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이유진ㅣ녹색전환연구소 소장 | 유권자를 찾아가다
황희정 기자 2024-02-06 사진 : 이유진 planet03 DB 이유진은 녹색전환연구소 소장이며 지역에너지 전환 전국네트워크 ( GUSSWO )의 공동대표이다. 국무총리 그린뉴딜 특보, 서울에너지공사 비상임 이사를 역임 했다. ...
0


김현우 | 탈성장과 대안연구소 | '탈성장'은 이미 존재했다
박성미 총괄 2024-02-08 사진: planet03 DB 김현우 소장은 '성장과 대안연구소 '소장으로 '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 연구기획위원.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연구위원, 진보신당 정책연구원으로 활동하며 정의로운 에너지 전환을 위한 연구와...
0
![[사설] 제설(除雪)로 사라진 것들](https://i.ytimg.com/vi/QHSbejEjwH0/maxresdefault.jpg)
![[사설] 제설(除雪)로 사라진 것들](https://i.ytimg.com/vi/QHSbejEjwH0/maxresdefault.jpg)
[사설] 제설(除雪)로 사라진 것들
김용만 대표 편집인 소복소복 내리는 눈 만큼 서정의 샘을 자극하는 것도 드물다. 하얗게 변한 세상을 바라보고 있노라면 세파에 찌든 마음이 정화되곤 한다. 하지만 감상은 여기까지이다. 잔설까지 허락하지 않는 대대적인 제설(除雪) 작전으로 순식간에...
0


기획특집 | 다가올 제22대 국회, 생태 정치가 필요하다
황희정 기자 2024-01-30 기후, 숲, 생태, 산림, 에너지 관련 국회의 입법 발의 안건, 전체의 1%에 머물러 제22대 총선이 다가오고 있다. 그렇다면 제21대 국회는 무슨 일을 했을까. 본지가 국민참여입법센터 (...
0


김추령| 지구과학 교사 | 자연에게도 권리가 있음을 인정하자
송민경 기자 2024-01-30 김추령 『 지금 당장 기후 토론 』 저자이며, 37년간 지구과학 교사 생활을 했다. '가치를 꿈꾸는 과학교사 모임'에서 활동 중이다. 『 오늘의 지구를 말씀드리겠습니다 』 , 『 내일 지구 』 , 『 지금...
0


특별기고 | 때마다 검토대상에 오르는 자연 관련 기구들, 위상 바로잡아야
전재경 환경사회연구원장 동국대학교 법학과 졸업, 같은 대학교 대학원에서 법학박사를 받았다. 법무부 참사 및 전문위원(1981~1990), 한국법제연구원 연구위원 및 연구본부장(1990~2014), 사회자본연구원 원장, 서울대학교 대학원...
0
![[사설] 일본 노토반도 지진과 원자력 발전소를 다시 보다](https://i.ytimg.com/vi/VB4rTjIp9gw/maxresdefault.jpg)
![[사설] 일본 노토반도 지진과 원자력 발전소를 다시 보다](https://i.ytimg.com/vi/VB4rTjIp9gw/maxresdefault.jpg)
[사설] 일본 노토반도 지진과 원자력 발전소를 다시 보다
김용만 대표 편집인 지진은 인류가 극복하지 못한 자연의 영역이다. 지진이 발생하는 원인과 그 예측은, 달 기지를 건설하고 화성 이주를 준비하는 현대 과학기술로도 쉽지 않아 보인다. 지진에 따른 피해 규모는 행성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0


조천호 | 대기과학자 | 과학적 사고와 책임 있는 정치가 필요한 시대
2024-02-08 박성미 총괄 조천호는 대기과학자다. 기상학과를 졸업했고 연세대 대기과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국립기상연구소의 예보연구실, 지구대기감시센터, 지구환경시스템연구과를 거쳐, 기후연구과를 거쳐 제1대 국립기상과학원 원장을...
0


김경문ㅣ성공회대총장 | 기후변화의 피해는 가난한 사람, 소외된 사람들에게 먼저 찾아와
기후, 숲, 생태에 대한 이해와 관심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우리는 태양계의 세 번째 행성 지구의 주민으로서 자연과 공생하며, 더 나은 미래를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이러한 시대정신을 담은 미디어 플래닛03의 창간을 위해 애써주신...
0


IPCC | 기후 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
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ge)는 1988년 11월 유엔 산하 세계기상기구(WMO)와 유엔환경계획(UNEP)이 공동으로 설립한 정부간 기후 변화 협의체이다. IPCC는 1988년 11월에 결정된...
0


