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기후인프라, 숲 | 산림 부문 투자는 '탄소 주권'을 위한 정책적 수단
산림 탄소크레딧 제도, 기후위기 시대 숲이 탄소를 흡수하는 핵심 인프라로 재정의되고 있다. 산림 탄소크레딧 제도와 REDD+ 사업, 도시숲 조성을 통해 2027년까지 3000만 톤 탄소 감축을 목표로 하는 한국의 기후대응 전략을 살펴본다.


기획 | 외래종 유입 원인은 '인간', 박멸만이 답은 아니다
러브버그 등 도시 곤충 대발생 원인을 기후변화와 도시화 관점에서 분석하고, 살충제 방역 대신 생태계 균형 회복을 통한 공존 방안을 제시한다. 인간이 만든 환경 변화가 불청객을 초대했다는 관점으로 접근한다.


기후재난리포트12 ⑧ 기후질병(2) | 극심한 기온 변화, 심혈관 질환 사망률 높혀
기후변화 심혈관질환 사망률, 극한 기온 변화가 심혈관 질환 사망률을 크게 높인다는 국제 연구 결과를 분석하고, 기후위기가 개인 차원을 넘어선 시스템 리스크임을 강조하며 통합적 대응 체계 구축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유성만의 기후테크와 주식ㅣ④ 도시를 고치는 기술, 기후 적응 산업의 부상
기후 적응 산업 전망, 기후위기로 도시가 직면한 문제에 대한 솔루션으로 스폰지 도시, 그린 인프라, 기후 회복력 등 혁신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이를 통해 도시가 기후 재난에 적응하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루어갈 수 있다.


기후재난리포트12 ⑦ 기후질병 | 감염병의 북진과 원헬스, 기후변화가 그린 새로운 질병 지도
기후변화 감염병 위험성, 기후변화로 감염병의 경계가 무너지고 새로운 질병이 출현하는 위험이 커지고 있다. 이에 국제기구들은 원헬스 전략을 통해 인간, 동물, 환경의 통합적 보건 대응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한국도 원헬스 정책을 추진하고 있지만, 부처 간 협력과 전문인력 양성 등 과제가 남아있다.


기후재난리포트12 ⑦ 기후질병 | 급증하는 환경성 질환, 개인이 아닌 공공의 과제로
기후위기 환경성질환 증가, 기후위기로 환경성 질환이 급증하며, 특히 취약계층에게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녹지 확대와 대기질 개선 등 도시 설계를 통한 통합적 대응이 필요하다는 내용이다.


기후재난리포트12 ④ 폭염(2) | 공공 안전망이 필요한 여름, 자연기반해법으로 그린인프라 확대
2025-07-16 김복연 기자 폭염 재난 시대, 도심 공원과 약수터가 안전망이 되어야 한다. 공원은 기온 저감과 바람길 회복으로 도시를 식히고, 약수터는 누구나 평등하게 이용할 수 있는 공공 쉼터다. 이들이 연결되어 열악한 지역까지 공평하게...


세토우치 트리엔날레를 찾다 ⑪ 일본 해안도시 재생 문화여행을 마무리하며—세토우치 트리엔날레 2025 안내
세토우치 트리엔날레 문화여행, 세토우치 트리엔날레는 일본 내해 지역의 재생을 위해 시작된 예술제로, 역사적 가치 회복, 지역 주민의 자긍심 회복, 지속 가능한 사회·경제 연결망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김우성칼럼 다짜고짜 기후 | 달라진 장마철 홍수 대비
장마철 홍수 대처방법, 도시의 홍수 대비가 달라지고 있다. 기후변화로 장마가 달라지면서 인간이 조성한 도시환경이 물 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공무원과 시민이 합심하여 홍수 예방에 힘쓰고 있다.


국민이 답하다 | 이윤 | 퍼포머 | 소외된 자연과 함께하는 다양성 도시를 꿈꾸다
도시생태계 기후위기 예술, 연세대학교 출신 퍼포머 이윤이 DMZ의 두루미와 인간 존재를 교차시키며 분단 현실과 생태적 상상력을 연결하고 있다. 소외된 자연과 생명체의 존재를 재구성하고, 기후변화 시대의 예술적 개입 가능성을 탐구하는 다양성 도시를 꿈꾸고 있다.


