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국가생물다양성전략 1차년도, 무엇이 이행되었나
전문가 시민 등 민관 합동으로 국가생물다양성전략 5개년 계획에 따른 2024년 1차년도 이행 설명회 열려. 2024-12-20 김사름 기자 국가생물다양성전략 2024년 이행 현황, 민관 합동 점검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으로서 생물다양성...


김우성의 생태포럼 | 소금이 만드는 숲
맹그로브 해안숲 생태계, 따뜻한 남쪽나라의 맹그로브 숲을 소개하다. 맹그로브 숲은 소금기를 걸러내며 물에 잠긴 진흙에서도 살아갈 수 있는 적응력을 보여준다. 맹그로브 숲은 다양한 생물의 보금자리이자 인간을 재해를 막아 주는 자연의 선물이다.
![[사설] 음식물이 쓰레기가 되는 이유](https://static.wixstatic.com/media/c15d53_7542d3fa0847408fb0ba87af87f63bda~mv2.jpg/v1/fill/w_334,h_250,fp_0.50_0.50,q_30,blur_30,enc_avif,quality_auto/c15d53_7542d3fa0847408fb0ba87af87f63bda~mv2.webp)
![[사설] 음식물이 쓰레기가 되는 이유](https://static.wixstatic.com/media/c15d53_7542d3fa0847408fb0ba87af87f63bda~mv2.jpg/v1/fill/w_234,h_175,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c15d53_7542d3fa0847408fb0ba87af87f63bda~mv2.webp)
[사설] 음식물이 쓰레기가 되는 이유
음식물쓰레기 기후위기 영향, 화석연료 덕분에 식량 부족에서 벗어났지만, 이로 인한 환경 위기를 겪고 있다. 이제는 지속가능한 농업 체계로의 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다.


어스파머 | 30년 발효장을 이어 온 '무량수' 정병우 대표의 걱정
기후변화 전통장류 위기, 영주의 전통 장류 제조업체 '무량수'의 정병우 대표가 기후변화와 고령화로 겪는 어려움을 전하다. 지역 특산물 사용에 어려움을 겪는 가운데, 환경 보호와 혁신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기획③ 자연에서 배우는 건축
황희정 기자 2024-12-13 공룡의 등뼈도 건축에 영감을 주었다. @pxhere 동물을 본뜬 건축: 공룡 다리와 에덴 프로젝트 1917년 영국의 동물학자이자 수학자인 다르시 톰슨(D'Arcy Thompson)은 『성장과 형태(On Growth...


지구는 38억년 가동한 실험실, 자연 모방하는 혁신이 산업 변화의 핵심
2024-12-13 남준기 남준기 기자는 1993부터 2023년까지 내일신문 기자로 재직했다. 2023년 8월 퇴직 후 환경전문객원기자로 활동하고 있다. 인터페이스사, 지속가능성을 중심으로 모든 방식을 바꾸다 “자연이 바닥 커버링(지표면 덮기)을...


기획① 자연을 본뜬 위대한 발명
황희정 기자 2024-12-13 신화 속 이야기이긴 하지만 이카루스의 날개는 인류가 새의 날개를 모방한 비행 기술을 시도한 대표적 사례라고 할 수 있다. @pixabay 생물영감(bioinspiration)과 생물모방(biomimicry) 인간이...


자연은 위대한 스승이다
2024-12-13 김사름 기자 인류가 직면한 위기: 해답은 자연에게 있다 4차 산업혁명 이후 자연 환경 훼손이 심화되면서 현재 인류는 전례 없는 환경 위기에 맞닥뜨렸다. 이에 전 세계의 학자들은 지금 인간이 직면한 문제의 해답을 자연에서 찾기...


'지구법' 실현은 가능한가?
2024-12-03 김사름 기자 토마스 베리가 주창한 지구법, ‘존재할 권리’, ‘서식할 권리’, ‘지구의 진화에 참가할 권리’ '지구법(Earth Jurisprudence)’은 21세기 초 제안된, 법과 거버넌스의 전환이론이자 법철학이다....


쟁점토론ㅣESG와 지구법학의 쟁점들
2024-12-06 황희정 기자 '자연을 위한 법적담론' 학술대회에서 류영재 (사)서스틴베스트 대표이사는 ESG의 철학적 기초를 “현재 세대와 미래 세대의 공존과 조화”로 정의하며 기업들의 단기 성과 추구가 장기적인 환경과 사회적 영향을 고려하지...


