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사설] 강릉 발 돌발 가뭄](https://static.wixstatic.com/media/dac689_dbb49591b72046a29650241215197a9a~mv2.jpg/v1/fill/w_334,h_250,fp_0.50_0.50,q_30,blur_30,enc_avif,quality_auto/dac689_dbb49591b72046a29650241215197a9a~mv2.webp)
![[사설] 강릉 발 돌발 가뭄](https://static.wixstatic.com/media/dac689_dbb49591b72046a29650241215197a9a~mv2.jpg/v1/fill/w_234,h_175,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dac689_dbb49591b72046a29650241215197a9a~mv2.webp)
[사설] 강릉 발 돌발 가뭄
강릉 돌발 가뭄 현상, 강원도 강릉시에서 발생한 돌발 가뭄으로 오봉저수지 저수율이 13.8%까지 떨어져 75% 제한급수가 시행되고 있다. 기후변화로 인한 새로운 형태의 기후재난이 전국으로 확산될 가능성을 분석한다.


기후재난리포트12 ⑨ 대규모개발사업
대규모개발사업은 더 이상 지역 발전의 해법이 될 수 없다. 기후위기 시대에는 주민 참여와 숙의 민주주의, 자연 기반 해법과 분산형 대응이 진짜 대안이다.


기후재난리포트12 | ‘기후 돌봄(Climate Care)’ 공동체가 필요하다
기후위기의 시대, ‘기후 돌봄(Climate Care)’이 새로운 대응 방식으로 주목받고 있다. 단순한 기후변화 대응을 넘어, 재난과 위험으로부터 공동체를 보호하고 함께 살아가는 방식이다. 지역 주민들이 주도하는 기후 돌봄은 위기 상황에서 서로를 돌보며 회복력을 키우는 중요한 기반이 된다. 지역 사회가 중심이 되어 에너지 자립, 친환경 농업, 자원 순환 등 지속 가능한 생활 방식을 도입해 기후 변화에 대응하는 것이 핵심이다. 공동체는 기후 재난 시 취약 계층을 보호하고, 심리적·정서적 안정감을 제공하며, 재난 대응력과 적응력을 높인다.성북기후행동, 노원도시농업네트워크, 성대골에너지자립마을, 노을공원시민모임 등 다양한 기후 돌봄 공동체가 이미 이러한 실천을 통해 지역사회의 회복력을 강화하고 있다. 이러한 공동체들은 지역 주민들이 기후 위기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학습과 참여의 기회를 제공하며, 기후위기 대응 정책을 함께 요구하는 풀뿌리 민주주


[사설] 대한민국에서도 기후 이주는 시작되었다
기후변화로 인해 삶의 터전을 잃고 이동해야 하는 '기후이주'가 이미 대한민국에서 시작되었다고 경고하는 글입니다. 사회적 약자들이 기후변화의 가장 큰 피해자가 되는 현실을 꼬집으며, 정부와 사회가 정의로운 해결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역설합니다.


기후 재난 리포트12 ① 대형산불
대형산불과 기후변화의 상관 관계를 밝히고, 정책이 기후변화에 맞춰 산림 정책을 펴지 못하는 문제 지적과 그간 피해자 보상문제가 사회적으로, 현실적으로 반영되지 않는 여러 문제를 짚어본다. 기후변화라는 요건에 맞춰 산불 대응 체계의 필요성과 피해주민의 경제적 지원뿐만 아니라 심리적 측면까지 아우르는 포괄적인 지원 체계 마련이 시급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