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기획 | 물에 관한 불편한 진실

최종 수정일: 2024년 10월 29일

황희정 기자 2024-08-02



골프장에서 하루 사용하는 물의 양은 2만2천 명이 사용할 양


2022년 싸이의 흠뻑쇼는 1회 공연 당 300톤의 식수를 사용한다고 해서 여론의 몰매를 맞았다. 공연은 2011년부터 했었지만 2022년 논란이 된 것은 그해 기상 관측 이래 최악의 가뭄 시기였기 때문이다. 흠뻑쇼나 워터밤은 대량 물 소비의 상징적 대상일 뿐이다. 더 거대한 물 소비는 골프장과 워터파크에 있다. 18홀 프라이빗 골프장을 기준으로 할 때 1일 약 2.08백만 갤런(약 7880톤)의 물이 사용된다.​​(Golf Gladiator)​ 한국인의 1인당 하루 물 사용량이 약 353리터(UNEP - UN Environment Programme)​라고 한다면 골프장이 하루에 사용하는 물의 양은 2만2천 명이 사용할 물의 양이다. 골프장의 빗물 이용시설 설치 의무화를 시행하는 이유다. 탄소 배출과 기후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소비를 줄이자고 한다. 물 부족 시대다. 물의 사용을 줄여야 한다. 흠뻑쇼와 워터밤, 골프장과 워터파크의 물사용을 다시 보자.


물 발자국, 숨겨진 물 소비의 흔적


'물 발자국(Water Footprint)'이라는 개념이 있다.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제품과 서비스가 생산되는 과정에서 소비되는 물의 양을 뜻한다. 물 발자국은 소비가 지구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직관적으로 보여 준다. 예를 들어, 한 잔의 커피를 생산하는 데 약 140리터의 물이 필요하다. 이는 커피 나무를 재배하는 데 필요한 관개수, 커피 가공 과정에서 사용하는 물 등을 모두 포함한 수치다. 또한, 1킬로그램의 쇠고기를 생산하는 데 약 1만5000리터의 물이 필요하며, 이는 소를 기르기 위한 사료 재배, 축산 과정에서 사용한 물량을 포함한다. 이러한 수치는 우리의 일상생활이 얼마나 많은 물 자원을 필요로 하는지 깨닫게 한다. 물 부족 국가들은 물 발자국을 줄이기 위해 농업과 산업에서의 물 사용을 최적화하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예를 들어, 네덜란드는 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고효율 관개 시스템을 도입하고, 재생수 사용을 확대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은 국가 차원의 물 발자국을 줄이는 데 기여한다. 개인 차원에서 육류 소비를 줄이고, 식물성 식품을 더 많이 섭취한다. 육류 생산에는 식물성 식품에 비해 훨씬 더 많은 물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재생 가능한 제품을 선택하고, 재활용을 실천하는 것도 방법이다. 예를 들어, 재활용 종이를 사용하는 것은 새로운 종이를 생산할 때 필요한 물 사용량을 줄이는 데 기여한다. 물 발자국은 우리가 사용하는 물의 양과 이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생각하게 한다. 일상생활에서 한 선택을 통해 물 발자국을 줄일 수 있으며, 지속가능한 물 관리와 기후위기에 '탄소발자국'과 마찬가지로 중요하다. UN세계수자원보고서는 1인 당 담수 공급량이 20년 안에 1/3로 줄어든다고 예측한다. 2050년까지 전 세계 인구는 93억 명으로 늘어날 거라는 전망이 실현된다면 전체 인구 20%가 심각한 물 부족을 겪게 될 것이다. 기후위기 시대에 먹고, 입고, 놀고, 생활하는 데 있어 탄소발자국과 물 발자국을 얼마나 남기고 있는지 생각해 볼 때이다.


한국의 물 부족, 가상수가 못 느끼게 하고 있어


한국은 '물 스트레스 국가'로 분류되며 물 부족 국가이지만 일반 시민들은 물 부족을 실질적으로 느끼지 못하고 있다. 한국은 수자원이 부족함에도 불구하고 최대한의 물을 취수해서 사용하고 있다. 강과 하천의 생태계는 심각한 스트레스를 받고 있지만 사람은 못 느낀다. 가뭄이 들면 정부는 환경유지 용수의 공급을 줄이고, 가뭄이 심해지면 농업용수, 생활용수, 공업용수 순서로 제한한다. 이러한 조치로 웬만한 가뭄에도 수돗물은 꾸준히 공급되며, 도시 거주민들은 가뭄의 심각성을 체감하지 못한다.

