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오충현의 무방비 생태계 | ① 생태계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보호지역과 OECM 확대 필요
보호지역 생물다양성 보전정책, 정부는 2030년까지 육상·해양 각 30% 보호지역·OECM 지정을 목표로 하고 있다. 보호지역 유형별 특징과 OECM의 개념, 국내외 보호지역 확대 추세를 설명하며 이를 달성하기 위한 과제와 필요 대책을 제시하고 있다.


기획 | '산림복구전투' 10개년 계획
북한 산림복구 과학화 성과, 북한은 2015년부터 10년 간 산림복구 전투를 펼치며, 양묘장 현대화와 병해충 관리 첨단화, 산림정보화 등을 통해 기술혁신을 이뤄내고 있다. 북한은 이를 통해 황폐화된 산림을 복구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인사이트 | 김창수 | '한반도 넷제로 시대'를 위하여
남북 탄소감축 협력방안, 남북이 기후변화와 환경 문제를 함께 해결하며, 평화와 신뢰의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는 '한반도 넷제로 시대'를 열어가자고 한다.


이순형의 에너지 꽈당 | ① 탈원전 vs 에너지 전환, 이분법은 틀렸다
에너지정책 탈원전 현실, 이순형 박사는 에너지 정책이 단순한 이분법에 갇혀 있다고 지적하며, 기술과 과학에 기반한 종합적인 에너지 전환 정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사설] 남북의 숲을 연결하라](https://static.wixstatic.com/media/c15d53_7e8382f3da0f42a4ae835f0d0dd6ecf1~mv2.jpg/v1/fill/w_334,h_250,fp_0.50_0.50,q_30,blur_30,enc_avif,quality_auto/c15d53_7e8382f3da0f42a4ae835f0d0dd6ecf1~mv2.webp)
![[사설] 남북의 숲을 연결하라](https://static.wixstatic.com/media/c15d53_7e8382f3da0f42a4ae835f0d0dd6ecf1~mv2.jpg/v1/fill/w_234,h_175,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c15d53_7e8382f3da0f42a4ae835f0d0dd6ecf1~mv2.webp)
[사설] 남북의 숲을 연결하라
남북 산림 협력 방안, 남북 산림 연결로 생태계 회복을 고민하는 시기다. 기후위기에 대한 남북 협력이 절실한 상황에서 숲은 중요한 전략적 요충지로, 남북이 힘을 합쳐 숲을 복원하고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기획 | 대북 제재 속 남북 협력, 기후 리더가 필요해
남북 기후위기 협력 방안, 대북제재로 가로막힌 한반도 기후협력을 생존과 안보의 관점에서 새롭게 접근해야 한다. 남북은 기술·자금 협력, 재난 대응 체계 구축으로 기후리더십을 발휘해야 한다.


특별기고 | 정창현 | 기후위기 대응 나선 북한, 달라진 전략과 남북 협력의 길
북한 기후위기 대응전략, 북한이 기후위기 대응과 재해 방지를 국가적 과제로 격상시켜 정책 변화를 추진하고 있다. 특히 '위기대응법' 제정, 농업 작물 전환, 산림 녹화, 재생에너지 확대 등 다양한 정책을 통해 기후위기에 대응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대선기획 | '지구의 날' 메시지로 본 대선후보 기후 리더쉽
대선후보 기후위기 대응, 대선 후보들의 '지구의 날' 메시지를 통해 기후 리더십을 살펴본 결과, 이재명 후보만이 지속가능한 대한민국을 강조하며 기후위기 대응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했다.


기획 | 국제협력 플랫폼을 활용한 남북 협력
남북 CDM 기후협력 현황, 남북 간 기후협력은 정치적 단절로 중단되었으나, 파리협정 제6조를 통해 새로운 모멘텀을 모색할 수 있다. 양자 간 협력과 비시장 메커니즘을 활용하여 한반도 기후변화 대응에 기여할 수 있는 현실적인 길이 열리고 있다.


이상호의 독일 기후 공약 | ④ 새로운 독일 연정 합의문과 기후 정치 전망
독일 기후정책 연정합의, 새로운 독일 연정 합의문에 담긴 탄소중립 정책을 분석하였다. 기민련/기사련과 사민당의 타협으로 마련된 본 합의문은 독일의 생태적 복지국가 전환을 위한 전략적 선택이라 할 수 있다.


