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인사이트 | 국종성 서울대 교수 | 점진적 기후변화보다 급격한 기후변화에 관심 가져야
급격한 기후변화 연구, 기후변화 연구자가 점진적 변화보다 급격한 기후변화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를 설명하며, 해양 수온 상승과 생태계 파괴 문제의 심각성을 강조하고 탄소중립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순환경제 | 국정 과제 ‘탈플라스틱 로드맵’, 의류 폐기물부터
패션산업의 과잉생산으로 헌옷이 아프리카·아시아 쓰레기산을 만들고, 합성섬유는 미세플라스틱을 배출해 환경을 오염시킨다. 가장 친환경적인 옷은 이미 옷장에 있는 옷이며, 덜 사고 오래 입는 슬로우패션이 탈플라스틱의 핵심이다.
![[사설] 자원과 쓰레기는 백지 한 장 차이다](https://static.wixstatic.com/media/dac689_ace8dd3e0d2240218b7ed8456c91d5e5~mv2.jpg/v1/fill/w_334,h_250,fp_0.50_0.50,q_30,blur_30,enc_avif,quality_auto/dac689_ace8dd3e0d2240218b7ed8456c91d5e5~mv2.webp)
![[사설] 자원과 쓰레기는 백지 한 장 차이다](https://static.wixstatic.com/media/dac689_ace8dd3e0d2240218b7ed8456c91d5e5~mv2.jpg/v1/fill/w_234,h_175,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dac689_ace8dd3e0d2240218b7ed8456c91d5e5~mv2.webp)
[사설] 자원과 쓰레기는 백지 한 장 차이다
순환경제 자원 재활용, 플라스틱 의류 70%가 쓰레기가 되어 환경을 오염시키는 현실과 선형경제에서 순환경제로의 전환 필요성을 다룬다. 자원과 쓰레기의 경계는 상대적이며,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인식 변화가 시급하다.


순환경제 | 시민의 분리 배출이 자원 회수로 이어지지 않는 구조 문제 해결해야
재활용 시스템 개선방안, 서울시 분리배출률이 50%에서 40%로 하락하고 종량제 봉투 속 재활용품이 급증하는 현실을 분석한다. 플라스틱 비중이 9%에서 32%로 폭증하며 재활용 시스템의 구조적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제시한다.


외래종 유입 | 수입·밀수된 외래 반려동물 방사, 생태계 위협 심화해
외래생물 생태계 교란 문제, 수입·밀수된 외래 반려동물의 무분별한 방사로 국내 생태계가 심각한 위협을 받고 있다. 붉은귀거북, 뉴트리아 등이 토종 생물을 위협하고 있으며, 정부는 사전 예방 중심 정책으로 전환해 대응하고 있다.


기후재난리포트12 ⑪ 해양산성화 | 모든 쓰레기는 바다로 모인다, 안 쓰고 안 버리는 전환 필요해
해양쓰레기 미세플라스틱 위험, 태평양 거대 쓰레기 지대에서 한국 배출량이 4년간 1위를 기록했으며, 국내에서도 연간 14만 톤의 해양쓰레기가 발생하고 있다. 미세플라스틱은 해양생태계를 넘어 인간의 건강까지 위협하고 있어 생산 감축과 국제협력이 시급하다.
![[사설] 또 빈손으로 끝난 플라스틱 국제협약 협상](https://static.wixstatic.com/media/dac689_d5e7724f562d420fbac6d3b5727092ad~mv2.jpg/v1/fill/w_334,h_250,fp_0.50_0.50,q_30,blur_30,enc_avif,quality_auto/dac689_d5e7724f562d420fbac6d3b5727092ad~mv2.webp)
![[사설] 또 빈손으로 끝난 플라스틱 국제협약 협상](https://static.wixstatic.com/media/dac689_d5e7724f562d420fbac6d3b5727092ad~mv2.jpg/v1/fill/w_234,h_175,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dac689_d5e7724f562d420fbac6d3b5727092ad~mv2.webp)
[사설] 또 빈손으로 끝난 플라스틱 국제협약 협상
플라스틱 국제협약 협상 실패, 플라스틱 국제협약 협상이 국가 간 경제적 이해관계 충돌로 인해 또다시 합의 없이 종료되었다. 생산 감축과 유해물질 퇴출 등 핵심 쟁점에서 산유국과 신흥개발도상국이 소극적 입장을 보이며 협상이 난항을 겪었다.


김우성칼럼 다짜고짜 기후 | 부엌 요리, 웍이냐 인덕션이냐
인덕션 가스레인지 비교, 주부이자 칼럼니스트인 김우성이 여름철 더위로 인한 부엌 휴업기와 가스레인지에서 인덕션으로 변화하는 주방 트렌드, 그리고 기후변화가 요리 생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솔직하고 유머러스하게 풀어낸다.


