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박정희의 산주변론(山主辯論) | ① 보상 없는 공익용 산지 제한, 시장경제 원칙에 벗어나
새 정부가 출범했다. 기후위기 대응하기 위해서, 산림의 경영이 중요해지고 있다. 이미 조림된 숲은 관리되어야만 숲의 생태적 기능이 정상적으로 돌아온다. 우리 숲을 경영하는 주체인 산림경영인들의 목소리가 산림 정책에 반영되기를 기대하면서, 산림 분야 개혁 과제들을 제안한다. 공익용 산지의 가치에 따른 사용료 지불, 산지보유세 면제, 청년 임업인 지원, 국내산 원목 이용 활성화, 국내 원목 무관세 지원, 식량위기 대비 축산 농가 지원, 울폐도 낮추기, 임목재해보험 적용 등 임업의 활성화를 위한 제안을 펼친다.


기후재난리포트12 ④ 폭염(2) | 폭염도,가뭄도, 폭우도 이제는 '뉴노멀', 기후위기와 '헤어질 결심'할 때
급성가뭄 농업피해 대응방안, 기후변화로 인한 급성가뭄이 새로운 '뉴노멀' 재난이 되었다. 농가는 예보 체계와 보상 제도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어 선제적 대응이 시급하다는 내용이다.


뒷날 풍경ㅣ광물의 역설
광물 에너지 전환 문제, 광물 부족이 신재생에너지 전환을 위협하는 역설적 상황을 다룬다. 전기차와 태양광 발전 등에 필수적인 광물 공급을 지구가 감당할 수 있을지에 대한 우려와 딜레마를 설명하고 있다.


기후재난리포트12 ③ 폭염 | 아스팔트 위의 재난, 도시 폭염
도시 폭염 생태 대책, 도시의 폭염은 기후위기와 도시구조 결합된 복합재난이다. 자연기반 해법인 녹지 연결과 접근성 강화가 시민 생존을 지키는 전략이 되어야 한다.


기후와 경제ㅣ생태경제, 성장을 다시 설계하자
생태경제학 성장 전환, 생태경제학은 무한한 경제성장이 생태계 파괴를 초래한다며, 성장의 질적 전환을 주장한다. 기술혁신과 생태적 지혜가 함께 작동하는 '살아남는 번영'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사설] 기후에너지부에 기후 재난 대응을 위한 ‘기후재난관리청’도 필요하다](https://static.wixstatic.com/media/c15d53_6a47e4e3592d40079c28a3bf16e30f1d~mv2.jpg/v1/fill/w_334,h_250,fp_0.50_0.50,q_30,blur_30,enc_avif,quality_auto/c15d53_6a47e4e3592d40079c28a3bf16e30f1d~mv2.webp)
![[사설] 기후에너지부에 기후 재난 대응을 위한 ‘기후재난관리청’도 필요하다](https://static.wixstatic.com/media/c15d53_6a47e4e3592d40079c28a3bf16e30f1d~mv2.jpg/v1/fill/w_234,h_175,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c15d53_6a47e4e3592d40079c28a3bf16e30f1d~mv2.webp)
[사설] 기후에너지부에 기후 재난 대응을 위한 ‘기후재난관리청’도 필요하다
기후재난관리청 신설 필요성, 기후에너지부 신설과 함께 기후재난 대응을 위한 '기후재난관리청' 설립이 필요하다. 기후위기에 따른 자연재난과 사회재난의 복합재난은 국민의 생명과 직결되기 때문이다.


기후재난리포트12 ② 홍수 | 수문학(水文學)의 경고, 폭우 앞에 단일 해법은 없다
2025-07-03 김복연 기자 수문학은 도시 물 순환 복원을 위한 분산형 관리 방식을 제안하며, 지역 특성을 고려한 저영향개발과 그린 인프라 설계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물의 순환, 지구 생태계의 생명줄 폭우시 토지 피복 차이에 따른 물 순환의...


기후재난리포트12 ② 홍수 | 스폰지 도시, 폭우를 재난이 아닌 자원으로 바꾸는 도시 설계 개념
2025-07-03 김복연 기자 기후위기로 인한 국지성 폭우와 홍수가 반복되는 상황에서 물 순환을 회복하는 스폰지 도시 개념이 주목받고 있다. 중국, 유럽, 북미 사례를 통해 도시의 물 순환 전략을 살펴보고, 한국 도시 설계의 혁신이 필요함을...


특집 기획 | 기후재난 리포트12 ① 대형산불 | 산불 대응 관련 주요 쟁점 및 향후 과제
대형산불 대응체계 개선방안, 최근 반복되는 대형 산불로 인한 피해가 커지면서 산불 대응 체계의 문제점이 드러나고 있다. 산불 지휘 체계 혼선, 경보 체계 및 진화 인력·장비 부족, 피해 보상 제도 한계 등 다양한 개선과제가 제기되고 있다.


제종길의 끝장난 바다 | ⑥ 열대해역과 온대해역을 잇는 해류와 생명을 살펴야
열대해류 산호초 생태계 변화, 열대 해역 산호가 온대로 이동하며 생태계가 변화하고 있다. 기후변화로 바다가 뜨거워지면서 열대 산호는 온대로 피신하지만, 그곳에서는 해조류와 생물들이 죽어가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전 세계적인 공동 대응이 필요하다.


