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기후재난리포트12 ② | 빗물은 '빨리 빼내야 하는 적'이 아니라 품어야 할 '자원'이다

2025-07-03 김복연 기자

도시 개발로 인해 토지가 불투수면으로 덮여 물 순환이 끊어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빗물 저장과 침투 시설을 확대하여 도시가 빗물을 품을 수 있게 해야 한다.


물을 거부하는 도시의 표면


서울의 거리는 매끈하다. 아스팔트와 콘크리트가 도시의 표피를 빈틈없이 덮는다. 비가 내리면 물은 스며들 틈을 찾지 못하고 순식간에 도로와 하수구로 몰린다. 도시는 마치 물을 거부하는 표면처럼 설계되었다. 이것이 우리 도시가 직면한 홍수의 본질적인 이유다. 폭우는 기후변화에 따른 현상이지만, 기후변화를 이끈 것 역시 지금의 도시 형태다. 당장 폭우를 멈출 수는 없어도 재난으로 바뀌는 건 도시 구조의 문제로 봐야 한다. 물이 흘러가야 할 곳이 사라지고, 스며들 땅이 없어진 도시에서, 빗물은 곧바로 재앙이 된다. 


홍수로 스미지도 흐르지도 못하고 고인 빗물. 사진 뉴시스
홍수로 스미지도 흐르지도 못하고 고인 빗물. 사진 뉴시스

서울시의 대응과 한계


서울시는 2022년 여름 기록적인 폭우 이후 이런 현실을 인정했다. “시간당 30~50 기준으로 설계된 하수관이 이제는 무력하다.”, “시간당 100를 넘나드는 국지적 폭우가 일상화됐다.” 서울시는 설계 기준을 100~110로 상향하고, 대심도 배수터널, 대형 저류조, 펌프장을 확충하겠다고 약속했다. 도로보다 낮은 반지하 주택에 차수판을 달고, 빗물받이를 늘리고, 예·경보 시스템을 고도화하겠다고 했다. 이런 대책은 분명 필요하다. 당장 사람을 구하고 피해를 줄이기 위해선 하수 용량을 키우고 저류시설을 늘려야 한다. 하지만 이 계획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서울이 빗물을 여전히 "빨리 흘려보내야 할 적"으로만 보고 있다는 사실이 드러난다.


빗물은 문제인가? 아니면 자원인가?


'빗물은 문제인가? 아니면 자원인가? 이 질문이 도시 설계의 철학을 가른다. 서울시는 "배수 용량을 확충하자"는 기술적 해법을 내놓았다. 그러나 폭우를 단지 더 큰 관으로, 더 깊은 터널로 빼내는 것은 임시방편일 뿐이다. 빗물이 하수관으로 몰리기 전에, 도시가 품을 수 있어야 한다. 도시의 표면이 물을 받아들이고 스며들게 하고, 머금고, 정화하고, 천천히 방출해야 한다. 이것이 물 순환 도시의 원리다.


국가 토지 피복 통계 자료에 의하면 서울은 불투수면이 도시 면적의 절반을 넘는다. 사진 환경공간정보서비스
국가 토지 피복 통계 자료에 의하면 서울은 불투수면이 도시 면적의 절반을 넘는다. 사진 환경공간정보서비스

서울의 도시 피복 문제


지금 서울의 토지는 물을 거부한다. 도로와 주차장, 건물의 불투수 포장이 늘어나면서 빗물이 스며들 틈을 잃었다. 토지피복의 변화는 단순한 디자인의 문제가 아니다. 홍수, 가뭄, 지하수 고갈, 하천의 건천화, 열섬 현상— 모두가 연결된 결과다. 


