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박정흠ㅣ생물다양성 유해보조금 식별 방안 제안
황희정 기자 2024-12-20 한국조세재정연구원의 박정흠 팀장 생물다양성 유해보조금 식별 목표 지난 12월 16일 제5차 국가생물다양성전략 이행현황 설명회에서 한국조세재정연구원의 박정흠 팀장이 ‘생물다양성 유해보조금 식별방안’에 대한 발표를...


김이중ㅣ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음식물류폐기물 감축
황희정 기자 2024-12-20 홍익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의 김이중 교수 음식물폐기물 관리 현황과 문제점 홍익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의 김이중 교수는 2024년 12월 16일 서울가든호텔에서 진행된 ‘제5차 국가생물다양성전략 1차년도 이행 현황...


노태권ㅣ제7차 국가보고서 작성을 위한 이행 점검 강화 방안
황희정 기자 2024-12-20 국립생물자원관의 노태권 연구관 생물다양성 전략의 미래 노태권 국립생물자원관 연구관이 발표한 ‘제7차 국가보고서 작성을 위한 이행 점검 강화 방안’은 앞으로의 국내 생물다양성 전략의 미래를 제시했다. 2022년...


어스파머 | 30년 발효장을 이어 온 '무량수' 정병우 대표의 걱정
기후변화 전통장류 위기, 영주의 전통 장류 제조업체 '무량수'의 정병우 대표가 기후변화와 고령화로 겪는 어려움을 전하다. 지역 특산물 사용에 어려움을 겪는 가운데, 환경 보호와 혁신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연재 | 1타 중국 철학자 | 중국 철학은 새 시대를 열어갈 수 있는가
중국철학 발전 시대구분, 중국 철학의 새로운 시대를 열어갈 주요 인물들을 소개하고, 『주역』에 대한 해석의 다양성과 철학적 접근법을 설명하며, 풍우란 철학의 발전 과정을 다루고 있다.


김우성의 생태포럼 | 새싹으로 만드는 숲
나무 속 부후 현상, 김우성의 생태 포럼에서는 나무의 내부 구조와 생장 과정을 탐구한다. 나무의 중심부가 비어 있는 이유와 나무가 어린 새싹에서부터 거대한 나무로 자라는 과정을 설명하며, 이를 통해 인간의 성장과 변화에 대해 성찰하고 있다.


김우성의 생태포럼 | 건조함이 만드는 숲
건조기후 향신료 숲, 건조한 지중해 기후에 적응한 향기로운 식물들을 소개하고, 이런 식물들의 2차 대사산물이 우리 삶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이야기한다.
![[특집] 동물권 (PNR·People for Non-human Rights)](https://static.wixstatic.com/media/c15d53_bcc1d082db9247de8cfab4b8c4b412d1~mv2.jpg/v1/fill/w_333,h_250,fp_0.50_0.50,q_30,blur_30,enc_avif,quality_auto/c15d53_bcc1d082db9247de8cfab4b8c4b412d1~mv2.webp)
![[특집] 동물권 (PNR·People for Non-human Rights)](https://static.wixstatic.com/media/c15d53_bcc1d082db9247de8cfab4b8c4b412d1~mv2.jpg/v1/fill/w_233,h_175,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c15d53_bcc1d082db9247de8cfab4b8c4b412d1~mv2.webp)
[특집] 동물권 (PNR·People for Non-human Rights)
인사이트 서국화 | 변호사 | 국내 첫 '동물권' 컨퍼런스 개최 동물권연구변호사단체 피엔알(People for Non-human Rights·PNR)이 국내 최초로 ‘제1회 동물법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동물권 관련 국내외 굵직한 사건현장에서...


김우성의 생태포럼 | 줄기로 만드는 숲
대나무 생태 특징 이해하기, 대나무의 독특한 구조와 특성에 대해 설명하는 글이다. 대나무는 나무가 아닌 벼와 같은 풀이며, 땅속 줄기가 서로 연결되어 군락을 이룬다. 대나무를 옮겨심기 어려운 이유다.


