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신년인터뷰 | 녹색연합 박은정 팀장 | 2025년 환경단체에 주어진 과제
환경운동가 기후위기 대응, 환경운동가 박은정이 녹색연합에서의 7년 간 활동을 회고하며, 2025년 새로운 역할인 정책대응의 과제를 밝힌다. 윤석렬 정부의 반환경 정책을 비판하고,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시민사회와의 연대를 강조하고 있다.


지오북ㅣAI가 지구를 삼키고 있다
AI 환경파괴 실태, AI가 지구의 자원을 탐닉하며 성장하고 있다. 채굴과 데이터 센터 운영으로 인한 환경오염, 노동력 착취 등 AI의 기술적 성과 뒤에 숨겨진 그림자를 조명하고 있다.


지오북ㅣ절망에서 희망으로, 우리는 지구를 구할 마지막 세대
환경위기 희망 해결책, 절망에서 희망으로, 한나 리치와 제인 구달이 보여준 지구 살리기의 구체적 방법들이다. 실증적인 데이터를 통해 환경 위기를 돌이킬 수 있음을 강조하고, 개인과 지역사회의 실천을 통한 변화를 이야기한다.


강우정ㅣ생수 플라스틱 페트병 연간 56억개, 4분의 1이 석유
우리가 자주 잊는 사실은, 생수 역시 일회용이라는 점이다. 목을 축이기 위한 물 한 잔의 값으로 생수는 너무나 많은 환경 영향을 야기한다. 연간 56억개의 페트병이 소비된다고 한다. 페트병 생수의 생산부터 폐기까지 탄소발자국을 합산하면 그 물의...


김나라 | 텀블러보다 시스템이 먼저다, 수도꼭지를 잠궈야
황희정 기자 2024-11-22 김나라는 그린피스의 플라스틱 캠페이너다. 캐나다 오타와에서 열린 INC4 회의에 그린피스 대표단의 참관인 자격으로 참가했다. 2022년부터 플라스틱 캠페인을 담당한 김나라 캠페이너는 한국 정부가 우호국...


그린피스, '플라스틱 없이 장 볼 권리'에서 음료 기업 청원까지
2024-11-21 박성미 총괄 음료 페트병의 평균 사용 기간은 단 4일이지만 분해되는 데는 450년 걸려 그린피스는 2025년까지 50만개의 시민의 목소리를 모아 음료 기업에게 전달하고자 서명운동을 하고 있다. 그린피스의 조사에 따르면,...


플뿌리? (플)라스틱 문제를 (뿌)리뽑는 연대
황희정 기자 2024-11-22 플라스틱 문제를 뿌리 뽑는 연대가 11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세종문화회관 계단에서 플라스틱 협약 대응 입장 비공개로 일관하는 한국정부 규탄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24.09.11. ‘플’라스틱 문제를 ‘뿌리’...


플라스틱 이제 그만 ! 부산에서 끝내자
황희정 기자 2024-11-22 플라스틱 재앙을 막을 마지막 기회 2024년 11월 25일, 부산에서 전 세계가 주목하는 마지막 국제 플라스틱 협약 회의가 열린다. 175개국이 참여하는 이번 회의는 2015년 파리기후협약처럼 역사에 남을 중요한...


스포츠의 기후 행동
스포츠도 기후위기 행동에 나서야 한다. '스포츠기후행동협정(Sports for Climate Action)'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이 2018년에 시작한 글로벌 이니셔티브 프로그램으로, 스포츠 조직과 단체들이 탄소 배출을 줄이며, 지속...


인터뷰 | 미래 세대의 메세지, 하이킹 히어로즈 코리아
미국에서 시작된 청소년 환경활동 단체 '하이킹 히어로즈 코리아'의 학생들이 DMZ를 통해 경험한 희망과 치유의 메시지를 소개한다.


멜리사 렘 | '자연처방', 인간과 지구의 건강을 위해 의사가 나서야
황희정 기자 2024-11-01 멜리사 렘(Melissa Lem) 박사는 캐나다 밴쿠버의 가정의학 전문의로 '캐나다 환경 의사 협회(Canadian Association of Physicians for the Environment, CAPE)...


