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기후재난리포트12 ④ 폭염 | '이상'한 날씨가 '이상하지 않은' 시대로
폭염은 이제 더 이상 견딜 만한 여름철 무더위가 아니다. 기후위기가 불러온 구조적 문제들이 뒤얽혀 나타나는 일상적 기후재난이다. 단순히 일기예보로 더위를 알려주는 수준을 넘어, 폭염 경보 발령부터 취약계층 복지와 노동 현장 대책까지 아우르는 통합 대응체계가 요구된다. 폭염을 하나의 재난으로 인식하고 대응의 패러다임을 전환해야 할 시점이다.


기후재난리포트12 ② 홍수 | '알림'만 있고 '행동'은 없다: 무용지물 재난 경보 시스템과 훈련의 부재
재난경보시스템 문제점 해결, 재난 문자 경보의 실효성 저하와 구체적 행동요령 부족, 성인 대상 재난 훈련 부재 등 한국의 재난대응 체계의 문제점을 다루는 기사이다.
![[사설] 기후에너지부에 기후 재난 대응을 위한 ‘기후재난관리청’도 필요하다](https://static.wixstatic.com/media/c15d53_6a47e4e3592d40079c28a3bf16e30f1d~mv2.jpg/v1/fill/w_334,h_250,fp_0.50_0.50,q_30,blur_30,enc_avif,quality_auto/c15d53_6a47e4e3592d40079c28a3bf16e30f1d~mv2.webp)
![[사설] 기후에너지부에 기후 재난 대응을 위한 ‘기후재난관리청’도 필요하다](https://static.wixstatic.com/media/c15d53_6a47e4e3592d40079c28a3bf16e30f1d~mv2.jpg/v1/fill/w_234,h_175,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c15d53_6a47e4e3592d40079c28a3bf16e30f1d~mv2.webp)
[사설] 기후에너지부에 기후 재난 대응을 위한 ‘기후재난관리청’도 필요하다
기후재난관리청 신설 필요성, 기후에너지부 신설과 함께 기후재난 대응을 위한 '기후재난관리청' 설립이 필요하다. 기후위기에 따른 자연재난과 사회재난의 복합재난은 국민의 생명과 직결되기 때문이다.


기후 재난 리포트12 | '기후 재난'의 최전선은 지방정부, 지휘권한이 있어야 한다
지방정부 재난대응 권한, 기후 위기로 인한 극한 홍수 시대, 중앙과 지방의 수평적 협력이 필요하다. 현장에서의 신속한 대응과 함께 기술, 정보, 예산, 법적 권한의 연계가 중요하다는 내용이다.


특집 기획 | 기후재난 리포트12 ① 대형산불 | 산불 대응 관련 주요 쟁점 및 향후 과제
대형산불 대응체계 개선방안, 최근 반복되는 대형 산불로 인한 피해가 커지면서 산불 대응 체계의 문제점이 드러나고 있다. 산불 지휘 체계 혼선, 경보 체계 및 진화 인력·장비 부족, 피해 보상 제도 한계 등 다양한 개선과제가 제기되고 있다.


기조발제 | 이시영 | 강원대 방재전문대학원 | 산불 위험 요인과 대형 산불 대응 전략
대형산불 대응전략 현장분석, 산불 예방-진화-복구 체계 구축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첨단 기술과 지역 대응력 강화가 초대형 산불 피해를 줄일 수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