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리얼픽션 '더 체인'ㅣ#1화. 전화

2025-07-11 정욱식

[글쓴이 주] 2027년 중국과 대만의 충돌, 미국의 개입, 그리고 한국·조선·일본·러시아 등이 엮여 있는 동맹의 체인이 맞물려 고조되는 동아시아 전쟁 위기, 위기를 지나 재앙으로 치닫는 기후변화, 그리고 배타적이거나 공유된 두려움…. 이들이 빚어 내는 대서사를 ‘리얼픽션’ 행태로 써 내려갑니다. 리얼픽션 '더 체인(the chain)'은 사실과 허구를 넘나들며 지금까지 벌어진 사건과 곧 일어날 수 있는 미래를 실감나게 전달하기 위해 필자가 도전해 본 영역입니다. 독자 여러분의 많은 관심 바랍니다.


ree

정욱식 평화네크워크 대표, 한겨레평화연구소 소장

핵과 전쟁이 없는 세상, 모두가 공평하게 누리는 평화를 상상하고 궁리해 온, 평화 연구자이자 활동가로 1999년 평화네트워크를 설립해 활동하고 있다. 고려대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북한대학원대학교에서 군사안보 전공으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2006~2007년 미국 조지워싱턴대학교 방문학자로 한미동맹과 북핵문제를 연구했다. 20여년 동안 한반도와 동아시아의 군축⸱반핵⸱평화체제를 천착한 공로로 리영희상(2020)을 수상했다. 현재는 한겨레평화연구소 소장과 평화네트워크 대표를 맡고 있다. 『청소년에게 전하는 기후위기와 신냉전 이야기』(2023), 『한 번도 경험해보지 못한 새로운 북한이 온다』(2023), 『미중 경쟁과 대만해협 위기』(2022), 『흥미진진한 핵의 세계사』(2020), 『김종대 정욱식의 진짜안보』(공저, 2014) 등 40여 권의 저작이 있다.


“대한민국 대통령께선 어떻게 하시려고 합니까?”


국가안전보장회의(NSC) 회의를 마치고 청와대 여민관 3층 집무실로 돌아온 최서희 대통령은 수화기 너머 들려온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조선)의 김정훈 국무위원장의 목소리에서 작은 떨림을 느꼈다. 통화를 마친 최서희는 다시 NSC 회의를 소집하는 한편, 연설비서관도 이 회의에 참석하라고 지시했다.


그 시간 대만 해협의 위기는 최고조에 달했다. 이틀 전에 대만 해협에서 발생한 중국과 대만의 충돌로 양측에선 여러 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사건 발생일은 2028년 1월 8일로 예정된 대만 총통 선거의 공식 선거운동 개시일인 2027년 10월 10일 다음날이었다. 재선에 도전하는 라이창더 현 총통이자 민주진보당(민진당) 후보는 국민당 후보와의 초박빙 승부를 벌일 터이다. 2024년 5월 취임한 라이창더는 ‘하나의 중국’에 반기를 들며 독립 행보를 가속화해왔다. 특히 이번 대선 출정식에서 “대만이 독립국가로 가느냐, 중국의 강압에 굴복할 것이냐는 우리 국민의 선택에 달려 있다”며, 대만 사람들의 반중국 정서를 자극하고 나섰다.


중국도 중요한 정치 일정을 앞두고 있다. 날짜를 공식 발표하진 않았지만 중국 공산당 제21차 전국대표대회가 10월 중하순에 열릴 예정이다. 이 회의에선 샤진핑 주석이 4연임을 할지, 그의 후계자를 정할지를 결정할 예정이다. 전반적인 관측은 샤진핑의 4연임에 맞춰지고 있다. 이 와중에 라이창더가 ‘대만 독립’을 주창하고 나오자 중국은 이를 ‘하나의 중국’ 원칙과 샤진핑 리더십에 대한 정면 도전으로 간주했다. 중국 내에선 라이창더를 분리·독립주의자로 규정하고 무력을 동원해서라도 대만 통일에 나서야 한다는 강경론이 맹위를 떨치기 시작했다.