더 큰 이유는 ‘가상수(假想水·Virtual Water)’다. 한국은 가상수를 수입하고 있다. 생수와 같은 직접적인 물 수입뿐만 아니라, 식량과 식품을 통해 간접적으로 물을 수입한다. 한국이 호주에서 쇠고기 1톤을 수입하면, 쇠고기를 생산하는 데 필요한 약 1만5000리터의 물을 절약하는 효과가 있다. 이를 '가상수 교역'이라 한다. 지난 2007년 기준으로, 한국은 450억㎥의 물을 가상수 형태로 수입했으며, 이 중 316억㎥는 곡물, 89억㎥는 축산물에서 비롯되었다. 이는 국내 댐과 저수지의 총 저수 용량의 3배가 넘는 양이다. 이처럼 한국은 가상수 수입을 통해 물 부족 문제를 일시적으로 해결하지만, 이는 다른 나라의 물 자원을 사용한 것이다. 결국, 가상수 수입으로 인해 한국은 물 부족 문제의 심각성을 체감하지 못하고 있다. 한국의 물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지속가능한 물 관리와 함께, 가상수 교역의 윤리적 문제를 인식하고, 물 사용의 효율성을 높이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는 단순히 국내 문제를 넘어, 글로벌 물 자원의 지속가능성을 고려해야 한다는 의미다.


한국에서 물은 불평등하다


세계 각국의 수도요금비교. 2017년 GWI 통계에 따르면 주요 해외국의 평균 수도요금은 톤당 1,639원, 한국은 744원. 한국과 비교할 때 영국은 3.1배, 미국은 2.6배, 일본은 1.7배, 중국은 0,6배로 한국의 수도요금은 주요 해외국 전체 평균의 45%. 출처 : 한국수자원 공사
세계 각국의 수도요금 비교. 2017년 GWI 통계에 따르면 주요 해외국의 평균 수도요금은 톤당 1639원, 한국은 744원. 한국과 비교할 때 영국은 3.1배, 미국은 2.6배, 일본은 1.7배, 중국은 0.6배로 한국의 수도요금은 주요 해외국 전체 평균의 45%. 출처 : 한국수자원 공사

한국은 수도요금은 세계 평균의 45%밖에 되지 않는다. 많은 국민들이 물 부족을 실감하지 못하는 이유 중 하나다. 한국 정부는 물 공급을 공공서비스로 간주하고, 국민의 기본 생활을 지원하기 위해 수도요금을 인위적으로 낮게 유지하고 있다. 이는 공공재로서 물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정책적 결정이지만 물 자원이 무한정 공급된다는 잘못된 인식을 주기도 한다.

우리나라의 전국 상수도 보급률은 97.5%다. 상수도 없는 2.5%에서 살아가는 국민이 있다는 뜻이기도 하다. 물관리기본법 제4조 1항은 "누구든지 사용 목적에 적합한 수질의 물을 안정적으로 공급받아 이용할 수 있고, 재해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받으며 건강하고 쾌적한 물환경에서의 삶을 누릴 권리"가 있다고 되어 있다. 서울시와 대구광역시 등 대도시의 상수도 보급률이 100%다. 농어촌 지역에는 상수도 보급률이 50%도 안 되는 곳이 존재한다. 보급률이 떨어지면 물 문제가 발생한다. 상수도 공급 사업은 '규모의 경제'다. 인구가 몰려 있고, 밀도가 높을수록 상수도 공급이 원활하다. 농어촌 지역의 마을 단위는 인구도 적고, 몰려 살지도 않는다. 산 속에 있는 마을이면 그만큼 수도관이 연장되어야 해서 비용은 더 높아진다. 수도요금을 낮게 유지하는 정책보다 상수도가 없어 오염된 물을 마셔야 하고, 마실 물을 구하기 위해 애써야 하는 2.5%에 대한 정책이 필요하다. 물 부족 국가인데 물이 풍족한 나라, 한국에서 물은 불평등하다.





Comentários

Avaliado com 0 de 5 estrelas.
Ainda sem avaliações

Adicione uma avaliação

ㅇㅇㅇ

회원님을 위한 AI 추천 기사

loading.jpg

AI가 추천 기사를
선별중입니다...

loading.jpg

AI가 추천 기사를
선별중입니다...

loading.jpg

AI가 추천 기사를
선별중입니다...

유저별 AI 맞춤 기사 추천 서비스

로그인한 유저분들께만
​제공되는 기능입니다.

유저 찾는중..

유저 찾는중..

유저 찾는중..

유저 찾는중..

유저 찾는중..

유저 찾는중..

유저 찾는중..

​이 기사를 읽은 회원

​로그인한 유저들에게만 제공되는 기능입니다. 로그인 후에 이용 가능합니다.

이 기사를 읽은 회원

유저 찾는중..

유저 찾는중..

유저 찾는중..

유저 찾는중..

​로그인한 유저분들께만 제공되는 기능입니다

유저별 AI 맞춤
기사 추천 서비스

로그인한 유저분들께만
제공되는 기능입니다.

​ㅇㅇㅇ

회원님을 위한 AI 추천 기사

loading.jpg

AI가 기사를 선별하는 중입니다...

loading.jpg

AI가 기사를 선별하는 중입니다...

loading.jpg

AI가 기사를 선별하는 중입니다..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