최무열 ㅣ임업후계자협회 회장 | 산이 살아야 나라가 살고, 임업인이 살아야 경제가 산다
최무열 임업후계자협회 회장 산이 살아야 나라가 살고, 임업인이 살아야 경제가 산다 겨울 가뭄 때문에 산에 작물이 죽어가고 있습니다. 우리 임업인들은 그것을 체감하며 살고 있습니다. 지구온난화는 생각보다 우리 눈 앞에 와 있습니다. 외면하고 싶어도...
0


창간사ㅣ김용만 | 생태계의 안전과 예측 가능한 미래를 위하여
지난 1월 10일, 기후 숲 생태 전문 미디어 '플래닛03'의 창간식이 청년문화공간 니콜라오홀에서 열렸다. 한국임업인 총연합회 박정희 회장과 성공회대학교 김경문 총장, 자연환경국민신탁 전재경 대표, 자연의 벗 연구소 오창길 이사장을 비롯해 각계...
0


생태활동가, 청년 김우성의 기후숲 | 김우성
생태학자 아빠의 육아 에세이, 아이를 키우는, 한국의 젊은 스콧과 헬렌 니어링 김우성은 40살 청년 생태활동가이다. 서울대학교 산림과학부에서 산림환경학(학사), 조림복원생태학(석사),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에서 생물지리학 박사 과정을 수료했다....
0


김태호 | 차칸가게 대표이사ㅣ착한 성분으로 '가치' 있는 제품을
2024-01-10 박성미 기자 김태호 대표는 화학을 전공했다. 잘 나가는 글로벌 화학 제품 회사에 다니던 중 회사의 신체 검사에서 호흡량 평균 이하 진단을 받는다. 처음으로 그는 자신이 만들어 온 화학 제품들을 돌아 보게 되었고 회사를 그만...
0


박지혜 | 현실의 정치로 기후 위기를 극복할 수 있을까?
2024-04-01 박지혜 변호사 지난 2024년 11월 17일 전 세계는 놀라운 소식을 접했습니다. 지구 표면 온도가 일시적이지만 산업화 이전보다 섭씨 2.06도 높아졌다는 소식입니다. 올해 지구 온도는 사상 최고 수준을 수차례 갱신하며 가장...
0


액티비티 | 박준형 | 국민의 숲, 응급구조사에서 시골 활동가로
2024-01-06 박성미 총괄 박준형(49세)은 경북 문경에서 아내와 아들 셋과 살고 있다. 응급구조사였던 그는 병원 대신 자연을 선택했다. '우이령보존회'에서 활동가로 성장했고, '한국내셔널트러스트'와 '귀봉본부'에서 활동했다. 이후 문경에...
0


오창길 | 자연의벗연구소 이사장 | 문제를 해결할 정보를 제공하고, 기후 변화의 대응 전략을 함께 모색하는 장
오창길 | 자연의벗연구소 이사장 자연의벗연구소에서 플래닛03의 개국 축하 인사를 전합니다. 기후, 숲, 생태에 관한 이야기를 전문적으로 다루는 새로운 미디어 플래닛03은 기후 위기의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새로운 통찰력을 제공할 것입니다. 환경...
0


마리연 Marie-Yon, StrueckerㅣUNEPㅣ지구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인간, 동물, 농업 및 생태계 건강을 통합해야 (One Health for One Planet)
마리연 Marie-Yon, StrueckerㅣUNEPㅣ지구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인간, 동물, 농업 및 생태계 건강을 통합해야 (One Health for One Planet)
0


김호ㅣ한국기후변화학회 회장ㅣ전문가 담론을 대중화
김 호 한국기후변화학회 회장 Planet03의 창간을 진심으로 축하합니다! 최근 기후 위기가 심화되면서 사람들의 관심이 이에 집중합니다. 하지만 구체적인 해법은 서로 다른 게 생각합니다. 인간이 이제까지 누려온 것들을 전혀 포기하지 않으면서...
0


조동성ㅣ산업정책연구원 이사장ㅣ기후위기는 국가간 노력과 기업 참여가 필요
Planet03의 창간을 진심으로 축하합니다! 안녕하십니까? 산업정책연구원(IPS)의 원장 조동성입니다. 1993년 산업자원부(現 산업통상자원부) 허가에 의해 설립된 IPS는 국내외 경쟁 환경 뿐만 아니라 미래의 환경 변화를 예측하고, 그에...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