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기획 | 생물다양성의 최후 보루, 보호지역을 보호하라
생물다양성 보호구역 지정관리, 생물다양성 보전의 핵심 수단인 보호구역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실질적인 보호 관리와 지역사회 참여가 필요함을 역설하고 있다.


이상호의 독일 기후 공약 ③ | 독일 선거에서 기후 이슈가 사라진 이유
독일 기후위기 정책 변화, 독일 선거에서 기후 이슈가 뒤로 물러났다. 경기 불황과 난민 문제가 화두가 되면서 기후 보호는 정치적 용기 부족과 정당의 지지층 상실 두려움으로 주변화되었다. 그러나 극심한 기상 이변으로 기후 정책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현장취재 | 최태영 그린피스 | 국제 약속 역행하는 한국의 보호지역 관리
보호지역 훼손 문제, 생물다양성 협약에 서명한 한국 정부가 보호지역 관리에 실패하고 있음을 지적하며, 보호지역을 보호해야 한다는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현장취재 | 생물다양성 협약에 따른 보호구역의 실태와 개선 과제 포럼 열려
생물다양성 보호구역 정책,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현장의 목소리를 담은 기사로, 국회 환경노동정책포럼에서 보호구역 실태와 개선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환경부, 산림청 관계자와 시민단체, 학계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생물다양성의 중요성과 실효성 있는 정책


정욱식의 전쟁과 기후ㅣ기후위기 뒤에 숨은 검은 손, ‘군산복합체’
군산복합체 기후위기 영향, 군산복합체의 막후 영향력으로 인해 기후변화 대응이 지연되어 왔다. 트럼프 정부에서는 군산복합체를 개혁하겠다는 움직임이 있어 주목된다.


특별기고 | 김우성 | 소나무가 산불의 원인일까?
산불 소나무 원인 분석, 소나무가 산불의 원인일까? 산불은 복잡한 현상으로, 소나무가 사라져도 여전히 발생한다. 기후변화로 한반도에서 소나무는 사라지고 있다. 소나무에 대한 편견을 버리고 산불을 깊이 이해하자.


인사이트 | 정연숙 강원대 생명과학과 명예교수 | 산불의 교훈
산불피해지 토양복원 방안, 정연숙 강원대 명예교수가 산불 복구 방식의 전환점을 제시하다. 조림 일변도에서 벗어나 토양 보전이 핵심이며, 자연복원이 더 효과적이라고 말한다.


기획 | 숲을 위협하는 것은 산불만이 아니다
산림정책 전환 방향, 소나무 305만 그루 고사, 기후위기와 산림 구조 문제 해결이 필요한 시점이다. 산림정책은 '심는 숲'에서 '가꾸는 숲'으로 전환하여 지속 가능한 산림 경영을 추진해야 한다.


지오북ㅣ최악의 산불, 포트 맥머리도 인간 활동의 결과
포트맥머리 산불 교훈, 이 책은 기후변화로 인한 산불 증가와 그 사회적 영향을 심도 있게 다룬다. 포트 맥머리 산불을 중심으로 화석연료 산업, 도시화, 극한 기후 등 요인들이 어떻게 산불 발생을 가중시켰는지 설명한다.


특별인터뷰 | 고인종 제주지하수연구센터장 | 물이 귀한 곳에서
제주 지하수 보존 관리, 제주지하수연구센터 고인종 센터장이 제주 지하수의 중요성과 보존 방안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제주의 소중한 생명수를 지키기 위한 연구와 노력을 소개하고 있다.


세계 물의 날 | 2025년 주제는 '빙하보존'
빙하 보존 물 위기, 유엔이 2025년 세계 물의 날 주제를 '빙하보존'으로 지정했다. 산악 빙하 감소가 전 세계 물 자원과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다룬 보고서를 발간하며, 이의 심각성을 알리고 대응을 촉구하고 있다.
![[사설] 대한민국은 물 부족 국가다. 착각은 금물이다.](https://static.wixstatic.com/media/c15d53_ee5b39821861445382cbfe127efe1ea4~mv2.jpeg/v1/fill/w_333,h_250,fp_0.50_0.50,q_30,blur_30,enc_avif,quality_auto/c15d53_ee5b39821861445382cbfe127efe1ea4~mv2.webp)
![[사설] 대한민국은 물 부족 국가다. 착각은 금물이다.](https://static.wixstatic.com/media/c15d53_ee5b39821861445382cbfe127efe1ea4~mv2.jpeg/v1/fill/w_233,h_175,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c15d53_ee5b39821861445382cbfe127efe1ea4~mv2.webp)
[사설] 대한민국은 물 부족 국가다. 착각은 금물이다.
대한민국 식량안보 농업현황, 식량 안보와 농업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쌀 과잉생산 논란과 정부-농민 갈등을 다룬다. 식량 자급률 하락과 농업 부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부 정책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기획 | 도심 싱크홀 증가와 홍수 위험, 지하수는 안녕한가
지하수 개발 지반침하 위험, 지하수 관리와 그에 따른 선택과 책임에 대해 다룬다. 지하수 개발에 따른 싱크홀 발생과 지반 침하 문제, 지하수를 둘러싼 공공재와 사유화, 수돗물과 생수의 장단점 등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고 지속가능한 물 관리의 필요성을 제안


