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순환경제 | 묻을 땅이 없다, 쓰레기를 만들지 않거나 자원순환을 정착시키거나
중국의 쓰레기 수입 금지와 수도권매립지 포화로 한국이 직면한 쓰레기 위기 상황을 분석하고, 소각장 확대의 한계를 짚으며 근본적 해결책인 순환경제 전환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기후재난리포트12 ⑩ 양수발전 | 국가적 '필요'와 공동체의 '희생'
정의로운 에너지 전환, 한국의 국책 에너지 사업이 '국가적 필요'를 명분으로 지방 주민의 희생을 강요하는 구조를 분석하고, 홍천 양수발전소와 밀양 송전탑 사례를 통해 정의로운 에너지 전환 방안을 제시한다.


기획 | '기후댐'을 쌓는 나라, '댐'을 철거하는 나라
기후댐 환경 논란, 기후 변화 대응을 명분으로 한국이 추진 중인 댐 건설이 논란이다. 유럽은 반대로 자연 하천 복원을 추진하며 생태계 보호에 힘쓰고 있다. 한국 정부의 댐 건설 계획이 세계적 추세와 배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획 | 계통망 없는 에너지 전환은 전환이 아니다
에너지 전환 계통망 문제, 계통망 없이는 전환이 불가능하다. 재생에너지 확대에도 불구하고 계통망의 한계로 전기 낭비가 발생하고 있다. 선제적 계통 계획과 다각도의 정책 대응이 정의로운 에너지 전환의 핵심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