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문태훈의 국가와 돈 | ⑥ 한국의 기후위기 대응 정부조직 구조 — 기후환경에너지부와 환경·사회·경제 3부총리 협의체 정부
기후위기 정부조직 개편방안, 새 정부가 기후환경에너지부 신설을 논의하고 있으나, 기존 방식을 답습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저자는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부총리급 기후환경에너지부와 경제·사회·환경 3부총리 협의체 구축을 제안하고 있다.


대형 산불 긴급구호의 현황과 과제 | 재난 피해자 권리 보장을 위한 정책 포럼
재난피해자 권리보장 정책, 2025년 대형 산불 긴급구호 현황과 과제를 다룬 정책포럼이 열렸다. 피해자의 권리 보장과 지역사회 중심의 회복을 위한 다양한 제도 개선 방안이 논의되었다.


기조발제 | 이시영 | 강원대 방재전문대학원 | 산불 위험 요인과 대형 산불 대응 전략
대형산불 대응전략 현장분석, 산불 예방-진화-복구 체계 구축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첨단 기술과 지역 대응력 강화가 초대형 산불 피해를 줄일 수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오충현의 무방비 생태계 | ⑤ 도시 생태계와 자연기반해법
도시생태계 자연기반해법, 도시화로 인한 생태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연기반해법의 중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녹지 확보, 물 순환 회복, 폐기물 관리 등 다양한 방안을 통해 도시 생태계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고자 하는 내용이다.


김우성칼럼 다짜고짜 기후 | 달라진 장마철 홍수 대비
장마철 홍수 대처방법, 도시의 홍수 대비가 달라지고 있다. 기후변화로 장마가 달라지면서 인간이 조성한 도시환경이 물 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공무원과 시민이 합심하여 홍수 예방에 힘쓰고 있다.


기후국가와 기후권 | 기후국가와 남북 협력 | 정창현 | 평화경제연구소 소장
2025-06-19 김복연 기자 기후국가로의 전환은 국가 시스템의 근본적 재설계와 남북 간 새로운 협력이 필요한 과제이다. 북한의 기후위기 대응 현황과 남북 협력의 방향을 살펴본다. 정창현 평화경제연구소 소장. 사진 플래닛03 DB 정창현 은...


기후국가의 기후기술 | 재생에너지와 RE100산단 | 서길모 | 에너윈글로벌 연구소장
재생에너지 마이크로그리드 산업단지, 기술 실증을 완료한 계통 독립형 마이크로그리드와 RE100 산단이 주목받고 있다. 이제는 이를 전국적으로 확산할 수 있는 정책·제도 정비가 시급하다는 에너지 기술 전문가 서길모의 제안이다.


문태훈의 국가와 돈 | ⑤ 한국의 기후위기 정책과 재정 지출
기후위기 재정정책 현황,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한국의 정책과 재정 지출 현황을 다루었다. 온실가스 감축, 기후변화 적응, 혁신생태계 조성 등의 정책 방향과 실제 재정투자 규모, 녹색예산제도 도입 등이 소개되었다.


국민이 답하다 | 신동빈 | 심리상담가 | 기후 불안 속 ‘창조적 무망감’이란
기후위기 심리상담 해결방안, 환경운동가가 아닌 일반인이 느끼는 기후 불안과 이에 대처하는 방법을 탐구하였다. 개인의 실천만으로는 한계가 있지만, 게이미피케이션을 통한 재미있는 환경 실천이 일상이 될 수 있도록 정책적 뒷받침이 필요하다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이순형의 에너지 꽈당 | ⑤ 기후에너지부, 에너지청이 필요하다
기후에너지부 조직개편 필요성, 에너지 정책의 구조적 한계를 지적하며 기후에너지부와 에너지청 신설을 제안하고, 재생에너지와 신에너지의 차이를 구분하는 필요성을 역설하다.


