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기후재난리포트12 ⑤ 태풍 | 매년 오는 재난, 서 있는 보상 시스템
기후재난 피해 보상제도, 기후재난이 반복되지만 제도는 여전히 '기준'에 매몰돼 있다. 피해자에게 실질적으로 작동하는 안전망이 필요한 시점이다.


인사이트 | 정지훈 세종대 가뭄특화연구센터장 | 한국은 기후 예측이 어려운 지역, 재난을 극복하려면 신뢰가 필요해
폭염가뭄 복합재난 대응, 세종대 가뭄특화연구센터장 정지훈 교수가 폭염-가뭄-산불의 복합재난 발생이 일상화되고 있음을 분석하고, 즉각적 대응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다고 강조하였다.


기후재난리포트12 ④ 폭염(2) | 공공 안전망이 필요한 여름, 자연기반해법으로 그린인프라 확대
2025-07-16 김복연 기자 폭염 재난 시대, 도심 공원과 약수터가 안전망이 되어야 한다. 공원은 기온 저감과 바람길 회복으로 도시를 식히고, 약수터는 누구나 평등하게 이용할 수 있는 공공 쉼터다. 이들이 연결되어 열악한 지역까지 공평하게...


기획 | 기후재난리포트12 ③ 폭염 | '무더위'에서 ‘살인폭염’으로 변한 기후괴물
폭염 기후재난 실태 대응, 기후위기가 초래한 폭염 재난의 실태와 대응 방안을 다루고 있다. 기온 상승과 극端 기상 현상의 심화로 인한 폭염이 일상화되고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정부와 국민의 통합적 대응이 필요하다는 내용이다.


기후재난리포트12 ② 홍수 | 재해지도, 재해가 발생하면 지도를 보고 대피할 수 있어야
재해지도 제작 활용법, 기후 재난의 주요 유형인 홍수에 대한 한국의 역사적 피해 양상과 재해지도 도입 및 활용 현황을 정리한 기사다.


기후 재난 리포트12 | '기후 재난'의 최전선은 지방정부, 지휘권한이 있어야 한다
지방정부 재난대응 권한, 기후 위기로 인한 극한 홍수 시대, 중앙과 지방의 수평적 협력이 필요하다. 현장에서의 신속한 대응과 함께 기술, 정보, 예산, 법적 권한의 연계가 중요하다는 내용이다.


특집 기획 | 기후재난 리포트12 ① 대형산불 | 산불 대응 관련 주요 쟁점 및 향후 과제
대형산불 대응체계 개선방안, 최근 반복되는 대형 산불로 인한 피해가 커지면서 산불 대응 체계의 문제점이 드러나고 있다. 산불 지휘 체계 혼선, 경보 체계 및 진화 인력·장비 부족, 피해 보상 제도 한계 등 다양한 개선과제가 제기되고 있다.


기조발제 | 이시영 | 강원대 방재전문대학원 | 산불 위험 요인과 대형 산불 대응 전략
대형산불 대응전략 현장분석, 산불 예방-진화-복구 체계 구축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첨단 기술과 지역 대응력 강화가 초대형 산불 피해를 줄일 수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사설] 일본 노토반도 지진과 원자력 발전소를 다시 보다](https://i.ytimg.com/vi/VB4rTjIp9gw/maxresdefault.jpg)
![[사설] 일본 노토반도 지진과 원자력 발전소를 다시 보다](https://i.ytimg.com/vi/VB4rTjIp9gw/maxresdefault.jpg)
[사설] 일본 노토반도 지진과 원자력 발전소를 다시 보다
김용만 대표 편집인 지진은 인류가 극복하지 못한 자연의 영역이다. 지진이 발생하는 원인과 그 예측은, 달 기지를 건설하고 화성 이주를 준비하는 현대 과학기술로도 쉽지 않아 보인다. 지진에 따른 피해 규모는 행성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