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기후재난리포트12 ⑦ 기후질병 | 기후변화는 어떻게 21세기 최대의 보건 위기가 되었나

2025-08-08 최민욱 기자

기후변화는 더 이상 환경 문제에 머무르지 않는다. 세계보건기구(WHO)는 기후변화를 인류 건강에 미치는 가장 큰 위협으로 규정한다. 의학 저널 란셋(The Lancet)은 2023년 보고서에서, 현 추세라면 금세기 말 폭염 관련 사망자가 4.7배 급증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2022년 파키스탄 대홍수는 3300만 명의 이재민을 낳았고, 이어진 수인성 질병 창궐은 현지 보건 시스템을 마비시켰다. 2023년 캐나다 대형 산불이 내뿜은 연기는 국경을 넘어 미국 뉴욕의 하늘을 주황색으로 물들였고, 천식 등 호흡기 질환을 악화시켰다. 기후변화는 먼 미래의 재앙이 아니라, 국경과 사회 시스템을 넘어 개인의 건강을 직접 위협하는 현재의 보건 위기다.


세계경제포럼(WEF)는 2024년 기후변화가 인간 건강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를 발간했다. 링크
세계경제포럼(WEF)는 2024년 기후변화가 인간 건강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를 발간했다. 링크

폭염, 인체의 한계를 시험하다


기온 상승은 인체에 직접적인 생리적 부담을 가중시킨다. 폭염은 체온 조절 시스템에 과부하를 일으켜 온열질환을 유발한다. 특히 심혈관계 질환자의 경우, 체온 상승을 막기 위해 피부 혈관이 확장되면서 심박출량이 증가하고 심장에 큰 부담이 간다. 땀을 통한 과도한 수분 배출은 혈액을 농축시켜 혈전 생성 위험을 높이고, 이는 심장마비나 뇌졸중으로 이어질 수 있다. 국내에서도 폭염의 건강 위협은 현실화되고 있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온열질환자는 매년 수천 명씩 발생하며, 특히 노인과 옥외 근로자 등 취약계층에서 피해가 집중된다.

미국에서 가장 더운 대도시 피닉스의 소방서는 폭염으로 사망자가 급증하자, 2024년 열사병 환자를 병원으로 이송하는 과정에서 얼음에 담그는 새로운 응급법을 시연하고 있다. "냉수 침수(cold-water immersion)"라고 알려진 이 기술을 피닉스 병원들은 필수 의료 절차로 채택하고 있다. 사진. weather.com
미국에서 가장 더운 대도시 피닉스의 소방서는 폭염으로 사망자가 급증하자, 2024년 열사병 환자를 병원으로 이송하는 과정에서 얼음에 담그는 새로운 응급법을 시연하고 있다. "냉수 침수(cold-water immersion)"라고 알려진 이 기술을 피닉스 병원들은 필수 의료 절차로 채택하고 있다. 사진. weather.com

극한 강우, 사회 기반시설을 무너뜨리다


기후변화로 빈번해진 국지성 집중호우는 도시의 방재 능력을 넘어서고 있다. 2023년 충북 오송 지하차도 참사는 제방 관리 부실과 미흡한 비상 대응 체계가 극한 강우와 만났을 때 어떤 비극으로 이어지는지 보여 준 사건이다. 이러한 재난은 직접적인 인명 피해 외에도 보건 시스템에 연쇄적인 타격을 준다. 2022년 파키스탄에서는 국토의 3분의 1이 물에 잠기면서 병원 등 의료 시설이 파괴되거나 고립되었다. 고인 물은 콜레라, 장티푸스 등 수인성 질병의 온상이 되었고, 기존 보건 시스템의 붕괴는 전염병 확산을 가속화했다.


산불 연기, 호흡기를 넘어 혈관까지 침투하다


ree

대형 산불은 이제 특정 지역의 문제가 아닌 광역 보건 재난이 되었다. 2023년 캐나다 산불 당시 뉴욕의 초미세먼지(PM2.5) 농도는 WHO 기준치의 수십 배를 기록했다. 산불 연기에 포함된 미세입자는 폐 깊숙이 침투해 폐 기능 저하와 천식 악화를 유발한다. 더 큰 문제는 이 입자들이 폐포를 뚫고 혈관으로 들어가 전신 염증 반응을 일으킨다는 점이다. 이는 혈관 기능을 손상시키고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을 높이는 의학적 기전으로 작용한다.


질병 지도, 북쪽으로 확장되다


지구 온난화는 과거 아열대 지역의 풍토병으로 여겨지던 감염병의 지도를 바꾸고 있다. 기온 상승으로 모기의 서식지가 북상하면서, 뎅기열, 지카 바이러스, 치쿤구니야열 등이 온대 기후 지역까지 위협하고 있다. 유럽질병예방통제센터(ECDC)는 뎅기열을 옮기는 이집트숲모기가 이미 유럽 13개국에서 발견됐다고 보고했다. 국내에서도 흰줄숲모기 개체 수가 늘면서 뎅기열의 토착화 가능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된다. 이는 방역 당국에 새로운 도전이며, 기후변화가 감염병의 전파 속도와 범위를 예측 불가능하게 만들고 있음을 보여 준다.