경포호수 인공분수 설치를 반대하는 시민 모임
2024-12-6 김사름 기자 경포호수 인공분수 설치를 반대하는 시민들. 인스타그램 keep_gyeongpo.lake에서 캡처. https://www.instagram.com/keep_gyeongpo.lake?igsh=aTNzNTg4MTA4em...
![[사설] 플라스틱 협약 ‘부산 선언’은 결국 없었다. 우리에게 남은 숙제는?](https://static.wixstatic.com/media/c15d53_58a428bd66444a8a94121a75ce664a61~mv2.jpg/v1/fill/w_333,h_250,fp_0.50_0.50,q_30,blur_30,enc_avif,quality_auto/c15d53_58a428bd66444a8a94121a75ce664a61~mv2.webp)
![[사설] 플라스틱 협약 ‘부산 선언’은 결국 없었다. 우리에게 남은 숙제는?](https://static.wixstatic.com/media/c15d53_58a428bd66444a8a94121a75ce664a61~mv2.jpg/v1/fill/w_233,h_175,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c15d53_58a428bd66444a8a94121a75ce664a61~mv2.webp)
[사설] 플라스틱 협약 ‘부산 선언’은 결국 없었다. 우리에게 남은 숙제는?
플라스틱 생산 감축이 궤도에 오르기 위해선 수요 관리가 선행되어야 한다. 수요가 조정되면 공급은 따라가기 마련이다. 김용만 대표 편집인 지난 12월 2일 부산에서 열린 '플라스틱 오염 종식을 위한 국제협약 마련 제5차 정부 간...


세토우치 트리엔날레에 가자 ⑤ 해안개발로 환경과 자원을 잃은 바다
세토우치 해양오염 실태, 세토우치 트리엔날레가 개최되는 섬들의 과거 해안 개발로 인해 연안 습지가 파괴되고 바다가 오염되어 '죽음의 바다'로 변화했다가 최근 다양한 노력으로 수질이 개선되고 있으나 여전히 '풍성한 바다'는 이루지 못했음을 말하다.


정준영ㅣ법인격성 다발 이론과 자연의 권리주체성
서울대학교 정준영 연구원은 법인격성 다발 이론을 통해 자연의 권리 주체성을 탐구해 법학적 담론에 새로운 시각을 제시했다. 2024-12-06 황희정 기자 법인격성 다발 이론으로 법적 인격의 대상을 넓히다 서울대학교 일반대학원 법학과 박사과정에...


김우성의 생태포럼 | 줄기로 만드는 숲
대나무 생태 특징 이해하기, 대나무의 독특한 구조와 특성에 대해 설명하는 글이다. 대나무는 나무가 아닌 벼와 같은 풀이며, 땅속 줄기가 서로 연결되어 군락을 이룬다. 대나무를 옮겨심기 어려운 이유다.


안나현 변호사의 '동물해방'
2024-11-25 김사름 기자 안나현 변호사 는 현재 '법무법인 하신' 변호사로 이화여자대학교를 졸업하고 53회 사법시험 합격, 사법연수원 44기 수료. 동물권연구변호사단체 PNR 운영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동물 해방』 『동물 해방』 피터...


김도희ㅣ동물의 재판청구권을 실현하는 것이 목표
김도희 변호사는 동물과 자연의 법적 권리가 한국의 헌법과 법체계 안에서 하나의 표준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황희정 기자 2024-11-29 김도희는 대학에서 법학을 전공하고 로스쿨로 진학해 변호사가 됐다. ‘동물해방물결...


신수경ㅣ사회적 약자, 동물을 보다
황희정 기자 2024-11-29 신수경은 한양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고, 사법시험 54회, 사법연수원 44기를 수료한 후, 주로 아동학대 사건을 중심으로 피해자 지원 업무를 하면서 중앙아동보호전문기관의 상근 변호사로 근무하다 변호사사무실을...


정의동 작가 | 사라져 가는 것은 말이 없다
2024-11-25 김사름 기자 동물권변호사단체 피엔알(PNR)은 지난 2024년 11월 18일부터 23일까지 강남 신논현역 '비타카페'에서 ‘제1회 동물법 컨퍼런스’를 기념하는 '예술작품'과 '도서전'를 개최했다. 총 13종의 '동물권' 관련...


문서인 작가 | 시선에 머무르다, 시선에 담다
2024-11-28 김사름 기자 동물권변호사단체 피엔알(PNR)은 지난 2024년 11월 18일부터 23일까지 강남 신논현역 '비타카페'에서 ‘제1회 동물법 컨퍼런스’를 기념하는 '예술작품'과 '도서전'를 개최했다. 총 13종의 '동물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