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배이슬의 기후월령가 | 여름으로 들어가는, 입하
입하 제철 농사 풍습, 기후월령가를 통해 여름의 시작인 입하 시기의 농촌 생활을 소개하는 글이다. 입하가 지나며 따뜻한 작물들을 밭에 옮겨 심고, 여름의 풍요로운 자연 속에서 제철 나물을 즐기며 시간을 보내는 농부들의 모습을 보여준다.


기획 | 탄소중립포인트제
탄소중립포인트제 국민참여 개선, 탄소중립포인트제는 국민의 실천을 전제로 하지만, 복잡한 가입 구조와 제한적 접근성으로 인해 국민의 참여가 저조하다. 이제는 국민이 제도의 주체자가 되어 함께 설계하고 실천해야 탄소중립이 실현될 수 있다는 내용이다.


기획 | 공교육에서 평생교육까지, 전 국민교육 실시해야
전생애 기후위기 교육, 모든 세대가 함께 배워야 할 기후교육의 필요성과 실태, 한계점을 다루고 있다. 학교와 사회에서의 환경교육이 아직 미비한 상황이며, 정규 교과 편성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기획 | '해양-기후-안보’를 통합하는 국가적 연안 생태계 회복이 필요
연안생태계 기후위기 대응, 연안 생태계 복원이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핵심 정책이다. 연안 생태계는 기후위기 대응에 필수적인 탄소흡수원이며, 생물다양성 보전과 연안 공동체의 생계 유지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사설] 기후국가 대한민국은 바다에서 길을 찾는다](https://static.wixstatic.com/media/c15d53_4c0c6f8b22574ab4a4c4d9f733289313~mv2.jpg/v1/fill/w_334,h_250,fp_0.50_0.50,q_30,blur_30,enc_avif,quality_auto/c15d53_4c0c6f8b22574ab4a4c4d9f733289313~mv2.webp)
![[사설] 기후국가 대한민국은 바다에서 길을 찾는다](https://static.wixstatic.com/media/c15d53_4c0c6f8b22574ab4a4c4d9f733289313~mv2.jpg/v1/fill/w_234,h_175,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c15d53_4c0c6f8b22574ab4a4c4d9f733289313~mv2.webp)
[사설] 기후국가 대한민국은 바다에서 길을 찾는다
대한민국은 해양국가이자 기후위기 최전선에 있는 국가다. 해양은 생존과 주권, 그리고 기후위기 대응의 핵심 기반이다. 이제는 '해양국가'라는 국가 정체성을 명확히 하고, 해양 중심의 기후전략을 강화해야 할 때다.


기후와 경제ㅣ기후위기 대응이 여는 새로운 산업사회
기후위기 산업혁신 전략, 기후위기는 기술혁신과 사회구조 전환의 기회다. 재생에너지와 전기차 등 녹색산업이 새로운 성장동력이 되고, 시민 참여와 이익 공유로 에너지 민주주의가 실현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정부의 강력한 정책 지원과 투자가 필요하다.


특별상영 | 바다가 전하는 마지막 신호, 다큐멘터리 <씨그널>
공해 해양보호구역 체계, 그린피스가 제작한 해양 다큐멘터리 <씨그널>은 공해 보호 중요성을 전하며, 전 세계 바다의 61%를 차지하는 공해 보호를 위한 새로운 글로벌 해양조약 제정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기획 | 해양 위기 대응, 지방정부가 실질적 권한 가져야
지방분권 해양정책 필요성, 지방정부의 실질적 권한과 예산이 필요한 해양 보전을 위해, 정권 변화에 따라 해양수산부가 분산·흡수되는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고 지방분권을 추진해야 한다는 내용의 기사다.
![[사설] 남북의 숲을 연결하라](https://static.wixstatic.com/media/c15d53_7e8382f3da0f42a4ae835f0d0dd6ecf1~mv2.jpg/v1/fill/w_334,h_250,fp_0.50_0.50,q_30,blur_30,enc_avif,quality_auto/c15d53_7e8382f3da0f42a4ae835f0d0dd6ecf1~mv2.webp)
![[사설] 남북의 숲을 연결하라](https://static.wixstatic.com/media/c15d53_7e8382f3da0f42a4ae835f0d0dd6ecf1~mv2.jpg/v1/fill/w_234,h_175,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c15d53_7e8382f3da0f42a4ae835f0d0dd6ecf1~mv2.webp)
[사설] 남북의 숲을 연결하라
남북 산림 협력 방안, 남북 산림 연결로 생태계 회복을 고민하는 시기다. 기후위기에 대한 남북 협력이 절실한 상황에서 숲은 중요한 전략적 요충지로, 남북이 힘을 합쳐 숲을 복원하고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DMZ숲에서, 심心 다
DMZ 숲 생태 복원, 'DMZ숲에서, 心다'는 남과 북, 사람과 자연을 잇는 행사로, 분단의 상징 DMZ에서 자연 치유와 남북 숲 복원의 길을 모색하는 프로그램이다.