기획 | 식량 위기, 기후위기의 또 다른 이름
기후위기 식량안보 위기, 기후위기로 인한 식량안보 위기가 대두되고 있다. 국제 갈등과 기후변화가 농업 생산성을 저하시켜 전 세계적인 식량 부족 사태를 초래하고 있으며, 취약국가인 한국은 식량자급률 제고와 탄소중립 대응이 시급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기획 | 식량 위기, 바다가 보내는 경고
기후변화 수산업 위기, 기후변화로 인한 해양 환경 악화로 한국 수산업이 위기를 맞고 있다. 명태 자원 고갈, 방어 어획량 감소 등 주요 어종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으며, 이는 지구온난화와 해양 산성화로 인한 것이다. 정부와 연구진의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
![[사설] 우리는 왜 기후위기 대응에 실패하고 있는가](https://static.wixstatic.com/media/c15d53_2a26f308328545e88c0524d05760de9c~mv2.jpg/v1/fill/w_333,h_250,fp_0.50_0.50,q_30,blur_30,enc_avif,quality_auto/c15d53_2a26f308328545e88c0524d05760de9c~mv2.webp)
![[사설] 우리는 왜 기후위기 대응에 실패하고 있는가](https://static.wixstatic.com/media/c15d53_2a26f308328545e88c0524d05760de9c~mv2.jpg/v1/fill/w_233,h_175,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c15d53_2a26f308328545e88c0524d05760de9c~mv2.webp)
[사설] 우리는 왜 기후위기 대응에 실패하고 있는가
기후위기 해결 청색기술, 기후위기 대응에 실패하는 이유를 탐구하고, 자연의 원리를 모방한 청색기술이 해결책이 될 수 있다고 제시하고 있다.


인터뷰 | 이준이 교수 | 기후과학자의 경고
기후변화 과학적 평가, 부산대 기후과학연구소 이준이 교수가 IPCC 6차 평가보고서 총괄 주저자로 참여하며 기후변화 문제의 심각성과 해결 방안을 소개하고 있다.


박정희 한국임업인총연합회장 | 산주(山主)가 숲을 지켜야 기후위기도 막는다
산림 경영 기후위기 해결, 한국임업인총연합회장 박정희 인터뷰, 기후위기 대응의 핵심은 산림 경영에 있다. 산림의 다원적 가치를 중심으로 새로운 산림 경영 패러다임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사설] 기후위기에 맞서는 기업](https://static.wixstatic.com/media/c15d53_1b078f19fbe3486babe228a2014d1f05~mv2.jpg/v1/fill/w_334,h_250,fp_0.50_0.50,q_30,blur_30,enc_avif,quality_auto/c15d53_1b078f19fbe3486babe228a2014d1f05~mv2.webp)
![[사설] 기후위기에 맞서는 기업](https://static.wixstatic.com/media/c15d53_1b078f19fbe3486babe228a2014d1f05~mv2.jpg/v1/fill/w_234,h_175,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c15d53_1b078f19fbe3486babe228a2014d1f05~mv2.webp)
[사설] 기후위기에 맞서는 기업
기업 기후위기 대응활동, 기업이 기후위기 대응에 앞장서야 한다는 주장을 담은 사설입니다. 기업의 사회 공헌과 책임이 강조되며, 파타고니아의 사례를 통해 기업이 이윤창출 외에도 환경보전에 힘써야 함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현장취재 | 45년 만에 다시 열린 '대한민국 산주(山主)대회'
산주대회 산림 활용방안, 45년 만에 열린 '대한민국 산주대회'로 220만 산주들이 모여 숲의 미래를 논의하였다. 산림 경영 컨설팅으로 큰 호응을 얻었으며, 산주들이 기후 리더로서의 역할을 강조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