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이의철ㅣ전문의ㅣ기후위기와 기후미식
황희정 기자 2024-03-20 이의철은 직업환경의학 및 생활습관의학 전문의다. 14년 전부터 식물성 식사를 유지하고 있다. 현대인들이 겪는 다양한 만성질환을 치료하고 예방하는 데 힘쓰고 있다. 현재 LG에너지솔루션 기술연구원 부속의원 원장과...
0
![[사설] 기후위기시대, 먹거리의 재정의](https://i.ytimg.com/vi/7ErKuXByRto/maxresdefault.jpg)
![[사설] 기후위기시대, 먹거리의 재정의](https://i.ytimg.com/vi/7ErKuXByRto/maxresdefault.jpg)
[사설] 기후위기시대, 먹거리의 재정의
김용만 대표 편집인 인간은 먹지 않으면 살 수 없다. 자연에서 에너지를 공급받지 못하면 생존할 수 없는 존재다. 식량 확보는 인류의 오랜 숙원이고 이를 위해 전쟁까지 불사하곤 했다. 인류사는 먹거리 투쟁사라고 볼 수 있다....
0


송원규 | (사)농정전환실천네트워크 | 지구와 인간이 상생하는 '대안적 먹거리 체계'
송민경 기자, 양성욱 영상 2024-03-14 송원규는 농과대학을 졸업한 후 농민단체에서 활동했다. 이후 석박사과정에서 유통구조와 직불제를 연구했으며 농식품경제학에서 로컬푸드, 지역 먹거리 정책으로 연구 분야를 확장해 왔다. 농민의 입장에서...
0


생태포럼 | 오일장에서 만나는 탄소발자국
걸어서 갈 수 있는 시장이 있는 곳으로 “산들아, 오늘 장날이야! 장에 가지 않을래?” 아내가 일하는 백년숲 사회적협동조합이 있는 다운동에는 5일마다 장이 열립니다. 산들이는 장에서 호떡과 튀김과 순대, 떡볶이를 사 먹습니다. 아빠는 청양고추가...
0


현장취재 | 아르코-대학로예술극장 '기후 프로젝트' | 씨앗이 극장에 간 이유
아르코·대학로예술극장의 '기후 프로젝트'는 "기후위기 시대에 예술과 극장이 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일까?"라는 질문에서 출발했다. 토종씨앗, 균사체, 박쥐를 주제로 한 다양한 시도가 극장 곳곳에서 이루어질 예정이다.
0


제6강 국민복지를 위한 치유 숲 | 신원섭
강의 신원섭 정리 김우성 전문기자 귀한 발걸음을 해 주셔서 고맙습니다. 저는 성공회대에 처음 왔습니다. 아주 아름답고 고즈넉한 건물을 가진 대학에서 강의하게 돼서 영광입니다. 날이 추워진다고 든든하게 입었는데, 서울 날씨까지 이렇게 따뜻하게...
0


현장취재ㅣ강의실에서 만나는 '숲' | 성공회대 '숲의 이해' 교양과목 개설
황희정 기자, 김동혁 영상기자 2024-03-15 성공회대와 '플래닛03'이 공동 개설한 '숲의 이해 ' 강의 현장. planet03 DB 숲, 20대 청년들을 찾아가다 성공회대와 '플래닛03'이 <숲의 이해> 교양과목을 개설했다. 한 학기...
0


이영미 | 식물식평화세상 대표 | 내가 먹는 것이 내가 원하는 세상과 연결된다
박성미 총괄 2024-03-12 평화밥상 연구가. 식물식밥상 지도사. 20살 무렵 세상의 평화를 고민했다. 결혼 후 밥상을 차리면서 참된 밥상이 무엇인지를 알고 싶었다. 자연식물식을 공부하면서 세상의 평화가 밥상에서 시작될 수 있음을 깨달았다....
0


생태포럼ㅣ한반도를 숲으로 연결해야 합니다
한반도 전체 숲에서 연간 최대 5,200만톤의 탄소를 흡수할 수 있습니다 북의 숲은 황무지에 가깝습니다. 북의 산림면적은 약 900만ha로 대한민국의 산림면적보다 넓지만, 이 중 31.6%인 284만ha가 황폐산지입니다. 숲에 자라는 나무의...
0
![[사설] 기후운동과 노동운동의 교집합](https://i.ytimg.com/vi/z1MypL_xQYU/maxresdefault.jpg)
![[사설] 기후운동과 노동운동의 교집합](https://i.ytimg.com/vi/z1MypL_xQYU/maxresdefault.jpg)
[사설] 기후운동과 노동운동의 교집합
김용만 대표 편집인 산업혁명은 자본주의와 노동운동의 출발이다. 또한 지금의 기후위기와 환경운동의 시작점이다. 산업혁명이 잉태한 자본주의는 도시로 노동자를 불러들였다. ‘인클로저’다. 자본가들은 몰려든 사람들을 고용했고...
0


