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기후재난리포트12 ⑥ 4대강 재자연화 | 강을 막으면 생태계도 막힌다
2025-07-30 김복연 기자 4대강 사업으로 인해 강물 흐름이 막히면서 다양한 생물들의 서식지가 파괴되고 있다. 흰수마자, 흰목물떼새, 꾸구리, 돌상어 등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생태계 단절의 실상과 생태계라는 추상적 개념에서 벗어나 구체적인...


환경부의 국립공원 케이블카 확대 시도 규탄 기자회견 열려
국립공원 케이블카 설치 논란, 환경단체들이 환경부의 국립공원 케이블카 확대 시도를 규탄하는 기자회견이 열렸다. 이들은 케이블카 사업이 국립공원 환경을 훼손하며, 관련 정책을 즉각 중단할 것을 요구했다.


현장취재 | 최태영 그린피스 | 국제 약속 역행하는 한국의 보호지역 관리
보호지역 훼손 문제, 생물다양성 협약에 서명한 한국 정부가 보호지역 관리에 실패하고 있음을 지적하며, 보호지역을 보호해야 한다는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지오북ㅣ최악의 산불, 포트 맥머리에서 배운다
포트맥머리 산불 교훈, 이 책은 기후변화로 인한 산불 증가와 그 사회적 영향을 심도 있게 다룬다. 포트 맥머리 산불을 중심으로 화석연료 산업, 도시화, 극한 기후 등 요인들이 어떻게 산불 발생을 가중시켰는지 설명한다.


김우성의 생태포럼 | 뿌리로 만드는 숲
나무 뿌리 생태계 특성, 나무의 깊은 뿌리는 생태계를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움싹을 통한 나무의 재생능력은 우리 삶에서도 시사점을 준다는 내용이다.


장정구 | 모든 쓰레기는 바다로 모인다
2024-08-23 인천 앞바다의 경고 인천 앞바다는 현재 심각한 해양 쓰레기 문제에 직면해 있다. 해양 쓰레기는 어업 활동으로 인한 쓰레기, 해외에서 흘러들어오는 쓰레기, 관광객들이 버리고 간 쓰레기로 나눌 수 있다. 어민들이 사용하는 1회용...


한상훈 | 멸종 위기 야생동물, 인간도 동물이다
2024-08-23 제19회 청년생태학교에서 야생동물에 대해 강의하는 한반도야생동물연구소 한상훈 박사 한국의 야생동물들이 멸종 위기에 처한 것은 단순히 동물 개체의 문제에 국한되지 않고, 인간을 포함한 생태계 전반의 위협으로 이어질 수 있다....


윤여창 | 이산화탄소도 쓰레기라고 인식해야
2024-08-23 이산화탄소는 공기를 오염시키는 쓰레기라는 것을 인식하자 쓰레기를 만들지 않고 살아가는 것이 어떤 것인가? 우리가 생활을 하면서 내뱉는 이산화탄소(CO₂)가 공기를 오염시키는 쓰레기라는 것을 먼저 인식하자. 사람은 섭취한 음식의...


세미나ㅣ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사찰림의 역할과 과제
황희정 기자 2024-08-16 2024년 8월 13일 오후 2시, 서울 종로 조계사에 위치한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에서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 사회부가 주관하고 협동조합 자연과공생연구소가 주최한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사찰림의 역할과 과제’...


시화호30년 연속 대담 ① | 박영흥, 바다는 나의 생계다
이유경 기자 2024-08-11 2024년 8월 9일, 시화호 블루카본 포럼에서 ‘시화호 지킴이’ 감사패를 받았다. 아버지대부터 어업으로 생계를 이어 왔고, 지금은 아들과 함께 승원호에서 바다낚시 체험을 도우며 살아가고 있다. 시화호를 지키면서...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