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윤효원의 노동과 정치 | 투키디데스의 함정과 한반도의 교훈
투키디데스 함정, 한반도 평화, 그라함 앨리슨의 투키디데스 함정 이론을 통해 미중 갈등과 남북 관계를 분석하고, 두려움 대신 신뢰와 협력으로 전쟁을 피할 수 있는 한반도 평화의 조건을 제시한다.


리얼픽션 '더 체인'ㅣ#10화. cop
양안 문제와 기후위기 군축 필요성. 중국과 대만 양안 갈등으로 군비를 증강시키는 와중에 이한결은 그레이스 리를 COP31에서 만난다. 리는 한국계 미국인 청년으로 군사비 증가가 기후위기에 미치는 영향을 지적하며 군비통제를 통한 기후정의 실현을 촉구하자고 연설한다.


리얼픽션 '더 체인'ㅣ#9화. 돌고래
중국과 대만 사이 대만 해협의 군사적 긴장이 높아가고 있다. 중국, 대만, 일본, 한국의 연구자들이 참여한 ‘돌핀스 포럼’이 개최된다. 중국의 ‘하나의 중국’ 원칙과 대만 민진당의 ‘대만미래결의문’을 살펴보며, ‘미래 세대의 선택’을 화두로 던지고 중국과 대만의 입장을 알아보고 교류 협력의 타협점을 이야기한다.


리얼픽션 '더 체인'ㅣ#8화. 도쿄
중국과 대만의 학자들과 대만 해협을 둘러싼 토론에 이어, 일본에서 한국과 일본의 시민단체가 동아시아 평화를 주제로 토론을 벌였다. 미국은 한국과 일본에 군비 증강을 요구하고 있고, 반면 러시아와 중국, 조선은 군비를 줄이거나 현상 유지를 말한다. 2026년 미국, 중국, 대만 모두 정치적으로 예민한 시기로 진입하고 …


리얼픽션 '더 체인'ㅣ#7화. 양안
중국에서 배로 30분 거리에 있는 대만의 국립진먼대에서 간담회가 열렸다. 이한열은 ‘민간 차원에서라도 양안의 긴장 완화를 중재하고 싶다’고 발표한다. 이에 대만 쪽은 낙담과 탄식뿐이다. 중국쪽 샤먼대에서도 의견을 밝혔지만 중국쪽은 양안 문제가 국제화되는 걸 꺼린다. 한국 사람 이한열은 왜 이 주제를 꺼냈을까?


리얼픽션 '더 체인'ㅣ#6화. 워싱턴
한미 군사동맹 전략적 유연성. 평화연구소 소장 이한결이 2005년 미국 펜타곤을 방문해 주한미군 전략적 유연성과 대만 문제를 논의하며, 제주 해군기지와 평택 미군기지 이전 갈등 속에서 한국의 안보 딜레마를 고민한다.


뒷날 풍경ㅣ종족정 국가 이스라엘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갈등 역사, 제5차 중동전쟁에서 승리한 이스라엘의 미래는 창창한가? 이스라엘의 인종차별적 종족정 국가체제와 팔레스타인에 대한 탄압을 살펴본다.


윤효원의 지구와 정치 | 이재명 정부가 극복할 대북정책은 윤석열이 아니라 문재인이다
이재명 대북정책 전환점, 문재인 정부의 비주체적 평화정책과 윤석열 정부의 대결주의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한미동맹 신화와 미국 중심 질서에 대한 사대주의적 사고를 벗어나 남북문제의 자율적 해결이 필요하다는 내용이다.


'평화네트워크' 정욱식, 전쟁과 '기후평화'를 말하다
기후위기 군비축소 평화, 한반도의 군비경쟁이 기후위기를 악화시키고 있음을 지적하며, 군비 축소와 군축을 통해 평화와 기후정의를 실현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기획 | 남북 기후 협력 시작, ‘한반도 생물다양성 정보 플랫폼’ 구축으로
남북 생물다양성 협력, 남북 생물다양성 보전 협력을 통해 한반도 생명의 숨결을 지키고, 기후위기 대응과 평화 구축에 기여하고자 한다.
![[사설] 한반도에 실현될 ‘기후평화’ 로드맵](https://static.wixstatic.com/media/c15d53_395c0a8b28d24a1193d7fe8326aa26d1~mv2.webp/v1/fill/w_334,h_250,al_c,lg_1,q_30,blur_30,enc_avif,quality_auto/c15d53_395c0a8b28d24a1193d7fe8326aa26d1~mv2.webp)
![[사설] 한반도에 실현될 ‘기후평화’ 로드맵](https://static.wixstatic.com/media/c15d53_395c0a8b28d24a1193d7fe8326aa26d1~mv2.webp/v1/fill/w_234,h_175,al_c,q_90,enc_avif,quality_auto/c15d53_395c0a8b28d24a1193d7fe8326aa26d1~mv2.webp)
[사설] 한반도에 실현될 ‘기후평화’ 로드맵
한반도 기후평화 로드맵, 남북한의 기후협력을 통한 '기후평화' 구현의 로드맵을 제시하고 있다. 정치적 갈등을 넘어 실리 중심의 새로운 국제질서 아래에서 남북한의 기후협력이 가능해질 것이라 예측하고 있다.


