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전문가 칼럼 | 제종길의 남행 수중 탐사2 | 그곳에 제주 바다가 있다

 

2024-09-05


제종길 박사는 1993년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해양생태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1984년부터 20년간 한국해양연구소에서 일했다. 2001년 대통령 산업포장을 수상했다.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어 '국회바다포럼'과 '국회기후변화포럼' 회장을 역임했다. 2007년 환경기자가 선정하는 '올해의 환경인상'을 수상했다. 2008년 '도시와 자연연구소'를 만들었으며 '기후변화행동연구소' 고문을 지냈다. 2010년 한국 생태관광협회 창립을 주도했으며, 한국보호지역포럼 대표를 2014년까지 맡았다. 2014년 제13대 경기도 안산시장으로 당선되었으며, '에너지 정책 전환을 위한 지방정부협의회'를 이끌었다. 2019년부터 2년간 '전국시장군수구청장협의회' 사무총장으로 일했고, 2021년에는 대한민국 지속가능발전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다. 현재 수중환경과학협의회 회장으로 활동 중이다. 저서로는 『숲의 도시』(2022), 『도시재생학습』(2018), 『도시 견문록』(2014), 『도시 발칙하게 상상하라』(2014), 『환경박사 제종길이 들려주는 바다와 생태이야기』(2007), 『우리바다 해양생물』(공저, 2002), 『이야기가 있는 제주바다』 (2002) 등이 있다.

 

섬을 둘러싼, 옥색 바닷물 울타리


바닷속에 미친 사람들은 가슴 한편에 제주 바다를 두고 있습니다. 다이빙을 어디서 배웠든 간에 제주가 다이버들의 마음의 고향이기 때문입니다. 누군 성지라고 하지요. 육지에서 물질을 배우고 살다가 어느 날에 제주에서 내려와 평생 살기도 하고, 잠시 머물다 아쉬워하며 돌아갑니다. 한둘이 아니고 사연도 다양합니다. 저도 집을 구하러 몇 년을 다녔습니다. 좋은 기회가 몇 번이 있었는데 그때 내려왔더라면 영영 제주를 못 떠났을 겁니다. 40여 년 전 처음으로 비행기를 타고 하늘에서 바라본 제주도는 환상 그 자체였습니다. 섬을 둘러싼 옥색 바닷물 울타리가 가슴을 뛰게 했습니다. “저 물속에 분명 산호초가 있을 거야!”라고 생각했습니다. 그 후 몇 차례 오가며 우도의 관광지 ‘서빈백사(西濱白沙)’에 ‘산호 해변’이 있다고 할 때 “그것 봐!” 하였습니다. 나중에 해변의 모래가 해조류-홍조류의 일종인 산호말류의 사체라는 것을 알고 실망하기도 했습니다.


난류를 타고 북상한 열대와 아열대 생물들의 피난처, 제주도


제주도는 우리나라 가장 남쪽에 있는 섬이자 가장 큰 섬입니다. 부속 섬인 가파도와 마라도가 유인도이지만 생태적으로 독자적인 특성을 가진 해역이라고 말하긴 어렵습니다. 지리적으로 보면 제주도와 그 주변 해역은 우리 바다의 입구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해류는 리만해류가 있으나 규모 면에서 구로시오의 지류인 대마난류와는 비교가 되지 않고 3면의 바다에 다 영향을 미치는 것도 아닙니다. 제주도가 대한해협 초입에 있으니 북상하는 난류는 제주도를 거쳐 갈 수밖에 없습니다. 그러니 이 거대한 난류를 타고 북상한 열대와 아열대 생물 인자들에겐 완전히 다른 환경인 찬 바다로 가기 전, 제주도는 주요 피난처가 됩니다. 최근에 더 불거졌지만 20여 년 전부터 다이버들은 열대나 아열대 생물들의 침입을 우려하곤 했습니다. 다이버들이 자주 가는 서귀포 앞바다는 여름에 거칠고, 겨울에 덜 거칠지만 추워서, 다이빙할 때면 수온이 좀 더 따뜻하고 잔잔하기를 바랐던 적도 있었습니다. 그런데 수온 상승으로 수중의 풍경이 점차 달라지자, 다이버들마저도 위기를 느끼게 된 것은 역설적이기도 합니다.


