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연대요청] 제주해녀 이유정, 해군UDT,어촌계, 공동체가 지켜가는 바다](https://static.wixstatic.com/media/f8a1d4_c0e7156920074a228d74cda42d1f3512~mv2.jpg/v1/fill/w_334,h_250,fp_0.50_0.50,q_30,blur_30,enc_avif,quality_auto/f8a1d4_c0e7156920074a228d74cda42d1f3512~mv2.webp)
![[연대요청] 제주해녀 이유정, 해군UDT,어촌계, 공동체가 지켜가는 바다](https://static.wixstatic.com/media/f8a1d4_c0e7156920074a228d74cda42d1f3512~mv2.jpg/v1/fill/w_234,h_175,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f8a1d4_c0e7156920074a228d74cda42d1f3512~mv2.webp)
[연대요청] 제주해녀 이유정, 해군UDT,어촌계, 공동체가 지켜가는 바다
제주해녀 해양정화 활동, 제주해녀 이유정과 해군UDT, 중문어촌계가 14일 중문항에서 해양정화활동을 공동 실시했다. 환경다큐 '씨그널' 주인공 이유정이 이끄는 제주좀녀팀이 참여해 수중쓰레기를 수거하며 바다보호 실천의지를 보여줬다.


기후재난리포트12 ⑫ 생물다양성 | 사라지는 해양 생명, 한반도 전체에 충격 가져와
기후변화 해양생물다양성 위기,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온 상승이 한반도 주변 해역의 생물다양성을 급격히 변화시키고 있다. 명태·오징어 등 한류성 어종은 감소하고 방어·전갱이 등 난류성 어종이 증가하며 수산업 구조가 재편되고 있다.


기후재난리포트12 ⑪ 해양산성화 | 바다에 녹아든 이산화탄소, 바다 사막화까지 이어져
바다숲 복원 갯녹음 대응, 해양산성화와 갯녹음으로 한국 연안 생태계가 심각한 위기를 맞고 있으며, 정부가 2030년까지 5만4천ha 바다숲 조성을 목표로 복원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나 사후관리 부실과 생태학적 접근 부족이 한계로 지적된다.


인사이트 | 이유정 해녀 | 세계에 바다의 변화를 알리다
제주 해녀 환경보호 활동, 제주 이호마을 막내 해녀 이유정이 6년간 바다 쓰레기를 줍고 기후변화로 달라진 제주 바다를 기록하며, 해녀의 현실과 환경보호 활동을 통해 선한 영향력을 펼치고 있는 이야기를 전한다.


기후재난리포트12 ⑪ 해양산성화 | 해양산성화,생물종다양성 파괴, 인류생존까지 위협
해양산성화 생물다양성 위협, 해양산성화로 인해 산호와 패류 같은 석회화 생물은 쇠퇴하고 해파리와 침입종은 번성하면서 해양 생태계가 근본적으로 재편되고 있다. 먹이망 붕괴와 생태계 서비스 약화로 인류 생존 기반이 위협받는 상황을 분석한다.


기후재난리포트12 ⑪ 해양산성화 | 바다의 '생산성' 따지기보다 '생명'이라는 인식 가져야
2025-09-04 김복연 기자 한국 연근해 수산자원은 기후위기와 남획으로 급격히 줄어들고 있지만, 정부 정책은 여전히 산업 지원과 단기 피해 보전에 집중돼 있다. 김 양식을 육상으로 옮기는 해법처럼 인간에게 유리한 기술적 대안이 등장하지만 이는...


기후재난리포트12 ⑪ 해양산성화 | 해양산성화와 해양폭염은 쌍둥이 위협, 겹치는 연안지역 생명체 집단 폐사
2025-09-04 김복연 기자 올여름 한반도 폭염은 북태평양 고기압의 이례적 확장과 정체가 주요 요인으로, 기상청은 이를 직접 원인으로 지목했다. 그러나 바다가 비정상적으로 달궈지는 해양폭염 역시 대기를 강화하며 폭염을 장기화하는 배경 요인으로...


인사이트 | 박명숙 KIOST 해양위성센터 책임연구원 | 괴물 태풍을 키우는 해양 폭염
2025-07-23 김복연 기자 박명숙 박사는 해양기상, 위성 지구관측 전문가로 서울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대기과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미국 해군대학원(Naval Postgraduate School)에서 박사후(Post-doc)연구원으...