국민이 답하다 | 정여진 | 직장인 | 기후위기가 내 일상이 되기까지
일상속 기후위기 대응법, 30대 정여진 씨는 기후위기에 대한 관심과 고민을 나누며, 일상에서 체감되는 변화로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말한다. 기후정책의 시민 참여를 강조하며, 세대 간 격차를 넘는 기후 콘텐츠가 필요하다고 제안한다.


기자집담회 | '기후국가 10대 과제' 연재를 마치며
2025-06-12 김복연 기자 대선 기획 기후국가 10대 과제를 준비한 기자들이 한 자리에 모여 10주 동안의 취재에 대한 소회를 나눴다. 10대 과제는 10개의 다른 주제이기도 하다. 주 마다 숨차게 달려온 기자들이 바라본 진짜 '기후국가'의...


국민이 답하다 | 박대원 | 물리치료사 | 기후 과제, 모든 것은 연결되어 있다
2025-06-11 김복연 기자 박대원씨는 40대의 물리치료사로 일상에서 체감한 기후위기를 개인적 차원에서 사회적 차원으로 인식의 장을 넓히고 있다. 정책, 기술, 환경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정부-기업-시민 모두가 각자의 역할을 해야...


국민이 답하다 | 강규희 | 작가 | 환경 냉담자에서 기후 관심자로
환경주의자 기후위기 인식변화, 10대 때 환경주의자였던 강규희 씨가 환경 무관심에서 벗어나 기후 관심자로 변화하게 된 과정을 다루고 있다. 정보 공개와 시민 참여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정부가 전문가와 시민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기를 주장하고 있다.


이준이의 급격한 기후변화 | ③ 화석연료에서 날씨연료로의 전환은 거스를 수 없는 흐름
날씨연료 재생에너지 전환,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필수 전략, 날씨연료로의 전환이 거스를 수 없는 흐름이다. 태양광, 풍력, 수력 등 재생에너지 발전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나, 한국의 재생에너지 비중은 여전히 낮은 실정이다.


기획 | 물 부족은 전 지구적 생존의 문제이다
기후위기 물부족 해결방안, 물 위기는 전 지구적 문제로, 기후변화와 자원 불평등이 겹치며 깨끗한 물 접근성이 인권과 지속가능성의 핵심이 되었다. 세계 22억 명이 여전히 안전한 식수를 얻지 못하고 있으며, 생수 산업의 과도한 지하수 사용과 플라스틱 오염이 문제로 부상하고 있다.


기획 | 기후 재난의 시대, 도시 생태하천을 복원하자
기후위기 시대, 자연과 인간이 공존하는 생태하천 복원이 도시 안전과 환경 보전의 핵심 전략이 되고 있다. 완충습지, 다단계 수변 구조, 자연형 수로 등 다양한 생태하천 기술들이 홍수 저감과 생물 다양성 회복을 동시에 실현하고 있다.


제종길의 끝장난 바다 | ③ 블루카본, 블루이코노미를 키우려면 블루솔루션
해양 블루카본 정책 전략, 해양 생태계 보전과 경제발전을 동시에 추구하는 블루이코노미의 핵심인 블루카본 정책을 소개한다. 블루카본은 해안 식생대의 탄소 흡수 및 저장 능력을 높여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이를 통해 해양산업 발전도 도모하는 자연 기반 해법이다.


인사이트 | 신정훈 | 지방 위기 극복하면 기후위기도 극복할 수 있다
지방분권 기후위기 해결방안, 기후위기와 지방소멸 위기의 공통된 뿌리는 수도권 중심의 과도한 집중 구조이다.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서는 지방정부의 권한과 예산 확대가 필요하며, 지역 분산형 에너지 전환이 지방분권과 지역경제 자립의 실천적 수단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기획 | 호남권, 주민참여형 에너지 전환 도시로
재생에너지 주민배당 정책, 전남·제주는 풍부한 자연자원과 정부의 지원으로 탄소 감축 및 재생에너지 개발을 선도하며, 주민참여형 에너지 수익 공유 모델로 지속가능한 전환을 달성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