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기후재난리포트12 ⑪ 해양산성화 | 해양산성화와 해양폭염은 쌍둥이 위협, 겹치는 연안지역 생명체 집단 폐사
2025-09-04 김복연 기자 올여름 한반도 폭염은 북태평양 고기압의 이례적 확장과 정체가 주요 요인으로, 기상청은 이를 직접 원인으로 지목했다. 그러나 바다가 비정상적으로 달궈지는 해양폭염 역시 대기를 강화하며 폭염을 장기화하는 배경 요인으로...


기후재난리포트12 ⑦ 기후질병 | 감염병, 계절 유행이 아닌 기후 따라 이동하는 질병
기후위기 감염병 확산, 기후위기로 수인성·식품매개 감염병 발생 환경이 바뀌고 있다. 기온 상승과 극단적 강수로 병원균 증식이 가속화되며, 기존 방역 체계로는 예측 불가능한 위협에 대응하기 어려워졌다. 기후변화를 핵심 요인으로 반영한 새로운 방역 시스템이 필요하다.


기후재난리포트12 ⑤ 태풍 | 태풍은 국경을 넘는다, 지구 공동체의 의무
2025-07-24 김복연 기자 태풍은 국경을 넘는 기후재난으로, 국제적 협력이 필요하다. 기상청과 연구기관들이 데이터 공유, 기술 교육 등의 노력을 통해 국가 간 공동 대응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태풍, 국경을 넘는 재난의 얼굴 2022년 8월...


기후재난리포트12 ⑤ 태풍 | 한국 태풍 100년사, 하늘의 분노에서 과학의 경계까지
2025-07-23 김복연 기자 태풍은 한국 사회의 100년 역사를 관통하며 변화해 왔다. 조선 시대의 천명이라는 해석부터 오늘날의 관측, 예보, 대응체계에 이르기까지 태풍 대응의 역사는 인간의 자연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엿보게 한다. 오늘날은...


인사이트 | 박명숙 KIOST 해양위성센터 책임연구원 | 괴물 태풍을 키우는 해양 폭염
해양 폭염 태풍 강화,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연구진이 38년간 312개 태풍을 분석해 해양 폭염이 태풍을 35% 강화시키는 메커니즘을 규명했다. 고수온 해역의 수분 불균형이 태풍 급강화를 일으키며, 한반도 주변 해역 온도 상승으로 새로운 재난 대응이 필요하다.


기후재난리포트12 ④ 폭염(2) | 폭염도,가뭄도, 폭우도 이제는 '뉴노멀', 기후위기와 '헤어질 결심'할 때
급성가뭄 농업피해 대응방안, 기후변화로 인한 급성가뭄이 새로운 '뉴노멀' 재난이 되었다. 농가는 예보 체계와 보상 제도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어 선제적 대응이 시급하다는 내용이다.


배이슬의 기후월령가 | 여름에 이르는, 하지
하지 때 여름 농사법 이야기, 여름에 이르는 하지에 대해 논농사와 여름 수확, 보리·감자·고구마 등 작물의 한 살이를 살펴본다. 하지는 여름철 가장 바쁜 시기로, 장마와 가뭄 사이에서 여름을 저장하며 작물들과 함께 시간을 보내는 농부의 이야기다.


제종길의 끝장난 바다 | ② 기후위기에 취약한 우리 바다
한반도 해수온도 상승, 한반도 주변 해역이 기후 위기에 매우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4년 역대 최고 수온을 기록했으며, 해수면 상승 속도도 전 세계 평균을 크게 웃돌고 있어 연안 지역의 피해가 우려되고 있다.


리포트 | 그린피스, 기후변화로 인한 산불 위험 경고
기후변화 산불위험 증가, 기후변화로 인해 국내 산불 위험일이 최대 120일 증가했다. 특히 경북 지역이 가장 큰 영향을 받았으며, 산불 위험 기간 또한 최대 42일 앞당겨졌다. 정부는 근본적인 대응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해양학자에게 듣는다 | 예상욱 교수ㅣ해양 수온은 직접적인 환경 변수
황희정 기자 2024-10-25 예상욱은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에서 이학사, 이학석사, 이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2002년~2005년 미국 Center of Ocean-Land-Atmosphere Studies에서 박사후과정 연구원,...


해양학자에게 듣는다 | 권민호 박사ㅣ해양수온 이미 최고치,국민에게 빨리 알려야
2024-10-25 황희정 기자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기후예측센터장 권민호 박사 권민호는 서울대학교 대기과학과를 졸업한뒤, 동아시아 여름 몬순의 장기 기후 변동에 대한 연구로 동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하와이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