미국의 정치 상황도 격랑에 휩싸이고 있다. 2027년 11월 중간선거에서 하원 다수당을 차지한 민주당은 로널드 타럼프 행정부의 여러 입법 시도에 제동을 걸고 나섰다. 2028년 11월로 예정된 대선을 앞두고 타럼프 행정부가 국면을 전환하기 위해 무리수를 둘 거라는 불길한 전망도 여기저기에서 쏟아져 나오고 있다. 이 와중에 하원의장이 단장을 맡은 미국 의회 대표단이 대만을 방문해 미중 관계를 발칵 뒤집어 놓았다. 10월 4일에 타이베이에 도착한 의회 대표단은 “우리는 자유민주주의 국가 대만과 함께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중국 외교부는 “중미 관계의 초석인 하나의 중국 원칙을 부정한 것이자 대만의 분리·독립을 획책하는 용납할 수 없는 도발”로 규정했다. 그리고 중국은 미국 의회 대표단이 출국한 날부터 사흘간 강도 높은 대만 포위 훈련을 실시했다.


중국 정부는 대만 포위 훈련 실시 직후 샤진대교를 진먼다오(金門島)까지 연결하는 공사에 착공하겠다고 발표했다. 중국은 2026년에 샤진대교를 샤먼에서 샹안구(翔安区)의 대등도(大嶝岛)와 소등도(小嶝岛) 매립지까지 연결, 국제신공항을 건설해 2027년 1월부터 개통한 상태다. 이 다리를 진먼다오까지 연결한다는 계획은 보류하고 있었으나, 이번에 전격 발표한 것이다. 그러자 대만 정부는 “대만의 주권과 영토를 불법으로 침탈하는 행위”라며 물리력을 동원해서 막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10월 11일 동틀 무렵, 진먼다오


10월 11일 동틀 무렵. 샹안구에서 출발한 중국 해상작업선단이 서서히 진먼다오를 향해 다가섰다. 각종 건설 자재와 공사용 대형 구조물이 실린 바지선 3척과 이를 호위하는 중국 해경 함정 4척, 그리고 중국 해군의 경비함 2척이 1km 뒤에 있었다. 전날 중국 선박이 샤먼과 진먼의 중간선을 넘으면 실력으로 저지하겠다고 밝힌 대만도 즉각 초계함 2척과 진먼 방어사령부의 고속정 4척을 출동시켰다. 대만 측은 “귀측 선박은 대만 해협 중간선을 넘고 있다. 즉시 철수하라. 허가받지 않은 선박 진입은 불법이다”라는 경고 방송을 계속해서 내보냈다. 이에 중국은 “대만은 중국의 일부이다. 중간선이란 존재하지 않고 이곳은 중국의 내수이다. 정당한 공사를 방해할 경우 그 결과에 대한 모든 책임은 귀측에 있다”라는 방송으로 맞불을 놓았다.


근접기동으로 중국 해상작업단의 접근을 차단하던 대만은 중국 선박이 다가오자 함정을 측면으로 돌리고 일렬로 세워 차단기동에 나섰다. 바지선 옆에 있던 중국 해경 함정도 대만 함정에 다가섰다. 양측 함정은 요란한 경적 소리와 함께 물대포 발사를 준비했다. 이 와중에 중국 함정 한척이 대만 함정의 측면을 들이받으면서 양측 인원 몇 명이 부상을 당하고 바다에 빠졌다. 주위에 있던 양측 함정은 물대포를 쏘아댔다. 후방에 있던 양측의 대형 함정은 경고사격을 가했다. 대만의 F-16 전투기와 중국의 J-10 전투기도 출격하면서 무력 충돌 위기는 최고조에 달했다. 하지만 양측은 격파사격은 자제했다. 하지만 해상 대치는 계속되었다.


