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배이슬의 기후월령가 | 낮과 밤의 길이가 같아지는, 추분
추분 가을 농사일정, 추분은 낮과 밤의 길이가 같아지는 가을의 중심으로, 들깨처럼 밤이 길어져야 꽃피는 식물들의 특성과 균형의 의미를 담고 있다. 기후변화로 달라진 가을 날씨와 추석의 의미, 그리고 벼수확과 가을걷이 등 계절에 맞는 농사일을 소개한다.


김우성칼럼 다짜고짜 기후 | 알약 하나로 식사를 대체한다면
알약 식사 대체 가능성, 알약 하나로 식사를 대체할 수 있다면 편리하겠지만, 요리와 식사는 인간의 두뇌 발달과 문화를 형성하는 중요한 과정이다. 기후위기 해결책으로 주목받는 알약 식사의 장단점을 살펴본다.


배이슬의 기후월령가 | 하얀 이슬이 내리는, 백로
백로 절기 농사 준비, 백로 절기에 하얀 이슬이 내리는 시기의 농사일과 자연 변화를 담았다. 벼 이삭이 패고 가을 작물을 준비하며, 절기의 의미와 농촌 생활의 지혜를 전한다.


인사이트 | 이유정 해녀 | 세계에 바다의 변화를 알리다
제주 해녀 환경보호 활동, 제주 이호마을 막내 해녀 이유정이 6년간 바다 쓰레기를 줍고 기후변화로 달라진 제주 바다를 기록하며, 해녀의 현실과 환경보호 활동을 통해 선한 영향력을 펼치고 있는 이야기를 전한다.


배이슬의 기후월령가 | 모기 입이 삐뚤어지는, 처서
처서 절기 농사법, 처서 절기의 농촌 이야기로, 모기가 약해지고 벼가 이삭을 맺는 시기의 변화된 기후와 고추 따기, 목화 키우기, 배추 농사 등 계절에 맞는 농사일을 생생하게 담았다.


배이슬의 기후월령가 | 벼 크는 소리에 놀라 개 짖는, 입추
절기 입추 농사 이야기, 입추를 맞아 벼가 빠르게 자라는 모습을 관찰하는 농부의 이야기. 가을 농사 준비와 할머니와의 여름방학 추억을 담은 글이다.


배이슬의 기후월령가 | 염소 뿔이 녹는다는, 대서
대서 전통 기후 농사, 더위와 가뭄의 계절, 대서(大暑)의 농촌 풍경과 삶의 이야기다. 염소 뿔도 녹는다는 극심한 더위와 물 부족 속에서 농부들이 겪는 어려움과 대처 방식을 생생하게 보여 준다.


배이슬의 기후월령가 | 작은 더위의 시작, 소서
소서 계절 농사 이야기, 배이슬이 풀과의 전쟁에서 얻은 여름에 대한 견해를 담은 글이다. 소서의 더위와 장마에 대한 설명, 제초제가 바꾼 풍경, 풀이 약이 되는 과정 등을 다루며, 더위와 풀을 모두 잡아먹으며 여름을 보내는 농부의 모습을 생생히 전달하고 있다.


배이슬의 기후월령가 | 여름에 이르는, 하지
하지 때 여름 농사법 이야기, 여름에 이르는 하지에 대해 논농사와 여름 수확, 보리·감자·고구마 등 작물의 한 살이를 살펴본다. 하지는 여름철 가장 바쁜 시기로, 장마와 가뭄 사이에서 여름을 저장하며 작물들과 함께 시간을 보내는 농부의 이야기다.


배이슬의 기후월령가 | 온 세상이 가득해지는, 소만
소만 기후변화 절기 풍경, 계절의 변화와 함께 자연의 생명력이 가득해지는 소만에 대한 기후월령가다. 초록이 짙어지고 다양한 꽃들이 피어나며, 풍성한 농작물과 함께 생태계가 풍요로워지는 여름의 시작을 노래하고 있다.