서울시가 제시한 저류조, 배수터널, 빗물펌프장, 10 빗물담기 같은 정책은 분명 한 걸음 나아간 전략이다. 빗물을 일시적으로라도 머금고, 지연시키려는 개념이 반영되었다. 하지만 여전히 문제 설정은 "폭우가 너무 세졌다, 하수관이 좁다"라는 프레임을 벗어나지 못한다. 빗물이 스며들 땅이 사라졌다는, 토지 피복 자체의 문제는 부차적이다. 결국 물을 받아들일 도시의 몸을 바꾸기보다는, 물을 빼낼 관을 더 키우려 한다.


스폰지 도시가 제시하는 대안


반면 중국의 스폰지 도시는 문제를 다르게 본다. 도시화가 불투수면을 늘려서 물 순환을 끊었다는 사실을 인정한다. 빗물을 흘려보낼 대상이 아니라 도시 안에 흡수하고 저장해야 할 자원으로 본다. 그래서 빗물정원, 옥상녹화, 침투도랑, 저류조, 인공습지 같은 분산형 시설을 도시 전역에 퍼뜨린다. 국가 차원의 계획으로 구도심까지 설계 단계에서 물 순환을 복원한다. 빗물의 70%를 도시 안에서 처리하겠다는 목표는 단지 기술이 아니라 철학을 반영한다.


유럽의 저영향개발(LID) 사례


유럽의 저영향개발(LID)도 같은 철학에서 출발한다. 빗물세 도입으로 불투수면을 줄이고, 민간 건축에 투수 포장과 옥상녹화를 장려한다. 도로와 공원을 물이 스며들 수 있는 공간으로 되돌린다. 시민과 민간의 참여를 전제로 규제와 인센티브를 결합해 장기적으로 도시를 바꾼다.


우리가 던져야 할 질문


한국이 가야 할 길은 이 두 모델의 장점을 결합하는 것이다. 중국처럼 국가가 주도해 대규모 저류시설과 침투설비를 도시계획에 반영하면서, 유럽처럼 기존 도시에 리모델링이 어려운 지점에서는 시민과 민간의 참여를 이끌어, 소규모 분산형 시설을 촘촘히 퍼뜨려야 한다. 옥상녹화와 투수 포장을 확대하고, 빗물정원과 침투도랑을 일상화해야 한다. 하수관을 키우는 것만으로는 기후위기에 대응할 수 없다. 도시의 표면을 되살려야 한다. 스며들 땅, 머무는 물, 순환하는 도시로 바꿔야 한다.


결국 질문은 이렇게 바뀐다. “빗물을 어떻게 흘려보낼까?”가 아니라 “도시가 빗물을 어떻게 품을 수 있을까?”  기후위기의 시대, 우리가 대답해야 할 질문이다.

1 Comment

Rated 0 out of 5 stars.
No ratings yet

Add a rating
trokim
Jul 07

도시가 빗물을 어떻게 품을 수 있을까? 좋은 질문 입니다

Like

ㅇㅇㅇ

회원님을 위한 AI 추천 기사

loading.jpg

AI가 추천 기사를
선별중입니다...

loading.jpg

AI가 추천 기사를
선별중입니다...

loading.jpg

AI가 추천 기사를
선별중입니다...

유저별 AI 맞춤 기사 추천 서비스

로그인한 유저분들께만
​제공되는 기능입니다.

유저 찾는중..

유저 찾는중..

유저 찾는중..

유저 찾는중..

유저 찾는중..

유저 찾는중..

유저 찾는중..

​이 기사를 읽은 회원

​로그인한 유저들에게만 제공되는 기능입니다. 로그인 후에 이용 가능합니다.

이 기사를 읽은 회원

유저 찾는중..

유저 찾는중..

유저 찾는중..

유저 찾는중..

​로그인한 유저분들께만 제공되는 기능입니다

유저별 AI 맞춤
기사 추천 서비스

로그인한 유저분들께만
제공되는 기능입니다.

​ㅇㅇㅇ

회원님을 위한 AI 추천 기사

loading.jpg

AI가 기사를 선별하는 중입니다...

loading.jpg

AI가 기사를 선별하는 중입니다...

loading.jpg

AI가 기사를 선별하는 중입니다..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