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연대요청] 제주해녀 이유정, 해군UDT,어촌계, 공동체가 지켜가는 바다](https://static.wixstatic.com/media/f8a1d4_c0e7156920074a228d74cda42d1f3512~mv2.jpg/v1/fill/w_334,h_250,fp_0.50_0.50,q_30,blur_30,enc_avif,quality_auto/f8a1d4_c0e7156920074a228d74cda42d1f3512~mv2.webp)
![[연대요청] 제주해녀 이유정, 해군UDT,어촌계, 공동체가 지켜가는 바다](https://static.wixstatic.com/media/f8a1d4_c0e7156920074a228d74cda42d1f3512~mv2.jpg/v1/fill/w_234,h_175,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f8a1d4_c0e7156920074a228d74cda42d1f3512~mv2.webp)
[연대요청] 제주해녀 이유정, 해군UDT,어촌계, 공동체가 지켜가는 바다
제주해녀 해양정화 활동, 제주해녀 이유정과 해군UDT, 중문어촌계가 14일 중문항에서 해양정화활동을 공동 실시했다. 환경다큐 '씨그널' 주인공 이유정이 이끄는 제주좀녀팀이 참여해 수중쓰레기를 수거하며 바다보호 실천의지를 보여줬다.


조인호의 AI와 기후 | ② 시민이 제보한 데이터, AI가 여는 재난 경보
시민참여 AI 재난경보, 시민 참여형 AI 긴급 경보 체계가 기후재난 대응의 새로운 안전망으로 주목받고 있다. 시민 제보 데이터를 AI가 실시간 분석해 신속한 재난 경보를 제공하는 혁신적 모델을 소개한다.


기후재난리포트12 ⑩ 양수발전 | 국가적 '필요'와 공동체의 '희생'
정의로운 에너지 전환, 한국의 국책 에너지 사업이 '국가적 필요'를 명분으로 지방 주민의 희생을 강요하는 구조를 분석하고, 홍천 양수발전소와 밀양 송전탑 사례를 통해 정의로운 에너지 전환 방안을 제시한다.


기후재난리포트12 ⑩ 양수발전 | 국내 양수발전 46년의 기록
양수발전소 환경피해 역사, 국내 양수발전소 46년 역사를 통해 주민 이주, 환경훼손, 안전사고 등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청평부터 예천까지 각 발전소별 피해 사례와 부실 시공으로 인한 인명피해를 다룬다.


기후재난리포트12 ⑩ 양수발전 | '효율'의 함정과 '정의'로운 전환
2025-08-28 김복연 기자 홍천 양수발전소 갈등은 ‘효율’이라는 좁은 계산 논리가 주민 권리와 공동체를 억누르는 현실을 보여 준다. 국제사회는 이미 정의로운 전환을 기후 대응의 필수 원칙으로 삼고 있으며, 해외 사례도 효율 중심 전환이...


기후재난리포트12 ⑨ 대규모개발사업 | 대규모 개발, 공존을 위한 '합의'가 먼저다
한국의 대규모 개발사업이 정치적 이해관계에 좌우되며 주민 참여가 배제되는 문제를 분석하고, 기후위기 시대 민주주의 발전을 위한 숙의 민주주의와 시민 참여 확대 방안을 제시한다.


현장취재 | 산과 자연의 친구 '청년생태학교' | 양수발전소에서 케이블카, 산불 피해지까지, 현장에서 답을 찾다
2025-08-20 김복연 기자 '산과 자연의 친구'가 주최한 제20회 청년생태학교가 홍천 양수발전소부터 울진·안동 산불현장, 문경 케이블카 문제까지 3박 4일간 환경 현안을 직접 탐방하며 에너지 전환과 생태보전의 대안을 모색했다. 고운사 측은...


문태훈의 도넛 | ③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법과 제도 개선
지속가능발전 법제도 개선 방향,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법제도 개선 방안을 다룬다. 이명박 정부의 지속가능발전법 격하 문제부터 문재인 정부의 복구, 지속위 권한 강화, K-SDGs 연계 성과평가, 지방 지원예산 마련까지 구체적 해결책을 제시한다.


조인호의 시민형 AI ⑤ 국지성 기상 이변 대응의 새 해법
국지성 기상예측 인공지능, 기후변화로 인한 국지적 기상이변에 대해 시민 참여와 물리 기반 AI 기술의 융합이 필요하다는 것을 설명하고 있다.