기후재난리포트12 ⑧ 기후질병(2) | 흔들리는 기후, 흔들리는 '뇌'
기후위기 뇌질환 영향, 기후위기가 뇌와 신경계를 직접 공격해 치매, 파킨슨병, 조현병 등 신경계 질환을 악화시키고 있으며, 폭염과 대기오염이 인지기능 저하와 사망률 증가를 초래한다는 연구결과를 분석한다.


김우성칼럼 다짜고짜 기후 | 치킨과 한우 사이
치킨 한우 환경영향 비교, 김우성 칼럼에서는 치킨과 한우의 생산 효율과 도축 시기의 차이를 설명하고, 이를 통해 우리의 식문화를 반성해보는 내용이다.


현장취재ㅣ낙동강네트워크 임희자 집행위원장 | 아픈 강, 아픈 주민들
낙동강 녹조 피해 실태, 낙동강 네트워크 임희자 위원장이 30년간 낙동강 보존을 위해 활동해온 이야기와, 4대강 사업 이후 낙동강의 현실적 문제들을 주민들의 목소리를 통해 전하고 있다.


특별인터뷰 최승호PD | 영화 '추적' 8월 개봉! 4대강 사업에 우리가 속았다
4대강 재자연화 진실, 뉴스타파 최승호 PD가 17년간 추적한 4대강 사업의 본질은 대운하 프로젝트였다. 이명박 정부의 거대한 정치적 기만을 폭로하는 다큐멘터리 영화 '추적'이 개봉한다.


김현권의 농업 이야기 | ② 맑은 강물이 보고 싶다
오염된 강물 정화 방안, 하수도 보급, 축산 분뇨 관리, 화학비료 감축 등 다각도로 접근하며, 바이오 플랜트 보급과 농촌 열 이용 계획으로 농업이 탄소중립에 기여할 수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뒷날 풍경ㅣ광물의 역설
광물 에너지 전환 문제, 광물 부족이 신재생에너지 전환을 위협하는 역설적 상황을 다룬다. 전기차와 태양광 발전 등에 필수적인 광물 공급을 지구가 감당할 수 있을지에 대한 우려와 딜레마를 설명하고 있다.


기후재난리포트12 ③ 폭염 | 폭염이 가져온 집단폐사, 시스템을 바꿔야 한다
2025-07-10 김복연 기자 산업화된 축산업이 가축의 생명권과 기후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다룬다. 매년 폭염으로 인한 가축 폐사 사례가 반복되고 있으며, 이는 단순한 경제적 손실을 넘어 축산 시스템의 근본적 문제를 보여 준다. 폭염이 드러낸...


특별기고 정수근 | 새 대통령에게 바란다 | 강은 마지막 야생의 공간, 뭇 생명들과 함께 살아야
4대강 재자연화 필요성, 정수근이 새 대통령에게 바라는 바는 강의 자연성 회복과 야생생물 서식처 보호이다. 그는 4대강사업이 야생생물의 서식지를 파괴했으며, 이로 인해 강이 죽어가고 있다고 말한다. 새 정부가 강의 자연성을 되찾고 생태계를 보호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지오북ㅣ한국에도 기후 난민이 있다
한국 기후난민 산불피해, 한국에서도 기후 변화로 인한 대형 산불이 늘어나면서 '기후 난민'이 발생하고 있다. 저자는 포트맥머리 화재 사례를 통해 온실가스 배출과 건조화로 인한 대형 화재의 위험성을 경고하며, 근본적인 에너지 정책 변화와 함께 작은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제종길의 끝장난 바다 | ② 기후위기에 취약한 우리 바다
한반도 해수온도 상승, 한반도 주변 해역이 기후 위기에 매우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4년 역대 최고 수온을 기록했으며, 해수면 상승 속도도 전 세계 평균을 크게 웃돌고 있어 연안 지역의 피해가 우려되고 있다.


기획 |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기후국가의 선택은?
후쿠시마 오염수 재협상 가능성,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해양 방류에 대한 국제법적 쟁점과 한국 정부의 대응 변화를 다루고 있다. IAEA의 안전성 평가에도 불구하고 국제사회의 반발이 계속되고 있으며, 한국 정부는 일본과의 재협상을 추진할 의지가 있다는 내용이다.


제종길의 끝장난 바다 | ① 갈림길에 선 해양, 다른 바다도 알아야 한다
기후변화 해양생태계 위기, 대통령의 기후미션 아래 제종길이 제주와 일본 바다의 현장 진단을 통해 기후변화로 인한 해양 위기 상황을 전하고 있다. 수온 상승으로 돌산호가 출현하고 갈조류 군락이 사라지는 등 바다가 끓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