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지오북ㅣ가뭇없이 사라진 아름다운 것들에 대하여
인간에 의한 생물종 멸종, 중국 작가 선푸위의 '내 이름은 도도'를 통해 인간에 의해 멸종된 도도새, 뉴펀들랜드늑대, 안경가마우지 등의 비극적 역사를 되짚으며, 생태계 파괴와 기후위기로 되돌아온 인류의 무지와 폭거를 성찰한다.


문태훈의 도넛 | ⑥ 무분별한 AI와 온실가스 배출, 자기조정적 자율 시장의 작동 결과
AI 기후위기 생태전환, AI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한 대량 실업과 기후위기라는 이중 위기 상황에서, 자기조정적 시장경제의 한계를 분석하고 양적 성장에서 질적 발전으로의 생태 전환 혁명이 필요하다고 제시한다.


외래종 유입 | 도심을 점령한 곤충, 인간이 설계한 생태환경 산물
러브버그 등 도시 곤충 대발생 원인을 기후변화와 도시화 관점에서 분석하고, 살충제 방역 대신 생태계 균형 회복을 통한 공존 방안을 제시한다. 인간이 만든 환경 변화가 불청객을 초대했다는 관점으로 접근한다.


외래종 유입 | 수입·밀수된 외래 반려동물 방사, 생태계 위협 심화해
외래생물 생태계 교란 문제, 수입·밀수된 외래 반려동물의 무분별한 방사로 국내 생태계가 심각한 위협을 받고 있다. 붉은귀거북, 뉴트리아 등이 토종 생물을 위협하고 있으며, 정부는 사전 예방 중심 정책으로 전환해 대응하고 있다.


기후재난리포트12 ⑫ 생물다양성 | '멸종'의 가속화, 인간이 만든 '멸종'의 조건
2025-09-09 김복연 기자 동물 멸종의 두 가지 조건인 유전적 다양성 부족과 전문화된 생활양식의 취약성을 중심으로, 국제 사례(치타·판다)와 국내 사례(산양·저어새)를 통해 설명한다. 국립공원 개발과 조간대 파괴 같은 인간 활동은 종의 생존...
![[현장취재] 생명지킴이대회 | '생명의 편에 선 사람들', 개발로 사라진 생명들에게 위령제 열다](https://static.wixstatic.com/media/f6a7df_e6294a886fe747de911cecfc5cf35ea1~mv2.jpg/v1/fill/w_334,h_250,fp_0.50_0.50,q_30,blur_30,enc_avif,quality_auto/f6a7df_e6294a886fe747de911cecfc5cf35ea1~mv2.webp)
![[현장취재] 생명지킴이대회 | '생명의 편에 선 사람들', 개발로 사라진 생명들에게 위령제 열다](https://static.wixstatic.com/media/f6a7df_e6294a886fe747de911cecfc5cf35ea1~mv2.jpg/v1/fill/w_234,h_175,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f6a7df_e6294a886fe747de911cecfc5cf35ea1~mv2.webp)
[현장취재] 생명지킴이대회 | '생명의 편에 선 사람들', 개발로 사라진 생명들에게 위령제 열다
2025-09-09 김복연 기자 '생명의 편에 선 사람들'이 2025년 9월 6일 광화문에서 대규모 집회를 열고 정부의 무분별한 개발 정책을 비판했다. 이들은 전국 각지의 생태계 파괴 현장에서 모여 4대강 보 해체, 공항 및 댐 건설, 케이블카...


기후재난리포트12 ⑪ 해양산성화 | 해양의 탈산소화 심화,‘빈산소수괴’의 위협
빈산소수괴 기후변화 피해, 기후변화로 인한 해양 탈산소화와 빈산소수괴 확산이 전 세계 연안에서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진해만 등 국내 연안에서도 산소 고갈 현상이 장기화되며 양식업 피해가 증가하고 있어 통합적 대응이 시급하다.


기후재난리포트12 ⑪ 해양산성화 | 바다에 녹아든 이산화탄소, 바다 사막화까지 이어져
바다숲 복원 갯녹음 대응, 해양산성화와 갯녹음으로 한국 연안 생태계가 심각한 위기를 맞고 있으며, 정부가 2030년까지 5만4천ha 바다숲 조성을 목표로 복원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나 사후관리 부실과 생태학적 접근 부족이 한계로 지적된다.


기후재난리포트12 ⑩ 양수발전
양수발전은 기후변화대응이라는 목적 달성을 위해 오히려 민주적 절차를 무시하는 개발우선주의 정책이다.


