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제종길의 끝장난 바다 | ⑥ 열대해역과 온대해역을 잇는 해류와 생명을 살펴야
열대해류 산호초 생태계 변화, 열대 해역 산호가 온대로 이동하며 생태계가 변화하고 있다. 기후변화로 바다가 뜨거워지면서 열대 산호는 온대로 피신하지만, 그곳에서는 해조류와 생물들이 죽어가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전 세계적인 공동 대응이 필요하다.


제종길의 끝장난 바다 | ⑤ 미니 대양, 동해 제대로 알기 프로젝트 출범
동해 해양생태계 특성, 제종길이 소개하는 '우리 바다, 동해'의 독특한 생태계와 환경 변화, 새로운 동해 시대를 열기 위한 프로젝트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문태훈의 국가와 돈 | ⑤ 한국의 기후위기 정책과 재정 지출
기후위기 재정정책 현황,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한국의 정책과 재정 지출 현황을 다루었다. 온실가스 감축, 기후변화 적응, 혁신생태계 조성 등의 정책 방향과 실제 재정투자 규모, 녹색예산제도 도입 등이 소개되었다.


기획 | 국민주권정부, '시민형 AI'가 실현한다
시민형 인공지능 민주주의, 2025년 이재명 대통령이 추진하는 '국민주권정부' 구상에서, '시민형 AI'는 숙의민주주의를 실현할 핵심 기술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문태훈의 국가와 돈 | ④ 기후위기 적응 정책—거국적인 '기후 적응 거버넌스'가 필요하다
기후위기 적응 정책 거버넌스, 기후위기에 적응하기 위한 거국적인 기후위기 적응 거버넌스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기후위기 적응 정책은 기상변화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는 것이 목적이며, 이를 위해서는 정부와 민간의 다양한 부처 및 조직 간 협력과 조정이 필요하다는 것이 핵심 내용이다.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