'한반도 기후평화’는 ‘평화의 발명’에서
한반도 기후평화 구축방안, 한반도 평화를 위해 기후위기 대응과 남북 공동 협력이 필요하다는 제안을 담고 있다. 평화를 위한 새로운 비전으로 '기후평화', 'DMZ 기후평화지대', '남북 기후데이터센터' 등의 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인사이트 | 정성헌 | DMZ평화생명동산 이사장 | 남과 북이 밥상 앞에 마주 앉기 위하여
남북평화 생명공동체 실천, DMZ평화생명동산 이사장 정성헌이 생명공동체와 기후위기 극복, 남북 평화 실현을 위한 실천적 교육을 소개하다.


기획 | 대북 제재 속 남북 협력, 기후 리더가 필요해
남북 기후위기 협력 방안, 대북제재로 가로막힌 한반도 기후협력을 생존과 안보의 관점에서 새롭게 접근해야 한다. 남북은 기술·자금 협력, 재난 대응 체계 구축으로 기후리더십을 발휘해야 한다.


DMZ숲에서, 심心 다
DMZ 숲 생태 복원, 'DMZ숲에서, 心다'는 남과 북, 사람과 자연을 잇는 행사로, 분단의 상징 DMZ에서 자연 치유와 남북 숲 복원의 길을 모색하는 프로그램이다.


윤효원의 지구와 정치ㅣ파시즘, 노동권, 전쟁의 관계
노동권 파시즘 전쟁 관계, 1930년대 파시즘과 노동권 말살로 시작된 전쟁의 역사를 되짚어보며, 노동권 보장이 평화의 초석임을 말한다.


윤효원의 지구와 정치ㅣ동학은 한국 노동운동의 기원
동학 노동운동 기원, 1920~1930년대 사회주의 노동운동의 뿌리는 동학이며, 동학의 '사람이 곧 하늘'이라는 평등 사상이 한국 노동운동의 기초를 이루었다.


정욱식의 전쟁과 기후ㅣ트럼프, ‘기후 빌런’과 ‘피스메이커’ 사이에서
트럼프의 기후 후퇴과 종전. 트럼프는 '기후 빌런'이면서도 러-우 전쟁 종전을 위해 '피스메이커'로 나서고 있다. 이 모순된 행보에 대한 분석이 제시된 기사이다.


윤효원의 지구와 정치ㅣ우크라이나 해법은 영세중립국
우크라이나 전쟁 영세중립국 해법, 경제학자 제프리 삭스가 우크라이나 전쟁을 냉전 이후 서방의 확장주의에서 비롯된 비극이라고 분석하며, 유엔 주도의 영구중립국 체제를 해법으로 제시하고 있다.
![[사설] 미국 대통령 선거와 기후평화](https://static.wixstatic.com/media/c15d53_1e6e83f6f8d64f4d9e3f7da3eee6bb75~mv2.jpg/v1/fill/w_333,h_250,fp_0.50_0.50,q_30,blur_30,enc_avif,quality_auto/c15d53_1e6e83f6f8d64f4d9e3f7da3eee6bb75~mv2.webp)
![[사설] 미국 대통령 선거와 기후평화](https://static.wixstatic.com/media/c15d53_1e6e83f6f8d64f4d9e3f7da3eee6bb75~mv2.jpg/v1/fill/w_233,h_175,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c15d53_1e6e83f6f8d64f4d9e3f7da3eee6bb75~mv2.webp)
[사설] 미국 대통령 선거와 기후평화
일국 패권주의는 더 이상 전쟁 없는 평화를 담을 그릇이 아니다 김용만 대표 편집인 이번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도널드 트럼프 공화당 후보가 제47대 미국 대통령으로 당선됐다. 트럼프 당선인은 내년 1월 20일 백악관에서 대통령 취임식을 갖게...
bottom of pag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