세토우치 트리엔날레를 찾다 ⑨ 지역사회와 문화 활성화를 성공시킨 요인들
세토우치 트리엔날레 성공요인, 2010년부터 개최된 '세토우치 트리엔날레'는 자연과 예술을 결합하여 지역사회 활성화에 기여했다. 행사를 통해 도서 지역 경제가 살아났고, 주민 결속력이 높아졌으며, 전통과 현대 문화가 융합되는 성과를 거두었다.


배이슬의 기후월령가 | 여름으로 들어가는, 입하
입하 제철 농사 풍습, 기후월령가를 통해 여름의 시작인 입하 시기의 농촌 생활을 소개하는 글이다. 입하가 지나며 따뜻한 작물들을 밭에 옮겨 심고, 여름의 풍요로운 자연 속에서 제철 나물을 즐기며 시간을 보내는 농부들의 모습을 보여준다.


배이슬의 기후월령가 | 울긋불긋 산벚 피면 못자리하는, 곡우
곡우 절기 농사. 농사에 중요한 계절적 징조인 꽃의 개화시기와 이에 따른 농사 활동의 변화를 다룬다. 그러나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꽃 개화 시기가 달라져 농사 활동에 혼란을 겪고 있다.


세토우치 트리엔날레를 찾다 ⑥ 대지의 예술제, 에치고 츠마리 아트 트리엔날레
에치고 츠마리 예술제 특징, 일본의 대표적인 지역 예술제인 에치고 츠마리 아트 트리엔날레는 마을 사람들과 자연의 숨결을 예술로 승화시켜, 사람과 작품이 조화롭게 공존하는 독특한 문화예술 공간이다.


배이슬의 기후월령가 | 갈아엎고 새로이 싹틔우는, 청명
봄 청명 절기 농사, 청명, 농사 새로 시작하기 좋은 때로 갈아엎고 싹트는 계절이다. 평소와 다른 기후로 혼란스러운 농부들이지만, 씨앗의 힘을 믿고 묵은 것을 갈아엎고 새롭게 시작하는 계절이다.


특별기고 | 김형민 칼럼니스트 | 잃은 것은 나무만이 아니다
산불 피해 문화재 소실, 이번 경상도 지역 산불로 인해 소실된 역사적 문화재들에 대한 아쉬움과 안타까움을 전하는 칼럼. 저자는 불에 의해 파괴된 문화유산들의 소중한 가치와 역사성을 강조하며, 이를 복원하고 보존하는 것이 중요함을 역설하고 있다.


세토우치 트리엔날레를 찾다 ③ 타카미지마, 문어와 사람이 떠난 자리에 예술이 남아
세토우치 타카미지마 예술제, 세토우치 섬 타카미지마에서 예술제 작품들이 섬의 쇠락과 과거를 아쉬워하며 문어와 사람의 공간을 표현하고 있다. 교토 대학생들이 중심이 되어 진행 중인 '타카미지마 프로젝트'가 섬의 역사와 공간을 탐색하고 있다는 내용이다.


배이슬의 기후월령가 | 흔들리며 균형을 잡는, 춘분
춘분 기후변화 전통농사법, 이 글은 춘분의 의미와 기후 변화의 영향, 그리고 전통적인 농사 방식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작물의 심기 시기와 생장 시기에 대한 농부의 지혜를 전하며, 기후변화 속에서도 자연의 순리를 따르며 살아가는 모습을 보여준다.


세토우치 트리엔날레를 찾다 ② 시와쿠제도의 중심 섬인 혼지마의 유산
세토우치 혼지마 여행, 시와쿠쇼토의 중심 섬 혼지마는 자치권을 가진 수군의 거주지였던 역사, 국가가 지정한 전통마을, 국가 공인 채석장, 능숙한 항해 기술 등 혼지마의 독특한 역사와 문화를 찾아간다.


배이슬의 기후월령가 | 흔들어 깨우는 시간, 경칩
봄철 농사 시작법. 봄이 오는 소리에 깨어나는 자연의 시간, 경칩. 농부가 씨앗의 겨울잠을 깨우는 방법 세 가지를 풀었다. 이불 걷어젖히기, 물끼얹기, 등짝 때리기. 영등할매바람이 부는 때가 경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