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사설] 전력량보다 전력망이 더 큰 문제다](https://static.wixstatic.com/media/dac689_a19f64e7924f49fe8fe3cf3536cc8e50~mv2.png/v1/fill/w_334,h_250,fp_0.50_0.50,q_35,blur_30,enc_avif,quality_auto/dac689_a19f64e7924f49fe8fe3cf3536cc8e50~mv2.webp)
![[사설] 전력량보다 전력망이 더 큰 문제다](https://static.wixstatic.com/media/dac689_a19f64e7924f49fe8fe3cf3536cc8e50~mv2.png/v1/fill/w_234,h_175,fp_0.50_0.50,q_95,enc_avif,quality_auto/dac689_a19f64e7924f49fe8fe3cf3536cc8e50~mv2.webp)
[사설] 전력량보다 전력망이 더 큰 문제다
전력망 확충 문제, 한국의 전력 문제는 발전량보다 송전망 부족이 핵심이다. AI 데이터센터 급증과 재생에너지 확대로 전력망 포화가 심화되고 있으며, 기존 송전망 최적화와 지산지소 방식의 구조적 전환이 필요하다.


전력계통 | ‘지산지소(地産地消)', 한국의 전력 구조를 어떻게 재설계할지 묻는 또 하나의 질문
한국 전력망은 재생에너지 확대와 수도권 집중 수요로 구조적 한계에 직면하며, 전력 이동 방식의 전환이 필요한 시점에 와 있다. 지산지소는 송전 부담을 줄이고 지역 계통을 강화할 수 있는 하나의 대안이지만, 지역 수요 부족과 기업 이전의 어려움 등 현실적 한계가 크다. 잘못 설계될 경우 재생에너지 생산은 지방이 맡고 이익은 수도권에 집중되는 ‘재생에너지 식민화’로 흐를 위험도 있다. 그럼에도 적절한 거버넌스와 지역 의사결정 구조가 갖춰진다면 지산지소는 전력망 위기를 완화할 수 있는 유효한 전략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bottom of pag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