제종길의 끝장난 바다 | ⑥ 열대해역과 온대해역을 잇는 해류와 생명을 살펴야
열대해류 산호초 생태계 변화, 열대 해역 산호가 온대로 이동하며 생태계가 변화하고 있다. 기후변화로 바다가 뜨거워지면서 열대 산호는 온대로 피신하지만, 그곳에서는 해조류와 생물들이 죽어가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전 세계적인 공동 대응이 필요하다.


제종길의 끝장난 바다 | ⑤ 미니 대양, 동해 제대로 알기 프로젝트 출범
동해 해양생태계 특성, 제종길이 소개하는 '우리 바다, 동해'의 독특한 생태계와 환경 변화, 새로운 동해 시대를 열기 위한 프로젝트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제종길의 끝장난 바다 | ④ 우리 바다 해양 생물자원을 정밀하게 파악하자
해양생물자원 보전관리 방안, 제종길 기자가 우리 바다의 생물자원을 정밀하게 파악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기후변화로 인한 영향을 완화하고 생물다양성을 유지하기 위해 해양생태계의 특성과 주요 생물자원의 추이를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기자집담회 | '기후국가 10대 과제' 연재를 마치며
2025-06-12 김복연 기자 대선 기획 기후국가 10대 과제를 준비한 기자들이 한 자리에 모여 10주 동안의 취재에 대한 소회를 나눴다. 10대 과제는 10개의 다른 주제이기도 하다. 주 마다 숨차게 달려온 기자들이 바라본 진짜 '기후국가'의...


국민이 답하다 | 박대원 | 물리치료사 | 기후 과제, 모든 것은 연결되어 있다
2025-06-11 김복연 기자 박대원씨는 40대의 물리치료사로 일상에서 체감한 기후위기를 개인적 차원에서 사회적 차원으로 인식의 장을 넓히고 있다. 정책, 기술, 환경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정부-기업-시민 모두가 각자의 역할을 해야...


기획 | 서해, '기후평화 프로젝트' 최적지
남북한 해양 기후협력, 서해안 접경지역의 생태계를 보호하고 남북 간 기후변화 협력을 추진하는 것이 한반도 평화 실현의 핵심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제종길의 끝장난 바다 | ② 기후위기에 취약한 우리 바다
한반도 해수온도 상승, 한반도 주변 해역이 기후 위기에 매우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4년 역대 최고 수온을 기록했으며, 해수면 상승 속도도 전 세계 평균을 크게 웃돌고 있어 연안 지역의 피해가 우려되고 있다.


기획 | '해양-기후-안보’를 통합하는 국가적 연안 생태계 회복이 필요
연안생태계 기후위기 대응, 연안 생태계 복원이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핵심 정책이다. 연안 생태계는 기후위기 대응에 필수적인 탄소흡수원이며, 생물다양성 보전과 연안 공동체의 생계 유지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기획 | 동북아 공해(公海), 국제 협력으로 선도
동북아 공해 보호 협력, 동북아 공해 보호를 위한 국제협력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BBNJ 협정 비준 및 지역 해양환경 관리 체계 강화의 중요성을 설명하고 있다.


기획 | 블루카본, 기후국가로 가는 복합 해법
블루카본 해양정책 추진전략, 해양생태계의 탄소흡수 능력인 블루카본은 기후위기 대응의 핵심이 되고 있다. 한국 정부는 청정한 바다를 만들기 위해 블루카본 정책을 강화하고 있으나, 다양한 생태계 서비스 측면에서의 발전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특별상영 | 바다가 전하는 마지막 신호, 다큐멘터리 <씨그널>
공해 해양보호구역 체계, 그린피스가 제작한 해양 다큐멘터리 <씨그널>은 공해 보호 중요성을 전하며, 전 세계 바다의 61%를 차지하는 공해 보호를 위한 새로운 글로벌 해양조약 제정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인사이트 | 제종길 | 해양국가 로드맵이 필요하다
해양생태계 기후위기 대응, 제종길 박사는 해양학자로, 해양 없는 기후정책은 불완전하다고 말한다. 바다를 지키는 길은 교육부터 시작하며, 블루 이코노미를 통해 지속가능한 미래를 만들어가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