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윤효원의 노동과 정치 | 투키디데스의 함정과 한반도의 교훈
투키디데스 함정, 한반도 평화, 그라함 앨리슨의 투키디데스 함정 이론을 통해 미중 갈등과 남북 관계를 분석하고, 두려움 대신 신뢰와 협력으로 전쟁을 피할 수 있는 한반도 평화의 조건을 제시한다.


윤효원의 지구와 정치 | 이재명 정부가 극복할 대북정책은 윤석열이 아니라 문재인이다
이재명 대북정책 전환점, 문재인 정부의 비주체적 평화정책과 윤석열 정부의 대결주의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한미동맹 신화와 미국 중심 질서에 대한 사대주의적 사고를 벗어나 남북문제의 자율적 해결이 필요하다는 내용이다.


기후국가와 기후권 | 기후국가와 남북 협력 | 정창현 | 평화경제연구소 소장
2025-06-19 김복연 기자 기후국가로의 전환은 국가 시스템의 근본적 재설계와 남북 간 새로운 협력이 필요한 과제이다. 북한의 기후위기 대응 현황과 남북 협력의 방향을 살펴본다. 정창현 평화경제연구소 소장. 사진 플래닛03 DB 정창현 은...


기획 | 남북 기후 협력 시작, ‘한반도 생물다양성 정보 플랫폼’ 구축으로
남북 생물다양성 협력, 남북 생물다양성 보전 협력을 통해 한반도 생명의 숨결을 지키고, 기후위기 대응과 평화 구축에 기여하고자 한다.
![[사설] 한반도에 실현될 ‘기후평화’ 로드맵](https://static.wixstatic.com/media/c15d53_395c0a8b28d24a1193d7fe8326aa26d1~mv2.webp/v1/fill/w_334,h_250,al_c,lg_1,q_30,blur_30,enc_avif,quality_auto/c15d53_395c0a8b28d24a1193d7fe8326aa26d1~mv2.webp)
![[사설] 한반도에 실현될 ‘기후평화’ 로드맵](https://static.wixstatic.com/media/c15d53_395c0a8b28d24a1193d7fe8326aa26d1~mv2.webp/v1/fill/w_234,h_175,al_c,q_90,enc_avif,quality_auto/c15d53_395c0a8b28d24a1193d7fe8326aa26d1~mv2.webp)
[사설] 한반도에 실현될 ‘기후평화’ 로드맵
한반도 기후평화 로드맵, 남북한의 기후협력을 통한 '기후평화' 구현의 로드맵을 제시하고 있다. 정치적 갈등을 넘어 실리 중심의 새로운 국제질서 아래에서 남북한의 기후협력이 가능해질 것이라 예측하고 있다.


기획 | 중단된 농업교류, '한반도 토종종자은행' 설립으로
기후변화 한반도 식량안보, 기후변화로 인해 위협받는 한반도 농업, 남북이 종자 개발과 기술 협력으로 식량 안보와 평화를 이뤄나가고 있다.


기획 | 북의 '댐방류', '도발'로 말하기 전에 공동대응 모색해야
북한 댐 방류 대응방안, 매년 반복되는 북한의 댐 수문 개방 문제를 기술적 한계와 기후위기 공동 대응 관점에서 바라보고, 남북 간 협력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인사이트 | 정성헌 | DMZ평화생명동산 이사장 | 남과 북이 밥상 앞에 마주 앉기 위하여
남북평화 생명공동체 실천, DMZ평화생명동산 이사장 정성헌이 생명공동체와 기후위기 극복, 남북 평화 실현을 위한 실천적 교육을 소개하다.
![[사설] 남북의 숲을 연결하라](https://static.wixstatic.com/media/c15d53_7e8382f3da0f42a4ae835f0d0dd6ecf1~mv2.jpg/v1/fill/w_334,h_250,fp_0.50_0.50,q_30,blur_30,enc_avif,quality_auto/c15d53_7e8382f3da0f42a4ae835f0d0dd6ecf1~mv2.webp)
![[사설] 남북의 숲을 연결하라](https://static.wixstatic.com/media/c15d53_7e8382f3da0f42a4ae835f0d0dd6ecf1~mv2.jpg/v1/fill/w_234,h_175,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c15d53_7e8382f3da0f42a4ae835f0d0dd6ecf1~mv2.webp)
[사설] 남북의 숲을 연결하라
남북 산림 협력 방안, 남북 산림 연결로 생태계 회복을 고민하는 시기다. 기후위기에 대한 남북 협력이 절실한 상황에서 숲은 중요한 전략적 요충지로, 남북이 힘을 합쳐 숲을 복원하고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기획 | 대북 제재 속 남북 협력, 기후 리더가 필요해
남북 기후위기 협력 방안, 대북제재로 가로막힌 한반도 기후협력을 생존과 안보의 관점에서 새롭게 접근해야 한다. 남북은 기술·자금 협력, 재난 대응 체계 구축으로 기후리더십을 발휘해야 한다.


기획 | 국제협력 플랫폼을 활용한 남북 협력
남북 CDM 기후협력 현황, 남북 간 기후협력은 정치적 단절로 중단되었으나, 파리협정 제6조를 통해 새로운 모멘텀을 모색할 수 있다. 양자 간 협력과 비시장 메커니즘을 활용하여 한반도 기후변화 대응에 기여할 수 있는 현실적인 길이 열리고 있다.


송병권의 동아시아 종과 횡 | 일본 총리의 방북설과 남북 관계
일본 총리 방북 전망, 일본 총리의 북한 방문설과 관련해, 남북협력과 통일지향 vs. 한반도에 두 개의 코리아 승인이라는 두 가지 방향을 놓고 치열한 논의가 필요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