문태훈의 국가와 돈 | ⑤ 한국의 기후위기 정책과 재정 지출
기후위기 재정정책 현황,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한국의 정책과 재정 지출 현황을 다루었다. 온실가스 감축, 기후변화 적응, 혁신생태계 조성 등의 정책 방향과 실제 재정투자 규모, 녹색예산제도 도입 등이 소개되었다.


세토우치 트리엔날레를 찾다 ⑩ 실질적 ‘바다의 복원’ 없이는 예술제 목표 달성이 어렵다
세토우치 바다 복원 예술제, 세토우치 트리엔날레 예술제의 목표는 '희망의 바다'를 만드는 것이었지만, 실질적인 바다 복원 없이는 지역 문제 해결이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예술제가 성공적인 관광 유치에도 불구하고, 지역 주민의 삶과 연계되지 않아 장기적인 지역 활성화에는 한계를 보였다는 것이 핵심 내용이다.
![[사설] 강과 멀어지는 사회](https://static.wixstatic.com/media/c15d53_9d59e19375bf40fc93de7ad52dfc499a~mv2.jpg/v1/fill/w_334,h_250,fp_0.50_0.50,q_30,blur_30,enc_avif,quality_auto/c15d53_9d59e19375bf40fc93de7ad52dfc499a~mv2.webp)
![[사설] 강과 멀어지는 사회](https://static.wixstatic.com/media/c15d53_9d59e19375bf40fc93de7ad52dfc499a~mv2.jpg/v1/fill/w_234,h_175,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c15d53_9d59e19375bf40fc93de7ad52dfc499a~mv2.webp)
[사설] 강과 멀어지는 사회
강 관리 환경보호 정책, 산업화로 인해 점점 우리 삶에서 멀어지고 있는 강에 대한 이야기이다. 강의 공공성과 중요성을 인정하고 보호해야 한다는 주장을 담고 있다.


기획 | 기후 재난의 시대, 도시 생태하천을 복원하자
기후위기 시대, 자연과 인간이 공존하는 생태하천 복원이 도시 안전과 환경 보전의 핵심 전략이 되고 있다. 완충습지, 다단계 수변 구조, 자연형 수로 등 다양한 생태하천 기술들이 홍수 저감과 생물 다양성 회복을 동시에 실현하고 있다.


기획 | 호남권, 주민참여형 에너지 전환 도시로
재생에너지 주민배당 정책, 전남·제주는 풍부한 자연자원과 정부의 지원으로 탄소 감축 및 재생에너지 개발을 선도하며, 주민참여형 에너지 수익 공유 모델로 지속가능한 전환을 달성하고 있다.


기획 | 수도권, 소비도시에서 생산도시로
수도권 에너지 생산도시 전환, 수도권은 전력을 가장 많이 소비하면서도 생산은 외부에 의존하는 상황이다. 서울·경기·인천이 각각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수립하고, 기술·제도·시민 실천이 결합된 도시형 전환을 시도하고 있다. 이제 수도권은 전력 소비지역이 아닌 책임 있는 생산 도시로 나아가야 한다는 내용이다.


기획 | 구조적 설계로 시민 참여 유도해야
도시인프라 시민참여 활성화,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시민참여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정부의 투명한 정보 공개와 실질적인 참여 제도 마련, 그리고 인센티브 제공이 필요하다는 내용이다.


지오북ㅣ층을 없애면 이웃이 보인다
공동체형 주거문화 설계, 아파트 층간 소음과 고독사 증가 문제에 대해 건축가들이 제안한 공동체 주거 모델을 다루는 내용이다. 야마모토 리켄과 나카 도시하루가 '시키이(閾)'라는 개념을 제안하며, 판교 하우징과 강남 하우징 사례를 통해 중정을 중심으로 한 공동체 주거 구조를 소개하고 있다.


세토우치 트리엔날레를 찾다 ⑧ 현대미술로 만드는 일본의 예술 도시와 마을들
일본 예술도시 현대미술, 일본 현대미술의 도시 변화 이야기: 도쿄, 가나자와, 구마모토 등 현대미술이 새로운 예술 도시와 마을을 만드는 다양한 사례를 소개한다.


세토우치 트리엔날레를 찾다 ⑦ 예술로 살아나는 작은 마을들
일본 지역 예술제 트리엔날레, 일본 지방에서 열리는 혁신적인 예술제들을 소개한다. 예술로 지역을 살리고, 주민들과 소통하며, 살아 있는 지역문화를 만들어내는 예술의 힘을 보여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