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블루테크현장 | '연잎' 원리를 적용하다, 초발수 기술
초발수 기술 혁신 응용, 연잎 효과를 모방한 한국의 초발수 기술은 오염 감소와 자원 절약으로 지속가능한 미래에 기여할 혁신적인 기술이다.


기후위기와 과학기술 | 기후위기의 해법, 생체모방기술이 뜨고 있다
자연모방기술 기후위기 해결, 자연에서 영감을 얻어 개발한 자연모방기술은 지속가능한 혁신을 이끌며 기후위기 해결의 열쇠가 되고 있다.


기획특집 | '바이오미메틱스(Biomimetics)', 글로벌 현황과 과제
바이오미메틱스 글로벌 현황, 전 세계 128개국이 주목하는 바이오미메틱스 기술의 글로벌 현황과 과제를 살펴보았다. 한국은 세계 7위의 연구 성과를 보이며, 공학·재료과학·화학 분야에서 강세를 보이고 있다. 서울대, 성균관대, 고려대 등 국내 대학이 핵


지오북ㅣ생명체의 탄생은 지구만 알고 있다
생명체 기원 지구 과학, 다윈의 진화론이 설명하지 못한 캄브리아기 생명체 폭발의 원인을 지질학적 관점에서 밝혀낸다. 지구 전체를 뒤덮었던 빙하가 녹으면서 산소가 급증하여 다양한 생명체가 출현하게 된 과정을 탐구하는 내용이다.


연재 | 1타 중국 철학자 | 신유학 거목
풍우란 철학 평가, 유명 중국 철학자 풍우란의 다양한 평가를 다루고 있다. 그의 철학적 업적과 정치적 행보, 그리고 자기 변혁에 대한 필자의 견해를 담고 있는 기사이다.


기획② 자연을 본떠 만든 물질
황희정 기자 2024-12-13 도마뱀붙이는 발바닥 작은 주름들에 있는 강모, 그리고 강모에 있는 나노 빨판으로 벽에 붙어 있을 수 있다. @pixabay 자연에서 본뜬 접착제 21세기 초반부터 생물영감, 생물모방 연구가 활발해지면서 자연을 본떠...


김우성의 생태포럼 | 새싹으로 만드는 숲
나무 속 부후 현상, 김우성의 생태 포럼에서는 나무의 내부 구조와 생장 과정을 탐구한다. 나무의 중심부가 비어 있는 이유와 나무가 어린 새싹에서부터 거대한 나무로 자라는 과정을 설명하며, 이를 통해 인간의 성장과 변화에 대해 성찰하고 있다.


기획① 자연을 본뜬 위대한 발명
황희정 기자 2024-12-13 신화 속 이야기이긴 하지만 이카루스의 날개는 인류가 새의 날개를 모방한 비행 기술을 시도한 대표적 사례라고 할 수 있다. @pixabay 생물영감(bioinspiration)과 생물모방(biomimicry) 인간이...


김우성의 생태포럼 | 건조함이 만드는 숲
건조기후 향신료 숲, 건조한 지중해 기후에 적응한 향기로운 식물들을 소개하고, 이런 식물들의 2차 대사산물이 우리 삶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이야기한다.


김도균ㅣ지구법학적 공적 이성의 가능성
김도균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자연을 위한 법적 담론에서 공적 이성과 지구법학의 결합 가능성을 탐구하며 새로운 법학적 패러다임을 제시했다. 황희정 기자 2024-12-06 '자연을 위한 법적 담론' 학술 대회에 참가한 김도균 교수 지구적...


김우성의 생태포럼 | 생물다양성이 만드는 숲, 숲이 만드는 생물다양성(하)
2 024-11-14 김우성 woosung.kim83@gmail.com 다양한 종이 생태계 안에서 생태자리를 나누며 함께 살아가는 모습을 우리는 생물다양성(Biodiversity)이라고 부릅니다. 연구자들은 생물다양성의 개념을 유전자,...


현장취재ㅣ'2024 세계산림치유포럼', 글로벌 산림치유 전문가 한자리에
산림치유에 대한 세계 각국 석학들의 연구 보고와 국제기구 설립을 위한 '진천 선언' 채택 황희정 기자 2024-11-01 지난 10월 28일부터 30일까지 '2024 세계 산림치유 포럼(World Forum on Forest Therapy...


국종성 | 점진적 기후변화보다 급격한 기후변화에 관심가져야
2024-10-25 황희정 기자 국종성은 1976년에 태어나 서울대학교 지구과학과 학사, 석사를 받고 동대학 지구환경과학대학원 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 연구센터 연구원, 한국해양과학기술연구원 지구기후변화연구센터 책임연구원,...


기획 ① | AI가 없는 세상은 더 이상 없다
2024-10-16 <편집자주> 2023년, ChatGPT가 출시되었다. 불과 2개월 만에 1억 명의 사용자가 생성되었고 ChatGPT는 역사상 가장 빠르게 성장한 소비자 어플리케이션이 되었다. 컴퓨터나 인터넷, 핸드폰 없는 인류를 상상할 수...


이영숙 | 식물의 사회생활, 식물의 위기는 인간의 위기다
황희정 기자 2024-10-04 이영숙 교수는 서울대학교 식물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미국 코네티컷주립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수료했다. 박사 과정 후 1년간 하버드대학교에서 연구원 근무했다. 포항공과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 후...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