | 한반도야생동물연구소 | 인간도 야생동물이었다
송민경 기자 2024-02-15 canis.ru.rufus@gmail.com 한상훈 동물학자로 한반도야생동물연구소 소장이다. 1961년 부산에서 태어나 경희대 생물학과를 졸업했다. 도 쿄대에서 석사를 마치고 홋카이도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종구교수ㅣ국립인천대 생명과학부| 야생동물과의 갈등을 줄여야
박성미 총괄 2024-02-22 이종구 서울대학교 산림과학부에서 숲의 생태계를 배웠고, 생태계의 구성 요소인 야생동물을 다루는 연구실에서 공부했다. 석사를 마치고 미국 인디애나주립대학에서 야생동물의 생태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미래학자 | 이종구 국립인천대 생명과학부 교수 | 멸종은 돌이킬 수 없다
대담 이종구 교수 김우성 자연과공생연구소 소장 사진 : 이종구 교수(뒷줄 오른쪽 두 번째) planet03 DB 이종구 교수 국립인천대학교 생명과학부 이종구 교수는 서울대학교 산림과학부에서 학부와 석사를 마치고 미국 인디애나주립대학에서...


인사이트 | 410총선을 가다 | '생태정치' 출사표 던진 청년 김우성
박성미 총괄 황희정 기자 2024-02-06 4.10총선에 '생태정치'라는 화두를 가지고 나타난 청년이 있다. 서울대학교 산림과학부를 졸업하고, 석사까지 마친 김우성은 박사과정을 포기하고 고향인 울산으로 내려갔다. 울산 환경교육센터와 울산...


미래학자 | 홍진규 연세대 대기과학과 교수 | 관측과 대기모델을 통한 검증이 필요
대담 홍진규 연세대학교 대기과학과 교수 김우성 자연과 공생연구소 사건들은 지구 표면 근처에서 일어납니다 저는 기상학, 대기과학 중에서 지상 근처에 있는 공기의 특성을 연구합니다. 인간을 비롯한 대부분의 생물들은 지상으로부터 1~2km 안에서...


특별인터뷰 | 국내 최고 산악 전문 출판사, 수문출판사 대표 이수용
황희정 기자 2024-02-06 이수용 수문출판사 대표 사진 planet03 DB 산이 좋아, 산을 위해, 산처럼 수문출판사는 1988년 2월에 설립된 산악 전문 출판사이다. 빼어난 글을 많이 소개하자는 생각에서 수문(秀文)으로 지었다. 설립자인...


박병상 | 인천도시생태환경연구소 소장| 생태가 없으면 생존도 없다
송민경 기자 2024-02-06 박병상 소장은 '60+ 기후행동' 상임대표.인천 환경운동연합 공동대표,인천 도시생태환경연구소 소장을 맡고 있다. 인하대학교 생물학과에 입학해 생물학 박사가 된 지금까지 인천을 떠나지 않고 활동하고 있다. ...


이유진ㅣ녹색전환연구소 소장 | 유권자를 찾아가다
황희정 기자 2024-02-06 사진 : 이유진 planet03 DB 이유진은 녹색전환연구소 소장이며 지역에너지 전환 전국네트워크 ( GUSSWO )의 공동대표이다. 국무총리 그린뉴딜 특보, 서울에너지공사 비상임 이사를 역임 했다. ...


김현우 | 탈성장과 대안연구소 | '탈성장'은 이미 존재했다
박성미 총괄 2024-02-08 사진: planet03 DB 김현우 소장은 '성장과 대안연구소 '소장으로 '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 연구기획위원.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연구위원, 진보신당 정책연구원으로 활동하며 정의로운 에너지 전환을 위한 연구와...


김추령| 지구과학 교사 | 자연에게도 권리가 있음을 인정하자
송민경 기자 2024-01-30 김추령 『 지금 당장 기후 토론 』 저자이며, 37년간 지구과학 교사 생활을 했다. '가치를 꿈꾸는 과학교사 모임'에서 활동 중이다. 『 오늘의 지구를 말씀드리겠습니다 』 , 『 내일 지구 』 , 『 지금...


한재각ㅣ기후정의동맹 집행위원ㅣ불평등과 정의를 말하다
박성미 총괄 2024-02-08 한재각 박사는 기후정의동맹 집행위원으로, '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 소장을 지냈다. 전자공학과를 다니던 대학생 시절, 정치권에서 핵 위험에 대해 충분히 평가하지 않은 채, 경제 발전의 수단으로만 이해하여, 핵...


조천호 | 대기과학자 | 과학적 사고와 책임 있는 정치가 필요한 시대
2024-02-08 박성미 총괄 조천호는 대기과학자다. 기상학과를 졸업했고 연세대 대기과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국립기상연구소의 예보연구실, 지구대기감시센터, 지구환경시스템연구과를 거쳐, 기후연구과를 거쳐 제1대 국립기상과학원 원장을...


박지혜 | 현실의 정치로 기후 위기를 극복할 수 있을까?
2024-04-01 박지혜 변호사 지난 2024년 11월 17일 전 세계는 놀라운 소식을 접했습니다. 지구 표면 온도가 일시적이지만 산업화 이전보다 섭씨 2.06도 높아졌다는 소식입니다. 올해 지구 온도는 사상 최고 수준을 수차례 갱신하며 가장...


미래학자 | 한희 서울대 산림과학부 교수 | 탄소흡수 기능 증진을 위한 산림시업체계 개발해야
대담 한희 서울대학교 산림과학부 교수 김우성 전문기자 2022년 서울대학교 산림과학부에 부임한 한 희 교수는 숲을 어떻게 경영해야 하는지를 연구하는 젊은 학자다. 한희 교수가 이끌고 있는 스마트산림경영연구실(SFM Lab.Smart...


박정희 | 한국산림경영인협회장 | 방치된 숲을 경영되는 숲으로
한국산림경영인협회 박정희회장에게 듣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