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제종길의 끝장난 바다 | ⑤ 미니 대양, 동해 제대로 알기 프로젝트 출범
동해 해양생태계 특성, 제종길이 소개하는 '우리 바다, 동해'의 독특한 생태계와 환경 변화, 새로운 동해 시대를 열기 위한 프로젝트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세토우치 트리엔날레를 찾다 ⑩ 실질적 ‘바다의 복원’ 없이는 예술제 목표 달성이 어렵다
세토우치 바다 복원 예술제, 세토우치 트리엔날레 예술제의 목표는 '희망의 바다'를 만드는 것이었지만, 실질적인 바다 복원 없이는 지역 문제 해결이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예술제가 성공적인 관광 유치에도 불구하고, 지역 주민의 삶과 연계되지 않아 장기적인 지역 활성화에는 한계를 보였다는 것이 핵심 내용이다.


제종길의 끝장난 바다 | ③ 블루카본, 블루이코노미를 키우려면 블루솔루션
해양 블루카본 정책 전략, 해양 생태계 보전과 경제발전을 동시에 추구하는 블루이코노미의 핵심인 블루카본 정책을 소개한다. 블루카본은 해안 식생대의 탄소 흡수 및 저장 능력을 높여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이를 통해 해양산업 발전도 도모하는 자연 기반 해법이다.


특별상영 | 바다가 전하는 마지막 신호, 다큐멘터리 <씨그널>
공해 해양보호구역 체계, 그린피스가 제작한 해양 다큐멘터리 <씨그널>은 공해 보호 중요성을 전하며, 전 세계 바다의 61%를 차지하는 공해 보호를 위한 새로운 글로벌 해양조약 제정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