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순환경제 | 순환경제 생태계, 현재의 재활용 시스템으로는 어려워
순환경제 자원회수 공공화, 이재명 정부의 순환경제 정책이 구조적 한계에 직면했다. 재활용률 정체, 사모펀드 시장 진입, 민간 위탁 시스템의 불안정성 등으로 자원 회수 시스템의 공공화가 시급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문태훈의 도넛 | ③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법과 제도 개선
지속가능발전 법제도 개선 방향,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법제도 개선 방안을 다룬다. 이명박 정부의 지속가능발전법 격하 문제부터 문재인 정부의 복구, 지속위 권한 강화, K-SDGs 연계 성과평가, 지방 지원예산 마련까지 구체적 해결책을 제시한다.


기후재난리포트12 ⑧ 기후질병(2) | 흔들리는 기후, 흔들리는 '뇌'
기후위기 뇌질환 영향, 기후위기가 뇌와 신경계를 직접 공격해 치매, 파킨슨병, 조현병 등 신경계 질환을 악화시키고 있으며, 폭염과 대기오염이 인지기능 저하와 사망률 증가를 초래한다는 연구결과를 분석한다.


인사이트 | 김호 서울대 보건대학원 교수 | 기후위기로 증폭되는 '건강 불평등' 시급히 풀어야
기후위기 건강 불평등, 기후위기로 인한 건강 불평등 심화, 선진국의 기후보건 과제와 정책 한계, 공동체 회복력의 중요성을 다루는 인사이트 기사다.


조인호의 시민형 AI ③ 관점이 다른 지식들의 집합이자 민주적 공론장의 시뮬레이터
시민형 인공지능 특징, 시민형 AI는 다양한 시민들의 경험과 신념을 토대로 구축되어야 하며, 민주적 공론장을 시뮬레이션하는 '구조적 인공지능'이 되어야 한다. 지식의 편향성과 불확정성을 인정하며, 다양한 목소리가 공존하는 기술적 시도가 필요하다는 내용이다.


윤효원의 노동과 정치 | 근로시간 문제, ‘평균의 함정’을 넘어서야
근로시간 이중구조 해소방안, 부산지하철 자회사 노동자들의 장시간 노동 실태를 통해 한국 노동시장의 근로시간 이중구조와 그 심각성을 살펴보며, 주 48시간 상한제 도입과 ILO 협약 비준 등의 정책적 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기후재난리포트12 ④ 폭염(2) | 공공 안전망이 필요한 여름, 자연기반해법으로 그린인프라 확대
2025-07-16 김복연 기자 폭염 재난 시대, 도심 공원과 약수터가 안전망이 되어야 한다. 공원은 기온 저감과 바람길 회복으로 도시를 식히고, 약수터는 누구나 평등하게 이용할 수 있는 공공 쉼터다. 이들이 연결되어 열악한 지역까지 공평하게...


이순형의 에너지 꽈당 | ⑤ 기후에너지부, 에너지청이 필요하다
기후에너지부 조직개편 필요성, 에너지 정책의 구조적 한계를 지적하며 기후에너지부와 에너지청 신설을 제안하고, 재생에너지와 신에너지의 차이를 구분하는 필요성을 역설하다.


'시민형 AI'는 기술이 아니라 ‘절차적 정의’를 구현하는 새로운 사회적 장치
시민형 인공지능 민주주의, '시민형 AI'는 기술이 아닌 절차적 정의를 구현하는 새로운 사회적 장치이다. 지방자치의 다원적 이해관계와 숙의 과정에서 시민 참여를 확대하고자 하는 실험적 시도로, 기술과 민주주의의 접점을 탐색하고자 한다.


기획 | 기후예산, 편성·집행 과정부터 주민참여 제도화해야
기후예산 주민참여 제도화, 주민 참여 배제한 기후예산, 녹색 전환의 기회 상실한다. 예산 편성·집행 과정에 시민 참여 보장해야 실효성 있는 기후 정책 가능할 것이다.


이순형의 에너지 꽈당 | ① 탈원전 vs 에너지 전환, 이분법은 틀렸다
에너지정책 탈원전 현실, 이순형 박사는 에너지 정책이 단순한 이분법에 갇혀 있다고 지적하며, 기술과 과학에 기반한 종합적인 에너지 전환 정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문태훈의 국가와 돈 | ①기후위기는 환경위기와 경제위기 - 합리적 의사결정과 공유의 비극
기후위기 해결 정책방안, 기후위기는 환경위기이자 경제위기로, 다양한 정책 수단을 활용해 극복해야 한다. 정부 규제, 경제적 유인책, 주민자치 등의 접근이 필요하며 중앙부처와 지방정부 모두가 최우선 과제로 다루어야 한다.