식물들과 장소 경쟁을 하지 않는, 연산호류


30년 전만 하더라도 말미잘과 공생하는 흰동가리는 귀한 손님이었고 수중사진가들에게 최고의 피사체였습니다. 다른 다이버들이 이들을 다치게 할까 봐 사는 자리를 자신만 알고 지내기도 했습니다. 다이버들은 ‘연필성게’나 ‘긴가시성게’라 불렀던 관극성게류를 어쩌다 발견하면 기뻐했습니다. 그때만 하더라도 연산호 군락도 열대의 산호초와 연계하여 생각했습니다. 이들 두 산호류의 서식 환경 차이는 수온보다는 빛과 더 관련이 깊습니다. 연산호류는 수직 벽이나 수심이 조금 있는 상대적으로 어두운 곳을 주로 선호하는 반면에, 산호초를 구성하는 조초산호는 석회질 골격을 가지고 있고 골격을 수평구조로 만듭니다. 그래야 산호에게 영양을 공급하는 공생 미세조류인 주산텔레(zooxanthellae)가 빛을 더 받아 광합성을 잘 할 수 있습니다. 이 점이 조초산호가 온대 해역에 오면 감태와 같은 해조류와 장소 경쟁을 하게 되어 문제가 됩니다. 연산호는 공생조류를 가지지 않을 뿐더러 식물들과는 장소 경쟁도 하지 않습니다.


제주도의 남쪽 바다의 수심 15m 부근의 바위에는 연산호 군락이 발달해 있다. 이들 군락은 이보다 얕은 곳에 사는 감태 등 대형 갈조류와 대체로 중복해서 살지는 않는다. 사진_ 김병일

연산호류는 수심이 얕은 평탄한 곳보다는 사진과 같이 직벽인 곳을 선호한다. 사진_조은진

간빙기에 난류가 한반도에 왔다가, 빙기에는 물러난다


구로시오는 적어도 수천만 년 동안 열대 해역의 열을 우리 바다로 실어 날랐습니다. 지구는 이 기간에 빙기(기온이 낮아 지구 표면에 얼음으로 덮인 곳이 많았던 시기)와 간빙기(빙기와 빙기 사이로 상대적으로 따뜻했던 시기)를 거듭했습니다. 간빙기에는 한반도 주변에까지 난류가 왔다가 빙기에는 바닷물도 어니까 해수면은 낮아져 후퇴합니다. 지금으로부터 가장 최근인 ‘마지막 최대 빙하기(Last Glacial Maximum)’, 즉 빙상이 최고 많았던 시기는 2만6000년부터 2만 년 전입니다. 당시 빙상은 북미 북부, 북유럽 및 아시아 대부분을 덮고 있었으며, 해수면이 가장 낮았던 시기입니다. 박용안 등(2001)은 이때의 해수면은 현재보다 약 138∼143m 아래에 있었다고 하였습니다. 서해와 동중국해 그리고 남해는 존재하지 않았고, 한반도와 일본열도는 중국과 하나의 대륙으로 존재했습니다. 규슈 서쪽에 있는 작은 바다 ‘아리아케가이(有明海)’의 갯벌과 전라남도 갯벌의 생물상이 유사한 것도 이런 해수면 변동과 관련이 있습니다.


해조류를 없애는 돌산호류의 확산


제주 바다에서 전형적인 조초산호는 아니지만, 돌산호류가 제주도에 자리를 잡기 시작했습니다. ‘빛단풍산호’라고 불리는 종을 비롯한 몇몇 종입니다. 이들의 공통 특성은 바위를 피복하고 해조류와 경쟁에서 우위를 보여 식물이 자랄 기반을 없애고 있다는 점입니다. 동아시아 해역의 고유종인 거품돌산호의 서식밀도가 크게 높아지고 분포 구역도 크게 넓어지고 있습니다. 아울러 제주도의 상징이었던 수산물 소라(일명 뿔소라)도 가거도와 울산 인근 해역에서 생산되고 있습니다. 『제주환경일보』(2022)는 제주도 남쪽 바다에서 과거 30년(1961~1990) 대비 최근 10년(2011~2020) 동안, 평균 수온은 15.9℃에서 16.9℃로 1℃ 올랐다고 했습니다. 제주도 해양수산연구원은 1989년부터 2018년까지 30년간 해수면이 연평균 4.26mm가 상승해 전국 평균인 2.97mm를 크게 넘어섰다고 했습니다(『제주뉴스』, 2022 인용).



