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김현권의 농업 이야기 ⑦ | 세계시장을 내다보는 한국의 축산, 한우를 중심으로
한우 세계시장 진출 전략, 한국 축산업이 세계시장 진출을 위해 한우 개량과 사육 기술 혁신을 통한 경쟁력 강화 방안을 제시하고, AI와 IT 기술을 활용한 축산업 발전 전략을 논의한다.


김현권의 농업 이야기 ⑥ | 한우를 좀 더 싸게 자주 먹을 수 없을까
한우 가격 인하 방안, 한우는 30개월의 긴 사육기간과 소규모 축산 농가 구조도 있지만, 산업으로서 봐야 한다. 마리 단위 경매제를 부분육 거래로 전환하고 현대적 육가공 시설 도입을 통해 유통비용을 줄여 한우를 더 저렴하게 공급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


배이슬의 기후월령가 | 하얀 이슬이 내리는, 백로
백로 절기 농사 준비, 백로 절기에 하얀 이슬이 내리는 시기의 농사일과 자연 변화를 담았다. 벼 이삭이 패고 가을 작물을 준비하며, 절기의 의미와 농촌 생활의 지혜를 전한다.


김현권의 농업 이야기 ⑤ | 가공식품의 시대가 오고 있다
가공식품 시장 성장 전망, 한국의 가공식품 산업이 급성장하며 중국을 따돌릴 수 있는 유일한 분야로 주목받고 있다. 쌀 가공산업 매출 8조2천억원, 수출 연평균 22% 성장하며 새로운 기회를 창출하고 있다.


박정희의 산주변론(山主辯論) | ③ 청년 임업인을 위한 세제 개선 필요
임업 세대교체 세제개선, 산림 경영의 세대교체 과제를 분석하며, 임업직불금 도입에도 불구하고 여전한 상속세·증여세 등 세금 장벽 문제와 청년 임업인을 위한 세제 개선 필요성을 제시한다.


김현권의 농업 이야기 | ③ 왜, 산림경영인가?
산림경영 에너지 자립마을, 오스트리아의 산림 활용 사례를 통해 한국의 산림경영 필요성을 강조하며, 산림을 도시민 중심이 아닌 지역민의 관점에서 바라봐야 한다고 주장한다.


김현권의 농업 이야기 | ② 맑은 강물이 보고 싶다
오염된 강물 정화 방안, 하수도 보급, 축산 분뇨 관리, 화학비료 감축 등 다각도로 접근하며, 바이오 플랜트 보급과 농촌 열 이용 계획으로 농업이 탄소중립에 기여할 수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기후재난리포트12 ④ 폭염(2) | 폭염도,가뭄도, 폭우도 이제는 '뉴노멀', 기후위기와 '헤어질 결심'할 때
급성가뭄 농업피해 대응방안, 기후변화로 인한 급성가뭄이 새로운 '뉴노멀' 재난이 되었다. 농가는 예보 체계와 보상 제도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어 선제적 대응이 시급하다는 내용이다.


기후재난리포트12 ④ 폭염(2) | 기후재난이 현실로, 밥상 위협하는 기후플레이션
기후위기 식량물가 대책, 기후위기로 인한 폭염과 가뭄은 농산물 가격 급등을 초래하며 국민 밥상을 흔들고 있다. 이제 임시 대책이 아닌 기후에도 흔들리지 않는 식량 시스템으로의 구조적 전환이 필요하다는 내용이다.
![[사설] 대한민국 산촌 살리기](https://static.wixstatic.com/media/c15d53_8906ed641e084049b4ba2c9eb3298243~mv2.jpg/v1/fill/w_334,h_250,fp_0.50_0.50,q_30,blur_30,enc_avif,quality_auto/c15d53_8906ed641e084049b4ba2c9eb3298243~mv2.webp)
![[사설] 대한민국 산촌 살리기](https://static.wixstatic.com/media/c15d53_8906ed641e084049b4ba2c9eb3298243~mv2.jpg/v1/fill/w_234,h_175,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c15d53_8906ed641e084049b4ba2c9eb3298243~mv2.webp)
[사설] 대한민국 산촌 살리기
산촌 살리기 임업 활성화, 산촌을 살리기 위해 숲의 경제적 가치를 높여야 한다. 영세 산주들의 산림 활용을 돕고, 카본 크레딧, 신재생에너지 등 새로운 수익원을 모색하여 산림 산업의 기반을 튼튼히 해야 한다.
![[사설] 햇빛과 바람이 농촌, 어촌, 산촌을 다시 살린다](https://static.wixstatic.com/media/c15d53_f88097b2f9a94a39914e204e25bb942a~mv2.jpg/v1/fill/w_334,h_250,fp_0.50_0.50,q_30,blur_30,enc_avif,quality_auto/c15d53_f88097b2f9a94a39914e204e25bb942a~mv2.webp)
![[사설] 햇빛과 바람이 농촌, 어촌, 산촌을 다시 살린다](https://static.wixstatic.com/media/c15d53_f88097b2f9a94a39914e204e25bb942a~mv2.jpg/v1/fill/w_234,h_175,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c15d53_f88097b2f9a94a39914e204e25bb942a~mv2.webp)
[사설] 햇빛과 바람이 농촌, 어촌, 산촌을 다시 살린다
재생에너지 농촌 살리기, 농촌, 어촌, 산촌이 재생에너지로 새롭게 부활하고 있다. 햇빛과 바람이 지역 주민에게 직접적인 수익을 가져다주는 '햇빛 바람 연금'이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기후국가의 기후기술 | 식량 위기와 농업 정책 | 김현권 | 제20대 국회의원
농촌 태양광 식량위기 해결, 김현권 전 국회의원은 농업을 산업과 에너지, 외교로 연결하는 전략 자산으로 재설계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태양광 발전을 농업에 접목하고, 쌀을 매개로 한 국제 협력 체계 구축이 해답이라고 제안하였다.