정욱식의 전쟁과 기후ㅣ군사력의 역설, 발상의 전환이 필요한 이유
군사력과 기후위기 해결, 정욱식은 군사력의 역설적 특성과 기후변화와의 관계를 설명하며, 군사주의에 빠져 있는 한국이 '기후악당'이 되고 있다고 지적하였다. 군사력은 비생산적이지만 국가안보에 필수적이며, 막대한 자원을 소모하지만 평화를 위해 필요하다는


지오북ㅣ자본주의가 지구를 구하지 못하는 이유
자본주의 기후위기 해결방안, 자본주의의 한계로 기후위기를 해결하지 못하는 현실을 비판하며, 새로운 경제 체제와 정부의 강력한 개입이 필요하다고 주장하는 저서 『가격이 잘못되었다』의 내용을 소개하고 있다.


연재 | 뒷날 풍경ㅣ우리 남한을 바라보는 씁쓸함
윤석열 정부 위기 현황, 현 윤석열 정부의 부진한 성적을 씁쓸하게 바라보며, 대안으로 제왕적 대통령제 개혁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올림픽을 반대하는 사람들
2024-11-14 평창올림픽반대연대 2022년 나가노, 삿포로, 도쿄, 평창의 올림픽 반대 4도시 회의 모습 사진 제공 '평창올림픽반대연대'는 2017년 개별적으로 반대하던 그룹이 모여 연대활동을 시작했다. 2018년 동계올림픽 개최 기간을...


안병진ㅣ'공적 지식인'으로서의 삶
2024-10-18 황희정 기자 안병진 은 현재 경희대학교 미래문명원 교수로 재직 중이다. 서강대학교 사회학 학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정치학 석사, 뉴스쿨 대학원(New School for Social Research)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사설] ‘기후 리터러시’와 언론의 역할](https://static.wixstatic.com/media/c15d53_e33ab96cdc5e43259b9f5742d42ed0de~mv2.png/v1/fill/w_334,h_250,fp_0.50_0.50,q_35,blur_30,enc_avif,quality_auto/c15d53_e33ab96cdc5e43259b9f5742d42ed0de~mv2.webp)
![[사설] ‘기후 리터러시’와 언론의 역할](https://static.wixstatic.com/media/c15d53_e33ab96cdc5e43259b9f5742d42ed0de~mv2.png/v1/fill/w_234,h_175,fp_0.50_0.50,q_95,enc_avif,quality_auto/c15d53_e33ab96cdc5e43259b9f5742d42ed0de~mv2.webp)
[사설] ‘기후 리터러시’와 언론의 역할
김용만 대표 편집인 기후위기 시대, 어떤 저널리즘이 요구되는가? “알아야 면장을 하지”라는 속담이 있다. 무슨 일이든 알아야 실천할 수 있다는 뜻이다. ‘리터러시’는 문해력, 즉 글을 읽고 이해하는 능력이다. 세상이 디지털화되면서 디지털...


오성희 | 전국공공운수사회서비스노조 국제국장ㅣ계급적 관점으로
황희정 기자 2024-06-20 오성희 국장은 대학에서 사회복지학을 전공했다. 민주노총 전국공무원노동조합 서울지역 본부 사무처에서 2006년~2010년 선전홍보부장, 2010년~2015년 국제부장을 역임하고 2015년~2017년 전국금속노동조합...
![[사설] 22대 국회와 시민의회](https://static.wixstatic.com/media/c15d53_8121251257404604a5469b9f262cfb1b~mv2.jpg/v1/fill/w_333,h_250,fp_0.50_0.50,q_30,blur_30,enc_avif,quality_auto/c15d53_8121251257404604a5469b9f262cfb1b~mv2.webp)
![[사설] 22대 국회와 시민의회](https://static.wixstatic.com/media/c15d53_8121251257404604a5469b9f262cfb1b~mv2.jpg/v1/fill/w_233,h_175,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c15d53_8121251257404604a5469b9f262cfb1b~mv2.webp)
[사설] 22대 국회와 시민의회
김용만 대표 편집인 22대 국회는 2024년 5월 30일 임기를 시작한다. 제6공화국 8번째 정부, 윤석열 정부의 임기 중후반을 같이 한다. 2027년 5월 10일 출범 예정인 9번째 정부의 임기 초반을 함께하기도 한다. 향후 4년은 위기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