제1회 동물법 컨퍼런스(The 1st Animal Law Conference)
동물권변호사단체 피엔알 ‘제1회 동물법 컨퍼런스’ 개최, 컨퍼런스 일주일전부터 '동물권' 관련 도서 13종과 동물권 아티스트 4인의 작품전시회도 열려. 황희정 기자 2024-11-29 국내에서 처음 열린 '동물권 '컨퍼런스 비인간 동물들의...


김도희ㅣ동물의 재판청구권을 실현하는 것이 목표
김도희 변호사는 동물과 자연의 법적 권리가 한국의 헌법과 법체계 안에서 하나의 표준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황희정 기자 2024-11-29 김도희는 대학에서 법학을 전공하고 로스쿨로 진학해 변호사가 됐다. ‘동물해방물결...


신수경ㅣ사회적 약자, 동물을 보다
황희정 기자 2024-11-29 신수경은 한양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고, 사법시험 54회, 사법연수원 44기를 수료한 후, 주로 아동학대 사건을 중심으로 피해자 지원 업무를 하면서 중앙아동보호전문기관의 상근 변호사로 근무하다 변호사사무실을...


국내 첫 '동물권' 컨퍼런스 개최한 피엔알(PNR) 서국화 변호사에게 듣는다
동물권이 법의 테두리 안에서 제대로 보호받지 못하는 현실을 바꾸기 위해 노력해 온 11년. 서국화 변호사는 동물의 권리가 여전히 법과 제도에서 배제되어 있음을 지적한다. 황희정 기자 2024-11-29 서국화 변호사는 '법무법인 울림'의 변호사로...


권유림ㅣ'애린원 동물보호소' 사건: 인간법에서 보호받지 못하는 '동물권'
황희정 기자 2024-11-29 권유림 변호사는 숙명여자대학교 법학과를 졸업, 사법연수원 45기 변호사로, 현재 법무법인 선경 구성원 변호사, 국립정신건강센터 입원적합성심사위원, 동물복지국회포럼 자문위원, 서울특별시 공익변호사, 서울강동경찰서...


특별기고 | 야생동물학자가 바라보는 '동물권'
2014-11-29 한상훈| 한반도야생동물연구소 소장 한상훈 박사는 동물학자로 한반도야생동물연구소 소장이다. 1961년 부산에서 태어나 경희대 생물학과를 졸업했다. 도 쿄대에서 석사를 마치고 홋카이도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환경부...


권현정ㅣ을숙도의 길고양이 사건, 공존의 길을 묻다
권현정 변호사는 천연기념물인 을숙도에 사는 길고양이 급식소 논란을 통해, 인간과 동물의 공존을 묻는다. 황희정 기자 2024-11-29 권현정은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과를 졸업, 사법시험 54회 변호사로, 법무법인 대영 변호사, 법무법인 (유)해송...


박주연 변호사 | 비인간 동물을 위한 변론
2024-11-29 박성미 총괄 박주연 변호사는 현재 법무법인 에이파트 파트너변호사이면서 ‘동물권변호사단체 PNR’를 설립, 현재 이사로 활동 중이다. 2012년 사법연수원을 수료했다. 저서로는 『물건이 아니다』 (2023), 『동물보호법...


어스파머 | 농사로 마음을 풀어 주는 '온유원'의 김민주 대표
식용꽃 치유농장 체험, 4대가 함께 농사를 짓는 온유원 농장에서 식용꽃과 허브로 마음을 치유하는 김민주 농부의 이야기다.


김우성의 생태포럼 | 뿌리로 만드는 숲
나무 뿌리 생태계 특성, 나무의 깊은 뿌리는 생태계를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움싹을 통한 나무의 재생능력은 우리 삶에서도 시사점을 준다는 내용이다.


김우성의 생태포럼 | 생물다양성이 만드는 숲, 숲이 만드는 생물다양성(하)
2 024-11-14 김우성 woosung.kim83@gmail.com 다양한 종이 생태계 안에서 생태자리를 나누며 함께 살아가는 모습을 우리는 생물다양성(Biodiversity)이라고 부릅니다. 연구자들은 생물다양성의 개념을 유전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