대선기획 | '지구의 날' 메시지로 본 대선후보 기후 리더쉽
대선후보 기후위기 대응, 대선 후보들의 '지구의 날' 메시지를 통해 기후 리더십을 살펴본 결과, 이재명 후보만이 지속가능한 대한민국을 강조하며 기후위기 대응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했다.


기획 | '한반도 그린공동체' 기반의 산림 협력
한반도 산림협력 기후대응, 기후위기 시대, 한반도 산림 복원이 중요한 이유를 설명한다. 남북한의 산림 현황과 기후변화 영향, 숲의 탄소흡수 기능, 남북 협력의 필요성과 기회를 다루고 있다.


기획 | 에너지 전환, 정책 수립 전에 용어부터 정리해야
한국 신재생에너지 정책, 재생에너지와 신에너지의 차이와 발전 과정을 설명하는 기획 기사이다. 신·재생에너지 정책의 국내외 맥락과 이에 따른 정책의 변화를 다루고 있다.


현장취재 | 윤여창 서울대 명예교수 | 보호구역의 생물다양성과 '생태계 서비스' 지불제
산림정책 생물다양성 보전,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쿤밍-몬트리올 글로벌 생물다양성 프레임워크'의 4대 목표와 국내 산림 정책의 한계, 시민사회 참여 부족 등 산림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정책 방향을 다루고 있다.


현장취재 | 오충현 동국대 교수 | 우리나라 보호지역 관리체계의 문제점과 제안
보호지역 관리체계 개선방안, 보호지역 확대를 위한 제도 개선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국내외 보호지역 확대 목표와 현황을 살펴보며, 중복된 관리체계와 보호지역의 실효성 문제를 지적하고 있다. 또한 보호지역 관리에 있어 지역주민과의 협력 필요성을 강조


현장취재 | 박종원 부경대 교수 | KM-GBF의 국내 이행을 위한 보호지역 관련 입법 과제
생물다양성 보호지역 입법과제, 국내 보호지역 관련 입법과제에 대해 분석하고 있다. 보호지역 지정 및 관리 시 고려사항과 함께 생물다양성법의 한계점과 기본법 전환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기획 | 생물다양성의 최후 보루, 보호지역을 보호하라
생물다양성 보호구역 지정관리, 생물다양성 보전의 핵심 수단인 보호구역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실질적인 보호 관리와 지역사회 참여가 필요함을 역설하고 있다.


지오북ㅣ여행은 공동체를 향해 간다
지속가능한 여행문화 트렌드, 여행의 미래는 공동체를 향한다. 1989년 해외여행 자유화로 시작된 여행의 변화는 지속가능한 여행으로 발전하고 있다. 관광객 증가에 따른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노력이 지역사회와의 협력으로 이어지고 있다.


현장취재 | 최태영 그린피스 | 국제 약속 역행하는 한국의 보호지역 관리
보호지역 훼손 문제, 생물다양성 협약에 서명한 한국 정부가 보호지역 관리에 실패하고 있음을 지적하며, 보호지역을 보호해야 한다는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김우성칼럼 다짜고짜 기후 | 아빠의 술안주 고르기
친환경 술안주 선택법, 기후변화 문제를 고려하며 지속가능한 술안주를 고르는 아빠의 모습을 담은 칼럼이다. 지역에서 생산된 막걸리와 닭고기, 해산물, 두부 등을 선택하고 음식 낭비를 줄이는 방법을 소개하며, 술상에서도 더 나은 세상을 꿈꾼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