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기후재난리포트12 ⑤ 태풍 | 태풍 예보의 한계, AI가 극복할 수 있을까?
태풍예보 인공지능 기술, 태풍 예보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AI 기술의 발전과 인간 예보관의 역할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태풍 예보에서 AI의 강점과 한계, 그리고 AI와 예보관의 협업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조인호의 시민형 AI ③ 관점이 다른 지식들의 집합이자 민주적 공론장의 시뮬레이터
시민형 인공지능 특징, 시민형 AI는 다양한 시민들의 경험과 신념을 토대로 구축되어야 하며, 민주적 공론장을 시뮬레이션하는 '구조적 인공지능'이 되어야 한다. 지식의 편향성과 불확정성을 인정하며, 다양한 목소리가 공존하는 기술적 시도가 필요하다는 내용이다.


조인호의 시민형 AI | ② 지식의 불확정성을 알고 나면
인공지능 지식 권력관계, 인공지능은 지식의 불확정성을 인정하고 다양한 관점을 균형있게 담아내야 한다. 이는 민주주의 실현을 위한 핵심과제로, 단순한 기술 정확성을 넘어 지식의 사회적 구성과 권력 관계를 성찰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지오북ㅣAI는 독이 든 사과?
AI 미래 문제점 대안, AI는 사회에 다양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 일자리 대체와 교육 분야의 변화, 그리고 AI 산업에서의 빈부격차 심화 등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이 동시에 나타나고 있다는 것이 이 글의 핵심 내용이다.


대선기획 | 정책포럼 '기후국가로 가는 길'
기후국가 정책 해법, 정치경제연구소 '대안'과 플래닛03이 주최한 '기후국가로 가는 길' 정책 포럼에서 기후기술, 농업, 민주주의 등 기후국가 실현을 위한 실질적 솔루션을 모색하였다.


기획 | AI 교육,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
AI 리터러시 교육 방향, AI 시대, 기술 교육을 넘어 기술을 이해하고 사회적 영향력을 판단할 수 있는 리터러시 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블루테크현장 | 자연에서 배우는 인공두뇌 혁신
친환경 스파이킹 신경망, 자연에서 영감을 얻은 스파이킹 신경망(SNN)은 인공지능의 에너지 효율성을 혁신하는 차세대 기술이다. SNN은 뇌의 신경 신호 전달 방식을 모방해 최소한의 에너지로 정보를 처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데이터센터의 전력 소비와


지오북ㅣAI가 지구를 삼키고 있다
AI 환경파괴 실태, AI가 지구의 자원을 탐닉하며 성장하고 있다. 채굴과 데이터 센터 운영으로 인한 환경오염, 노동력 착취 등 AI의 기술적 성과 뒤에 숨겨진 그림자를 조명하고 있다.
![[기후행동] 기후위기와 AI 시대, 지방정부의 역할](https://static.wixstatic.com/media/c15d53_9b5c665dc71c405e8432dec007acf1e3~mv2.jpg/v1/fill/w_334,h_250,fp_0.50_0.50,q_30,blur_30,enc_avif,quality_auto/c15d53_9b5c665dc71c405e8432dec007acf1e3~mv2.webp)
![[기후행동] 기후위기와 AI 시대, 지방정부의 역할](https://static.wixstatic.com/media/c15d53_9b5c665dc71c405e8432dec007acf1e3~mv2.jpg/v1/fill/w_234,h_175,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c15d53_9b5c665dc71c405e8432dec007acf1e3~mv2.webp)
[기후행동] 기후위기와 AI 시대, 지방정부의 역할
2023-10-22 박성미 기자 기후위기와 AI 시대, 지방정부의 역할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지고 있다. 지역 차원에서 실질적 변화를 이끌어 낼 수 있는 가장 가까운 행정기관이기 때문이다. 지방정부는 국가 차원의 정책을 실행하는 데 그치지...


현장취재ㅣ기후위기와 AI시대의 넥스트 가치 (Next Value)
황희정 기자 2024-10-18 2024년 10월 16일 수요일 오후 7시, 서울시 용산구 ‘지구와사람’에서 ‘그린 리바이어던: 기후위기와 AI 시대의 넥스트 가치(Next Value)’라는 주제로 ‘2024 기후변화 콜로키움’이 개최됐다....


오정익 | '법무법인 원' 변호사ㅣAI와 리걸테크(legal-tech)
황희정 기자 2024-10-18 오정익은 2009년 제51회 사법시험 합격, 현재 '법무법인 원'의 구성원 변호사다. 2023년 8월부터 1년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4기 인공지능 법제정비단 위원으로 활동했다. 현재 서울변호사협회...


기획 ② | 노벨상이 쏘아 올린 AI시대
2024-10-16 <편집자주> 2024년 노벨물리학상과 화학상은 전통적인 물리학자나 화학자가 아니라 인공지능을 연구했거나 인공지능을 이용한 과학자들이 선정되었다. 2023년 ChatGPT로 세상이 놀래고 있는 사이에 2024년 노벨상위원회는...


기획 ① | AI가 없는 세상은 더 이상 없다
2024-10-16 <편집자주> 2023년, ChatGPT가 출시되었다. 불과 2개월 만에 1억 명의 사용자가 생성되었고 ChatGPT는 역사상 가장 빠르게 성장한 소비자 어플리케이션이 되었다. 컴퓨터나 인터넷, 핸드폰 없는 인류를 상상할 수...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