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김현권의 농업 이야기 ⑦ | 세계시장을 내다보는 한국의 축산, 한우를 중심으로
한우 세계시장 진출 전략, 한국 축산업이 세계시장 진출을 위해 한우 개량과 사육 기술 혁신을 통한 경쟁력 강화 방안을 제시하고, AI와 IT 기술을 활용한 축산업 발전 전략을 논의한다.


김현권의 농업 이야기 ⑥ | 한우를 좀 더 싸게 자주 먹을 수 없을까
한우 가격 인하 방안, 한우는 30개월의 긴 사육기간과 소규모 축산 농가 구조도 있지만, 산업으로서 봐야 한다. 마리 단위 경매제를 부분육 거래로 전환하고 현대적 육가공 시설 도입을 통해 유통비용을 줄여 한우를 더 저렴하게 공급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


김현권의 농업 이야기 ⑤ | 가공식품의 시대가 오고 있다
가공식품 시장 성장 전망, 한국의 가공식품 산업이 급성장하며 중국을 따돌릴 수 있는 유일한 분야로 주목받고 있다. 쌀 가공산업 매출 8조2천억원, 수출 연평균 22% 성장하며 새로운 기회를 창출하고 있다.


김현권의 농업 이야기 | ④ 농가 지원과 가짜 농민
가짜 농민 직불금 부정수령, 농업재해법과 농업보험법 개정에도 불구하고 가짜 농민들이 직불금을 부당 수령하고 재해보험을 대리 가입하는 문제를 지적하며, 사업자 등록을 통한 근본적 해결방안을 제시한다.


김현권의 농업 이야기 | ③ 왜, 산림경영인가?
산림경영 에너지 자립마을, 오스트리아의 산림 활용 사례를 통해 한국의 산림경영 필요성을 강조하며, 산림을 도시민 중심이 아닌 지역민의 관점에서 바라봐야 한다고 주장한다.


김현권의 농업 이야기 | ② 맑은 강물이 보고 싶다
오염된 강물 정화 방안, 하수도 보급, 축산 분뇨 관리, 화학비료 감축 등 다각도로 접근하며, 바이오 플랜트 보급과 농촌 열 이용 계획으로 농업이 탄소중립에 기여할 수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김현권의 농업 이야기 | ① 농지를 농민에게 돌려 주라
농지제도 구조개혁 필요성, 농지 소유구조 개혁의 필요성을 제기하는 김현권의 농업 이야기입니다. 대농마저 배가 고픈 현실에서 정부의 보조금 증가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농지관리기구 도입을 통한 비농민 농지소유 해결이 중요하다는 점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