기후재난리포트12 ⑤ 태풍 | 해안도시는 태풍에 어떻게 대응하는가
해안도시 태풍 대응체계, 기후변화로 강해진 태풍, 해안도시의 대응 실태를 살펴본다. 중앙-지방 정부의 역할 분담, 기상청의 태풍 감시-예보 시스템, 지자체별 맞춤형 대피 매뉴얼 등을 통해 태풍 대응 체계를 점검하고, 해외 사례와 비교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조인호의 시민형 AI ③ 관점이 다른 지식들의 집합이자 민주적 공론장의 시뮬레이터
시민형 인공지능 특징, 시민형 AI는 다양한 시민들의 경험과 신념을 토대로 구축되어야 하며, 민주적 공론장을 시뮬레이션하는 '구조적 인공지능'이 되어야 한다. 지식의 편향성과 불확정성을 인정하며, 다양한 목소리가 공존하는 기술적 시도가 필요하다는 내용이다.


오충현의 무방비 생태계 | ⑥ 생물다양성 보전과 시민 참여
생물다양성 시민 참여 방안,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시민 참여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설명하고 있다. 교육, 참여, 인식 증진 등 다양한 방법으로 시민들이 적극적인 역할을 할 수 있으며, 특히 시민과학 활성화가 중요하다고 말하고 있다.


기후국가와 기후권 | 기후국가와 기본소득 | 금민 | 정치경제연구소 '대안' 소장
2025-06-19 김복연 기자 기후국가로의 전환에서 재생에너지는 기술과 산업 문제를 넘어 사회정책의 과제이다. 이익공유제 도입으로 주민 수용성을 높이고, 불평등 해소와 지역균형 발전을 실현할 수 있다. 금민 정치경제연구소대안 소장. 사진...


국민이 답하다 | 박대원 | 물리치료사 | 기후 과제, 모든 것은 연결되어 있다
2025-06-11 김복연 기자 박대원씨는 40대의 물리치료사로 일상에서 체감한 기후위기를 개인적 차원에서 사회적 차원으로 인식의 장을 넓히고 있다. 정책, 기술, 환경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정부-기업-시민 모두가 각자의 역할을 해야...


국민이 답하다 | 강규희 | 작가 | 환경 냉담자에서 기후 관심자로
환경주의자 기후위기 인식변화, 10대 때 환경주의자였던 강규희 씨가 환경 무관심에서 벗어나 기후 관심자로 변화하게 된 과정을 다루고 있다. 정보 공개와 시민 참여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정부가 전문가와 시민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기를 주장하고 있다.


'시민형 AI'는 기술이 아니라 ‘절차적 정의’를 구현하는 새로운 사회적 장치
시민형 인공지능 민주주의, '시민형 AI'는 기술이 아닌 절차적 정의를 구현하는 새로운 사회적 장치이다. 지방자치의 다원적 이해관계와 숙의 과정에서 시민 참여를 확대하고자 하는 실험적 시도로, 기술과 민주주의의 접점을 탐색하고자 한다.


기획 | AI와 민주주의: 기술은 어떻게 권력 공유의 인프라가 되는가
2025-06-05 김복연 기자 Decidim과 vTaiwan은 AI를 활용해 시민 제안의 자동 분류, 의견 분석, 실시간 시각화 등을 통해 대규모 시민 참여와 정책 숙의의 효율성을 크게 높이고 있다. 이들 플랫폼은 소수 의견도 반영하고, 공통...


기획 | 프랑스 파리 '시민기후협약', 기후시민 공론장
2025-06-04 김복연 기자 프랑스 시민기후협약은 시민의 숙의를 통해 기후 정책 제안을 도출한 실험적 민주주의 모델로, 생활 밀착형 기후 대응 방안을 제안했다. 정부의 미흡한 이행으로 제안의 절반 이상이 채택되지 않았으며, 시민들의 정치적...


인사이트 | 염형철 | 사회적협동조합 '한강' 공동대표 | '개발' 관점에서 '문화' 관점으로
한국 물정책 대전환 방향, 물 정책 전문가 염형철 공동대표가 한국 물 정책의 대전환을 제안하다. 조직 개편을 통한 '강문화국' 신설과 자연기반해법 도입, 시민참여 활성화로 환경보호와 시민복지의 조화를 이루고자 한다.


기획 | 기후위기 대응, 세계 지방정부의 선택
지방정부 기후위기 대응전략, 지방정부가 기후위기 대응의 핵심 주체가 되어야 한다는 주장. 유럽연합과 국제기구들이 강조하는 지방정부 주도의 기후정책 전환 사례를 소개하며, 실천력과 지역 맞춤형 대응을 높이기 위해서는 지방정부의 권한과 자율성이 필요하다고 설명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