제주도에 출현한 돌산호인 ‘빛단풍돌산호(Montipora millepora)’은 아열대로부터 가장 먼저 진출하고 가장 넓게 퍼져 사는 종인데 주로 갈조류가 부착해서 살던 기질을 피복해 차지한다. 간혹 연산호와도 서식지 경쟁하는 것을 목격하기도 한다. 사진_김병일

이번 해수온 상승에 따른 난류 북상은 인간 활동의 결과


해양생물들이 특히 산호초가 열대에서 온대 해역으로 올라오고 있는데 이것은 지구의 긴 역사로 볼 때 자주 있었던 일입니다. 그런데 이번은 몇백만 년을 주기로 반복되던 간빙기와 빙기의 주기 때의 북상과는 다릅니다. 이번의 해수온 상승에 따른 북상은 인간 활동의 결과에 따른 것이고 그 변화의 속도가 너무 빠르다는 점입니다. 제주도보다 고위도인 쓰시마(북위 34.2도)와 이키노시마(북위 33.8도)에는 이미 전형적인 조초산호인 아크로포라(Acropora) 속 산호초가 출현하고 있습니다. 산호초의 이동은 간빙기에는 약 북위 31도(일본의 규슈의 남단 도시 가고시마의 최남단 지점)까지 전진했고, 빙기에는 북위 25도(미야코지마 부근)까지 후퇴를 거듭했습니다. 그러니까 빙기에는 구로시오의 강도가 약하여 대한해협이나 일본 주변 해역의 수온까지 따뜻하게 하지 못했습니다. 한편 서귀포시는 북위 33.1도입니다. 위 일본의 두 섬의 변화를 자세히 지켜봐야 할 이유입니다.



적도 부근에 있는 인도-태평양 웜풀의 변화 지도다. 최근에 수온이 더 높아지고 면적도 넓어졌음을 볼 수 있다. 미국 해양대기청 NOAA 자료 인용

제주 바다 해양생물은 그나마 해수온 상승에 버티고 있다


구로시오는 ‘북태평양 아열대 순환류(North Pacific Subtropical Gyre)’로 지구상에서 가장 크고 따뜻한 해수면이 있는 적도 부근의 ‘인도-태평양 웜풀(IPWP, Indo-Pacific warm pool)’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문제는 해역의 수온이 높아지고 그 규모도 점차 확대되고 있다는 점입니다. 해수면 상승 속도도 세계에서 가장 빠르다고 합니다. 그러니 제주도 주변 해역의 해수면 상승 속도와 수온 상승 그리고 주변 다른 해역에서 빠른 이유가 웜풀의 변화와 관련 있어 보입니다. 이 점은 장마철 강수량과 태풍의 세기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이번 제주도 장마철의 강수량이 역대급이라는 뉴스도 보았습니다. 한반도의 3면과는 확연히 다른, 그리고 바다의 다양성을 크게 높여 주고 있는, 우리에게 너무나 소중한 제주 바다. 앞에서 언급한 일본의 두 섬과는 달리 전형적인 조초산호가 나타나지 않은 점과 해조류들이 나름대로 버티고 있는 점에 대해서 주목하려고 합니다.


지난 기사 보기



댓글 2개

관련 게시물

전체 보기

2 Comments

Rated 0 out of 5 stars.
No ratings yet

Add a rating
Guest
Sep 08
Rated 5 out of 5 stars.

좋은글 잘읽고갑니다~^^

Like
제종길 TV
제종길 TV
3일 전
Replying 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