양측의 해상 대치 이틀째인 10월 12일에 중국은 “중국 정부의 허가를 받지 않은 출입을 불허한다”며 법 집행을 명분으로 삼아 대만 해협 ‘격리’에 나섰다. 이로 인해 미국으로 출항 예정이었던 에버블루(Ever Blue)호도 카오슝(高雄)항에 발이 묶였다. 미국은 중국의 격리 조치가 해상 봉쇄에 해당한다며 즉각적인 철회를 요구했다. 이에 중국이 무응답으로 나오자 항공모함 2개 전단을 동아시아로 급파한다고 발표했다. 일본 요코스카에서 출항한 조지 워싱턴호는 대만 해협으로 향하고, 태평양 공해상에서 작전 중이던 로널드 레이건호는 제주해군기지에 입항할 예정이라고 한국 정부에 통보했다. 이와 더불어 미국은 스텔스 전투기인 F-35 20대를 군산공군기지에 배치할 것이라는 입장도 통보했다. 미국은 ‘안전상의 이유’를 들어 이러한 계획의 보안을 유지해 달라고 한국 정부에 요청했다.


“미국, 중국, 대만 모두 정치적으로 매우 예민한 시기여서 사태 수습 여부가 극히 불확실한 상황입니다. 미국은 라이창더 총통의 재선을 도우려고 하고, 중국은 대만인들의 두려움을 극도로 끌어올려 그의 재선을 저지하려고 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대통령님, 미측에서 온 정보입니다. 방금 중국의 랴오닝함이 칭다오 해군기지에서 출항했다고 합니다.” 정승환 국정원장의 말이 끝나자마자 이태식 국방장관이 보좌관으로부터 받은 메시지를 확인하고 최서희에게 보고했다. 중국은 이미 남해함대에 소속된 산둥함을 대만 해협에 파견한 상태였다. “미측에선 조속한 협의도 요청해 온 상태입니다.”


“이한결 차장은 어떻게 분석하오?” 이한결이 대통령의 질문에 답하려는 순간, 보좌관으로부터 귀엣말을 들은 이태식이 황급히 말했다. “북한이 방금 복수의 미사일을 발사했습니다. 방향은 동해 쪽으로 보이며 타깃은 아직 알 수 없습니다.” “방금 김정훈 위원장과의 통화에서 들으신 말이 있습니까?” 최은정 외교장관의 질문에 최서희는 눈을 지그시 감았다. 잠시 침묵이 흐르는 사이 전화벨이 울렸다. “대통령님, 미국 대통령이 통화를 원합니다.”

댓글 1개

별점 5점 중 0점을 주었습니다.
등록된 평점 없음

평점 추가
trokim
7월 15일

픽션이라...플래닛03에서는 처음보는 장르네요. 기대를 갖고 챙겨 보겠습니다.

좋아요

ㅇㅇㅇ

회원님을 위한 AI 추천 기사

loading.jpg

AI가 추천 기사를
선별중입니다...

loading.jpg

AI가 추천 기사를
선별중입니다...

loading.jpg

AI가 추천 기사를
선별중입니다...

유저별 AI 맞춤 기사 추천 서비스

로그인한 유저분들께만
​제공되는 기능입니다.

유저 찾는중..

유저 찾는중..

유저 찾는중..

유저 찾는중..

유저 찾는중..

유저 찾는중..

유저 찾는중..

​이 기사를 읽은 회원

​로그인한 유저들에게만 제공되는 기능입니다. 로그인 후에 이용 가능합니다.

이 기사를 읽은 회원

유저 찾는중..

유저 찾는중..

유저 찾는중..

유저 찾는중..

​로그인한 유저분들께만 제공되는 기능입니다

유저별 AI 맞춤
기사 추천 서비스

로그인한 유저분들께만
제공되는 기능입니다.

​ㅇㅇㅇ

회원님을 위한 AI 추천 기사

loading.jpg

AI가 기사를 선별하는 중입니다...

loading.jpg

AI가 기사를 선별하는 중입니다...

loading.jpg

AI가 기사를 선별하는 중입니다..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