기후재난리포트12 ⑪ 해양산성화 | 모든 쓰레기는 바다로 모인다, 안 쓰고 안 버리는 전환 필요해
해양쓰레기 미세플라스틱 위험, 태평양 거대 쓰레기 지대에서 한국 배출량이 4년간 1위를 기록했으며, 국내에서도 연간 14만 톤의 해양쓰레기가 발생하고 있다. 미세플라스틱은 해양생태계를 넘어 인간의 건강까지 위협하고 있어 생산 감축과 국제협력이 시급하다.


기후재난리포트12 ⑩ 양수발전 | 양수발전, 다른 대안은 없는가
양수발전 환경영향 대안, 탄소중립을 위한 양수발전 확대 정책이 환경파괴 논란에 직면했다. 정부는 2038년까지 양수발전 용량을 두 배로 늘리려 하지만, 생태계 훼손과 마을 수몰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폐쇄형 양수발전과 배터리 저장장치 등 친환경 대안 모색이 필요하다.


기후재난리포트12 ⑩ 양수발전 | 7년의 시간, 홍천군 풍천리 주민에게 배우는 '양수발전'
양수발전소 환경파괴 논란, 강원도 홍천군 풍천리 양수발전소 건설 과정에서 드러난 민주적 절차 부재와 주민 공동체 파괴 문제를 다룬다. 100년 잣나무 숲과 생태계 파괴, 7년간 이어진 주민들의 투쟁 과정을 통해 국책사업의 문제점을 조명한다.


기후재난리포트12 ⑩ 양수발전 | 국내 양수발전 46년의 기록
양수발전소 환경피해 역사, 국내 양수발전소 46년 역사를 통해 주민 이주, 환경훼손, 안전사고 등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청평부터 예천까지 각 발전소별 피해 사례와 부실 시공으로 인한 인명피해를 다룬다.


기후재난리포트12 ⑨ 대규모개발사업 | 대규모 공항 건설, 인프라 양적 확대는 시대 역행, 교통·물류 구조 재설계가 필요한 시대
신공항 건설 환경파괴, 정부가 추진하는 가덕도, 새만금, 제주 제2공항 등 대규모 신공항 건설사업이 멸종위기종 서식지 파괴, 탄소배출 증가, 경제성 부족 등의 문제를 안고 있어 기후위기 시대에 부적합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기후재난리포트12 ⑨ 대규모개발사업 | 케이블카, ‘관계인구’의 정체, 개발사업=지역발전 공식 깨져야
2025-08-21 김복연 기자 전국적인 케이블카 건설은 '관계인구' 유치라는 명분과 달리 대부분 적자로 운영되어 그 부담이 결국 주민 세금으로 전가된다. 나아가 기후변화 시대에 산림을 파괴하는 사업은 산사태, 폭염 등 재난 위험을 키우며 지역의...


기후재난리포트12 ⑥ 4대강 재자연화 | 강을 막으면 생태계도 막힌다
2025-07-30 김복연 기자 4대강 사업으로 인해 강물 흐름이 막히면서 다양한 생물들의 서식지가 파괴되고 있다. 흰수마자, 흰목물떼새, 꾸구리, 돌상어 등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생태계 단절의 실상과 생태계라는 추상적 개념에서 벗어나 구체적인...


환경부의 국립공원 케이블카 확대 시도 규탄 기자회견 열려
국립공원 케이블카 설치 논란, 환경단체들이 환경부의 국립공원 케이블카 확대 시도를 규탄하는 기자회견이 열렸다. 이들은 케이블카 사업이 국립공원 환경을 훼손하며, 관련 정책을 즉각 중단할 것을 요구했다.


현장취재 | 최태영 그린피스 | 국제 약속 역행하는 한국의 보호지역 관리
보호지역 훼손 문제, 생물다양성 협약에 서명한 한국 정부가 보호지역 관리에 실패하고 있음을 지적하며, 보호지역을 보호해야 한다는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지오북ㅣ최악의 산불, 포트 맥머리에서 배운다
포트맥머리 산불 교훈, 이 책은 기후변화로 인한 산불 증가와 그 사회적 영향을 심도 있게 다룬다. 포트 맥머리 산불을 중심으로 화석연료 산업, 도시화, 극한 기후 등 요인들이 어떻게 산불 발생을 가중시켰는지 설명한다.


김우성의 생태포럼 | 뿌리로 만드는 숲
나무 뿌리 생태계 특성, 나무의 깊은 뿌리는 생태계를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움싹을 통한 나무의 재생능력은 우리 삶에서도 시사점을 준다는 내용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