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기후 재난 리포트12 ② 홍수
2025-07-09 정리 김복연 기자 연재 시리즈 다시보기 기후 재난 리포트12 ① 대형산불 기후 재난 리포트12 ② 홍수 기후 재난 리포트12 ③ 폭염 기후 재난 리포트12 | ② 홍수


연재를 시작하며 | '대형 산불', '홍수', '폭염' 등 12주 동안 '기후 재난' 집중 조명
2025-07-03 박성미 총괄 '이상 기후' 가 아니라 '기후 재난'이다 2022년 울진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 피해 현장이 복구되기도 전에 올해 2025년 대형 산불은 경북의 대부분의 산림을 태웠다. 나무만 탄 것이 아니라 집도 축사도 다...


기후 재난 리포트12 ① 대형산불
2025-07-02 정리 김복연 기자


기후재난리포트12 ② | 빗물은 '빨리 빼내야 하는 적'이 아니라 품어야 할 '자원'이다
2025-07-03 김복연 기자 도시 개발로 인해 토지가 불투수면으로 덮여 물 순환이 끊어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빗물 저장과 침투 시설을 확대하여 도시가 빗물을 품을 수 있게 해야 한다. 물을 거부하는 도시의 표면 서울의 거리는 매끈하다....


기후재난리포트12 ② 홍수 | 스폰지 도시, 폭우를 재난이 아닌 자원으로 바꾸는 도시 설계 개념
2025-07-03 김복연 기자 기후위기로 인한 국지성 폭우와 홍수가 반복되는 상황에서 물 순환을 회복하는 스폰지 도시 개념이 주목받고 있다. 중국, 유럽, 북미 사례를 통해 도시의 물 순환 전략을 살펴보고, 한국 도시 설계의 혁신이 필요함을...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