기획 | 계통망 없는 에너지 전환은 전환이 아니다
에너지 전환 계통망 문제, 계통망 없이는 전환이 불가능하다. 재생에너지 확대에도 불구하고 계통망의 한계로 전기 낭비가 발생하고 있다. 선제적 계통 계획과 다각도의 정책 대응이 정의로운 에너지 전환의 핵심이다.


배재수의 마지막 숲 | ① 국민과 함께 2050, 우리 숲의 모습을 결정해야
산림 기후변화 탄소중립, 대통령의 기후미션 실천을 위해 새로운 산림정책 필요성을 제안하다. 산림녹화 성공 이후 과제로, 온실가스 흡수량 감소 문제와 이를 해결하기 위한 장기적 산림 관리 방안을 국민과 함께 모색하자고 말한다.


기획 | 기후에너지부, 에너지청을 제안한다
기후에너지부 신설 필요성, 산업부 체제의 취약한 에너지 거버넌스를 개선하기 위해 기후에너지부와 권역별 에너지청 신설을 제안한다. 이를 통해 기후위기 대응을 에너지 정책의 핵심으로 삼고, 지역 에너지 자립을 실현하고자 한다.
![[사설] 전기는 벽에서 나오지 않는다](https://static.wixstatic.com/media/c15d53_16daa3b552c046beb679e3e5967e5e90~mv2.jpg/v1/fill/w_334,h_250,fp_0.50_0.50,q_30,blur_30,enc_avif,quality_auto/c15d53_16daa3b552c046beb679e3e5967e5e90~mv2.webp)
![[사설] 전기는 벽에서 나오지 않는다](https://static.wixstatic.com/media/c15d53_16daa3b552c046beb679e3e5967e5e90~mv2.jpg/v1/fill/w_234,h_175,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c15d53_16daa3b552c046beb679e3e5967e5e90~mv2.webp)
[사설] 전기는 벽에서 나오지 않는다
전기 공급망 에너지전환 과제, 전기는 벽에서 나오지 않고, 먼 발전소에서 공급되며 효율적인 배분이 필요하다. 현대사회에서 전기는 필수불가결하므로 화석연료에서 재생에너지로의 에너지전환이 절실하다는 내용이다.


문태훈의 국가와 돈 | ①기후위기는 환경위기와 경제위기 - 합리적 의사결정과 공유의 비극
기후위기 해결 정책방안, 기후위기는 환경위기이자 경제위기로, 다양한 정책 수단을 활용해 극복해야 한다. 정부 규제, 경제적 유인책, 주민자치 등의 접근이 필요하며 중앙부처와 지방정부 모두가 최우선 과제로 다루어야 한다.


기획 | 에너지 전환은 새로운 외교전략, 연결과 협력
동북아 슈퍼그리드 전력망 구축, 동북아 슈퍼그리드는 기술이 아닌 정치적 결단과 국제 협력이 필요한 과제이다. 고비사막과 러시아 동부의 청정에너지를 활용해 전력 수급 문제를 해결하고 기후변화에 대응하고자 하는 야심찬 계획이다.


기획 | 에너지원, 무엇을 선택할지가 아니라 어떻게 설계할지다
한국 에너지 정책 과학화, 한국의 에너지 정책은 '탈원전이냐, 친원전이냐'의 대립에 머물러 있으나, 과학기술과 시스템 설계에 기반한 전략이 필요하다. 정치구호가 아닌 과학에 바탕을 둔 에너지 전환을 위해서는 정부와 과학계의 협력이 필수적이다.


현장취재 | 윤여창 서울대 명예교수 | 보호구역의 생물다양성과 '생태계 서비스' 지불제
산림정책 생물다양성 보전,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쿤밍-몬트리올 글로벌 생물다양성 프레임워크'의 4대 목표와 국내 산림 정책의 한계, 시민사회 참여 부족 등 산림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정책 방향을 다루고 있다.


현장취재 | 오충현 동국대 교수 | 우리나라 보호지역 관리체계의 문제점과 제안
보호지역 관리체계 개선방안, 보호지역 확대를 위한 제도 개선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국내외 보호지역 확대 목표와 현황을 살펴보며, 중복된 관리체계와 보호지역의 실효성 문제를 지적하고 있다. 또한 보호지역 관리에 있어 지역주민과의 협력 필요성을 강조


현장취재 | 박종원 부경대 교수 | KM-GBF의 국내 이행을 위한 보호지역 관련 입법 과제
생물다양성 보호지역 입법과제, 국내 보호지역 관련 입법과제에 대해 분석하고 있다. 보호지역 지정 및 관리 시 고려사항과 함께 생물다양성법의 한계점과 기본법 전환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