오충현의 무방비 생태계 | ⑥ 생물다양성 보전과 시민 참여
생물다양성 시민 참여 방안,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시민 참여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설명하고 있다. 교육, 참여, 인식 증진 등 다양한 방법으로 시민들이 적극적인 역할을 할 수 있으며, 특히 시민과학 활성화가 중요하다고 말하고 있다.
![[사설] 대한민국 산촌 살리기](https://static.wixstatic.com/media/c15d53_8906ed641e084049b4ba2c9eb3298243~mv2.jpg/v1/fill/w_333,h_250,fp_0.50_0.50,q_30,blur_30,enc_avif,quality_auto/c15d53_8906ed641e084049b4ba2c9eb3298243~mv2.webp)
![[사설] 대한민국 산촌 살리기](https://static.wixstatic.com/media/c15d53_8906ed641e084049b4ba2c9eb3298243~mv2.jpg/v1/fill/w_233,h_175,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c15d53_8906ed641e084049b4ba2c9eb3298243~mv2.webp)
[사설] 대한민국 산촌 살리기
산촌 살리기 임업 활성화, 산촌을 살리기 위해 숲의 경제적 가치를 높여야 한다. 영세 산주들의 산림 활용을 돕고, 카본 크레딧, 신재생에너지 등 새로운 수익원을 모색하여 산림 산업의 기반을 튼튼히 해야 한다.


신하림 | 산불은 마을을 어떻게 바꿨나
산불 이재민 일상회복 지원, 대형 산불로 인한 이재민의 일상 회복이 중요하다. 정부 지원과 사회적 관심이 부족하여 경제적·심리적 고통을 겪고 있는 이재민들의 상황을 살펴보고, 이들의 일상 회복을 돕는 것이 산불 예방의 시작이라고 말하고 있다.


기조발제 | 이시영 | 강원대 방재전문대학원 | 산불 위험 요인과 대형 산불 대응 전략
대형산불 대응전략 현장분석, 산불 예방-진화-복구 체계 구축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첨단 기술과 지역 대응력 강화가 초대형 산불 피해를 줄일 수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기후재난 리포트 12 | 대형 산불 | 우이령 포럼, 피해자의 관점에서 대형산불 피해와 복구 주장
2025-06-25 김복연 기자 정리 경북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로 여론이 들끓었다. 반복되는 산불의 원인을 묻는 국민들이 생겼고, 산불이 점점 대형화되고 장기화되는 기후 재난을 실감하고 있었다. 기후변화로 인하여 발생한 국가 재난인 대형 산불과...


기조발제 | 최태영 그린피스 캠페이너 | 생물종 다양성과 산불의 상관 관계
2025-06-25 김복연 기자 그린피스의 최태영 생물다양성 캠페이너는 수종의 형태에 따른 산불의 형태와 확산 정도를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분석하고 실제 산불 현장과 비교함으로써 생물종 다양성과 산불의 상관 관계를 밝힌다. 최태영 그린피스...
![[사설] 햇빛과 바람이 농촌, 어촌, 산촌을 다시 살린다](https://static.wixstatic.com/media/c15d53_f88097b2f9a94a39914e204e25bb942a~mv2.jpg/v1/fill/w_334,h_250,fp_0.50_0.50,q_30,blur_30,enc_avif,quality_auto/c15d53_f88097b2f9a94a39914e204e25bb942a~mv2.webp)
![[사설] 햇빛과 바람이 농촌, 어촌, 산촌을 다시 살린다](https://static.wixstatic.com/media/c15d53_f88097b2f9a94a39914e204e25bb942a~mv2.jpg/v1/fill/w_234,h_175,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c15d53_f88097b2f9a94a39914e204e25bb942a~mv2.webp)
[사설] 햇빛과 바람이 농촌, 어촌, 산촌을 다시 살린다
재생에너지 농촌 살리기, 농촌, 어촌, 산촌이 재생에너지로 새롭게 부활하고 있다. 햇빛과 바람이 지역 주민에게 직접적인 수익을 가져다주는 '햇빛 바람 연금'이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이순형의 에너지 꽈당 | ⑥ 기술, 철학, 지역…한국형 에너지 전환의 3축
한국형 에너지 전환 정책, 이순형이 한국형 에너지 전환의 3축인 지역, 기술, 철학을 설명하며, 에너지 정책은 기술과 철학을 바탕으로 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국민이 답하다 | 이윤 | 퍼포머 | 소외된 자연과 함께하는 다양성 도시를 꿈꾸다
도시생태계 기후위기 예술, 연세대학교 출신 퍼포머 이윤이 DMZ의 두루미와 인간 존재를 교차시키며 분단 현실과 생태적 상상력을 연결하고 있다. 소외된 자연과 생명체의 존재를 재구성하고, 기후변화 시대의 예술적 개입 가능성을 탐구하는 다양성 도시를 꿈꾸고 있다.


문태훈의 국가와 돈 | ⑤ 한국의 기후위기 정책과 재정 지출
기후위기 재정정책 현황,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한국의 정책과 재정 지출 현황을 다루었다. 온실가스 감축, 기후변화 적응, 혁신생태계 조성 등의 정책 방향과 실제 재정투자 규모, 녹색예산제도 도입 등이 소개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