시민정치 현장을 가다 | 평화 운동 | 평화네트워크 정욱식
정욱식 | 한겨레평화연구소장 | 평화네트워크 대표 핵과 전쟁이 없는 세상, 모두가 공평하게 누리는 평화를 상상하고 궁리해 온, 평화 연구자이자 활동가로 1999년 평화네트워크를 설립해 활동하고 있다. 고려대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0


시민정치 현장을 가다ㅣ교육운동ㅣ'시흥배곧 '의 차기택
박성미 총괄 황희정 기사 2024-03-05 시흥미래교육포럼은 지역교육과의 협력 마을교육특구인 배곧에서 환경교육을 진행하고 있는 교사가 있다. 바로 배곧고등학교의 차기택 교사이다. 그는 환경교육진흥협의회 의원이자 시흥미래교육포럼의 기후환경분과...
0


액티비티 | 시민정치 현장을 가다 | 생태운동 | 산과 자연의 친구 이혜숙
박성미 총괄 2024-03-05 이혜숙은 북한산 가까이에서 30년을 살았다. 산을 사랑하고 산에서 만나는 나무와 꽃을 사랑한다. 궁궐도 사랑한다. 숲해설가가 아니지만 누그든 어디든 숲이 있는 곳에서 사람들이 부르면 기꺼이 간다. 나무가 왜...
0


액티비티 | 시민정치 현장을 가다 | 공동체 운동 | 울산 소호마을 유영순
김우성 객원기자 2024-03-05 내가 행복해야 공동체가 행복하다 유영순씨는 1967년생, 올해 56세, 양띠다. 23년 전 귀산촌해서 울주군 상북면 소호마을에 살고 있다. 마을공동체를 일구어온 1세대 마을활동가다. 4년전부터 모든 직함을 ...
0


특별기고 | 기후공약 유감
전재경 2024-03-05 전재경 환경사회경영원장 동국대학교 법학과 졸업, 같은 대학교 대학원에서 법학박사를 받았다. 법무부 참사 및 전문위원(1981~1990), 한국법제연구원 연구위원 및 연구본부장(1990~2014), 사회자본연구원...
0


가치소비 | 이든교육 | '에코100 피켓'으로 탄소중립 교육까지 일석이조 효과
황희정 기자 2024-03-05 2500년 동안 썩지 않는 피켓 이든교육은 전국 초중고등학교의 교육용 기자재를 유통하는 기업이다. 2023년 기준으로 전국의 약 1만1800곳 초중고교 중 7500여개 학교에 기자재와 교육용품을 공급하는 회사다....
0


최중기 교수ㅣ해양생태학자ㅣ 해양생태계가 살아야 지구가 산다
황희정 기자 2024-03-05 최중기 해양생태학자 planet03 DB 최중기 교수는 서울대학교에서 해양학을 전공했다. 1980년에서 2015년까지 인하대학교 해양학과에서 후학을 가르치며, 플랑크톤 생태학을 연구했다. 1989년 Univ....
0


기획특집 | 생태정치포럼, 22대 총선에 제안한다
2024. 03.03 '생태정치포럼'(제종길, 전재경, 윤여창 공동대표)이 22대 국회의원 선거를 맞아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생태정치'를 제안했다. 생태정치는 기후위기의 원인을 생태계 파괴로 규정하고,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탄소배출을...
0


제5강 산림정책 패러다임의 변화와 미래정책 이슈 | 배재수
강의 배재수 국립산림과학원 원장 정리 김우성 전문기자 산림정책 패러다임의 변화와 미래정책 이슈: 산림자원의 장기 변화를 중심으로 저는 원장이 되기 전, 작년까지 연구했던 사람입니다. 산림정책사를 전공했어요. 역사 전공인데, 궁금했어요....
0
![[사설] ‘커먼스’ 의 귀환](https://i.ytimg.com/vi/CxC161GvMPc/maxresdefault.jpg)
![[사설] ‘커먼스’ 의 귀환](https://i.ytimg.com/vi/CxC161GvMPc/maxresdefault.jpg)
[사설] ‘커먼스’ 의 귀환
김용만 대표 편집인 ‘커먼스의 비극(The Tragedy of the Commons)’은 미국의 생태학자 개릿 하딘이 사이언스지에 기고한 에세이 제목이다. 개인의 죄의식 없는 이익 추구가 사회 이익의 축소와 파멸을 가져 올 수 있음을,...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