김현권의 아사(餓死) 직전 | ⑤ 정확한 농업 통계부터 만들자
농업소득 통계 개선방안, 농업 소득세와 사업자등록 제도 개선을 통해 정확한 농업 통계를 구축하여 농업 정책의 근본적인 한계를 극복해야 한다.


김현권의 아사(餓死) 직전 | ④ 농업 개혁의 절반은 농협이다
농협 개혁 필요성 문제, 농협 중앙회장 선거 방식 개선과 농협의 역할 확대에 대한 글이다. 지역 농협의 통폐합과 품목 농협으로의 전환, 축협의 농협 통합 문제, 농협 지주제 개선 필요성 등을 제시하며, 농협 중앙회장 선출 방식 변경을 주장하고 있다.


오충현의 무방비 생태계 | ③ 농업생물다양성 보전
농업생물다양성 보전 정책, 농업생물다양성 보전의 중요성과 관련 국가 정책을 소개하는 내용이다. 농업생태계의 균형과 지속가능성을 위해 다양한 생물종 보전이 필요하며, 국가농업유산제도를 통해 이를 보호하고자 한다.


김현권의 아사(餓死) 직전 | ③ 청년에게 농사를 권하려면, 이 정도는 해야
청년농업인 지원정책 개선, 젊은 농민이 점점 줄어드는 농촌 고령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년창업농 정책을 재검토하고, 전문농업인 양성 교육과 멘토링 등 다각도의 지원책이 필요하다는 내용이다.


김현권의 아사 직전 | ① 식량 위기에 어떻게 대응할까
식량위기 대응 정책방안, 일본의 쌀 파동이 장기화되는 이유와 우리나라 농업의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영세 소농 구조와 이중곡가제도의 한계, 농지 규모화와 집적화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감축 정책이 아닌 공급망 확대와 수출 활성화를 통한 위기대응 능력 제고 방안을 제안하였다.
![[사설] 대한민국 농업은 괜찮은가](https://static.wixstatic.com/media/c15d53_817a2ea723d3474f958f93e147754c23~mv2.jpg/v1/fill/w_334,h_250,fp_0.50_0.50,q_30,blur_30,enc_avif,quality_auto/c15d53_817a2ea723d3474f958f93e147754c23~mv2.webp)
![[사설] 대한민국 농업은 괜찮은가](https://static.wixstatic.com/media/c15d53_817a2ea723d3474f958f93e147754c23~mv2.jpg/v1/fill/w_234,h_175,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c15d53_817a2ea723d3474f958f93e147754c23~mv2.webp)
[사설] 대한민국 농업은 괜찮은가
대한민국 식량안보 농업현황, 식량 안보와 농업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쌀 과잉생산 논란과 정부-농민 갈등을 다룬다. 식량 자급률 하락과 농업 부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부 정책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인사이트 | 신지연 | 전국여성농민회총연합 사무총장 | 양곡관리법은 '남는 쌀 매수법'이 아니다
양곡관리법 농민 생존문제, 전국여성농민회총연합 신지연 사무총장은 양곡관리법 개정이 농민의 생존을 위한 기본 조건이라고 강조하며, 쌀값 보장과 공공 비축량 확대 등 다양한 의견을 제시하고 있다.


특별인터뷰 | 장정우 청년농부 | 줄 낟알 세어 농사를 어찌 안다 하옵니까?
청년농부 농업 정책 방향, 청년농부 장정우가 홍동면에서 농사를 짓며 마을 활동을 하는 모습을 소개한다. 그는 농민의 공익적 가치를 강조하며, 정부와 대중의 농업에 대한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