안병진ㅣ'공적 지식인'으로서의 삶
2024-10-18 황희정 기자 안병진 은 현재 경희대학교 미래문명원 교수로 재직 중이다. 서강대학교 사회학 학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정치학 석사, 뉴스쿨 대학원(New School for Social Research)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윤세종 | 법이 지켜지지 않아서가 아니라, 법이 부족해서 생기는 문제
황희정 기자 2024-10-11 윤세종 변호사는 서울대 법학과·로스쿨을 졸업하고 하버드 로스쿨에서 석사 학위(LL.M.)를 취득했다. 에너지 분야의 주요 국제 분쟁 사건과 환경 규제 자문을 담당한 변호사로 일하였고 2019년부터 기후솔루션의...


권오성 | 기후솔루션 언론팀장ㅣ심각하지만 심각하지 않고, 흥미롭게
황희정 기자 2024-10-11 권오성은 한겨레신문에서 2007년부터 10년 간 기자로 활동했다. 이후 같은 곳에서 데이터 저널리스트, 미디어전략팀장 등으로 데이터 분석과 콘텐츠, 경영을 접목하는 데 힘썼다. 2021년 LG 인공지능 연구원으로...
![[참여요청] 2024 그린컨퍼런스: 자연의 권리](https://static.wixstatic.com/media/c15d53_9473763ed48c4ed7b2d4eb7ffec2426a~mv2.webp/v1/fill/w_334,h_250,al_c,q_30,blur_30,enc_avif,quality_auto/c15d53_9473763ed48c4ed7b2d4eb7ffec2426a~mv2.webp)
![[참여요청] 2024 그린컨퍼런스: 자연의 권리](https://static.wixstatic.com/media/c15d53_9473763ed48c4ed7b2d4eb7ffec2426a~mv2.webp/v1/fill/w_234,h_175,al_c,q_90,enc_avif,quality_auto/c15d53_9473763ed48c4ed7b2d4eb7ffec2426a~mv2.webp)
[참여요청] 2024 그린컨퍼런스: 자연의 권리
2024-10-08 기후위기와 생물다양성 위기의 시대, 자연에게 인간과 동등하게 살 권리를 부여하고 모든 생명과 공생해야 할 때다. [2024 그린컨퍼런스: 자연의 권리]가 10월 17일 (목) 저녁 7시에 서울 을지로 페럼타워에서 열린다....


이상호 | 생태국가 독일을 가다 ② 관점의 전환, 튀빙겐(Universitaetstadt Tuebingen)
2024-10-01 이상호 이상호 박사는 연세대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경상대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고용노동부장관 정책보좌관, 대통령직속 정책기획위원회 전문위원, 국회 정책보좌관, 민주노총정책연구원 연구위원으로 활동했다. 2021년부터...


연재 | 뒷날 풍경ㅣ안드레아스 말름과 전시 공산주의(war communism)
2024-09-26 최은 출판 기획자 지방에서 나고 자랐지만 생의 절반 이상을 서울시민으로 살고 있다. 사회생활은 노동계에서 시작했고, IT업계를 거쳐 몇 권의 책을 기획했다. 어쩌다 보니 10년째 야간 노동을 하면서 사람들을 만난다. 전체론적...


김소영ㅣ성대골의 실험, 어린이도서관에서 에너지 자립마을까지
황희정 기자 2024-09-27 기획 | 기후위기의 시대, ‘기후 돌봄(Climate Care)’공동체를 찾아가다 <편집자주> 기후위기의 시대, ‘기후 돌봄(Climate Care)’이 새로운 대응 방식으로 주목받고 있다. 기후 돌봄은 인간과...


최영선 | 노을공원시민모임ㅣ나무의사가 사는 법
황희정 기자 2024-09-27 기획 | 기후위기의 시대, ‘기후 돌봄(Climate Care)’공동체를 찾아가다 <편집자주> 기후위기의 시대, ‘기후 돌봄(Climate Care)’이 새로운 대응 방식으로 주목받고 있다. 기후 돌봄은 인간과...


사단법인 선 | 김보미ㅣ변호사의 사회적 책임은 무엇인가
2024-09-13 김보미 변호사는 공익변호사다. 2022년부터 법무법인(유) 원의 공익법인 '사단법인 선'의 상임 변호사로 근무하고 있다. 대한변호사협회 난민이주외국인특별위원회 위원(2023~현재), 제21회 한국여성지도자상 젊은지도자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