피해의 불평등, 기후 정의를 묻다


기후변화의 건강 피해는 모두에게 평등하지 않다. 폭염 상황에서 에어컨 없이 쪽방에 거주하는 주민, 폭염 경보에도 야외에서 일해야 하는 건설, 배달, 농업 노동자들은 온열질환에 훨씬 더 취약하다. 시민단체 실태조사에 따르면, 여름철 쪽방의 실내 온도는 외부보다 5도 이상 높게 측정되기도 한다. 이는 기후변화가 기존의 사회·경제적 불평등을 더욱 심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함을 의미한다. '기후 정의(Climate Justice)'는 바로 이 지점에서 시작된다. 기후위기 대응은 단순히 탄소 배출을 줄이는 것을 넘어, 그 피해가 가장 취약한 계층에 집중되는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기후 우울, 미래 세대의 정신을 위협하다


기후변화는 신체 건강뿐만 아니라 정신 건강에도 영향을 미친다. '기후 우울(Climate Anxiety)' 또는 '생태 불안(Eco-Anxiety)'은 기후위기의 심각성을 인지하면서 느끼는 만성적인 두려움과 무력감을 뜻한다. 특히 미래를 살아갈 시간이 더 많이 남은 청년 세대에서 이러한 심리적 부담이 크게 나타난다. 연구에 따르면 많은 청년이 기후변화로 인해 미래에 대한 불안감을 느끼며, 이는 우울, 불안 장애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는 기후위기 대응에 세대 간의 공감과 정신건강 지원 시스템 구축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기후 회복탄력적 보건 시스템, 대안을 찾아서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세계 각국은 '기후 회복탄력적 보건 시스템' 구축을 모색하고 있다. 이는 기후변화로 인한 건강 위협을 예측하고, 피해를 최소화하며, 재난 발생 시에도 필수 의료 서비스를 유지하는 체계를 의미한다. 2003년 1만5천여 명의 폭염 사망자를 겪은 프랑스는 이후 국가적 폭염 경보 및 대응 시스템을 구축했다. 4단계 경보에 따라 노인 등 취약계층 방문 관리, 공공 냉방 쉼터 운영 등 구체적인 조치를 시행하여 피해를 줄이고 있다. AI를 활용해 특정 지역의 감염병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는 시스템이나, 병원 자체적으로 에너지를 생산하고 탄소 배출을 줄이는 '녹색 병원' 모델도 중요한 대안으로 제시된다.


현실의 장벽, 재원과 거버넌스의 문제


이상적인 대안이 현실에 안착하기까지는 여러 장벽이 존재한다. 가장 큰 문제는 재원이다. 기후변화 대응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막대한 비용이 들지만, 특히 개발도상국은 재원 마련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선진국과 개도국 간의 기술 격차도 문제다. AI 기반 질병 예측 시스템은 데이터 인프라가 잘 갖춰진 곳에서는 유용하지만, 그렇지 못한 국가에서는 오히려 '데이터 불평등'을 심화시킬 수 있다. 국내에서는 부처 간의 칸막이가 효과가 정책 통합을 가로막는다는 지적이 나온다. 기후변화 대응을 총괄하는 환경부와 국민 건강을 책임지는 보건복지부, 질병관리청 간의 유기적인 협력 없이는 '국가 기후변화 적응 대책'이 구체적인 실행력을 갖기 어렵다. 통합적 거버넌스 구축이 시급한 과제다.

Comentários

Avaliado com 0 de 5 estrelas.
Ainda sem avaliações

Adicione uma avaliação

ㅇㅇㅇ

회원님을 위한 AI 추천 기사

loading.jpg

AI가 추천 기사를
선별중입니다...

loading.jpg

AI가 추천 기사를
선별중입니다...

loading.jpg

AI가 추천 기사를
선별중입니다...

유저별 AI 맞춤 기사 추천 서비스

로그인한 유저분들께만
​제공되는 기능입니다.

유저 찾는중..

유저 찾는중..

유저 찾는중..

유저 찾는중..

유저 찾는중..

유저 찾는중..

유저 찾는중..

​이 기사를 읽은 회원

​로그인한 유저들에게만 제공되는 기능입니다. 로그인 후에 이용 가능합니다.

이 기사를 읽은 회원

유저 찾는중..

유저 찾는중..

유저 찾는중..

유저 찾는중..

​로그인한 유저분들께만 제공되는 기능입니다

유저별 AI 맞춤
기사 추천 서비스

로그인한 유저분들께만
제공되는 기능입니다.

​ㅇㅇㅇ

회원님을 위한 AI 추천 기사

loading.jpg

AI가 기사를 선별하는 중입니다...

loading.jpg

AI가 기사를 선별하는 중입니다...

loading.jpg

AI가 기사를 선별하는 중입니다..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