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세계산림치유포럼 | 리즈 오브라이언, 영국 국가보건서비스로 새로운 의료 패러다임 도입
영국 국가보건서비스(NHS)는 ‘녹색 사회 처방(Green Social Prescribing, GSP)’이라는 새로운 의료 패러다임을 공식적으로 도입했다. 이는 약물이나 수술이 아닌, 자연과의 접촉을 치료의 수단으로 활용하는 비의료적 접근 방식이다. 정신 건강과 웰빙을 증진하고, 건강 불평등을 줄이기 위한 체계적이고 증거 기반의 정책이기도 하다. 이제 녹색 사회 처방은 소수의 대안적 시도를 넘어, 측정 가능한 성과를 내는 구조화된 공중 보건 전략으로 자리 잡고 있다.


문태훈의 도넛 ⑦ | 생태적 전환의 키워드는 교육, 자치, 분권
사회의 생태적 전환, 기후위기와 환경문제 해결을 위해 기존의 규제정책과 경제적 유인책의 한계를 분석하고, 생태주의에 기반한 사회 전환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교육개혁, 자치분권, 협동조합을 통한 생태적 전환 방안을 논의한다.


인사이트를 통한 기후 리터러시와 솔루션
기후리터러시 전문가 인사이트, 플래닛03이 기후·숲·생태·해양·에너지 분야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선정한 10대 인사이트 기사를 소개한다. 기후리터러시 향상과 솔루션 모색을 위한 전문가 네트워크 구축으로 기후시민회의 실현을 목표로 한다.
![[연대요청] 제주해녀 이유정, 해군UDT,어촌계, 공동체가 지켜가는 바다](https://static.wixstatic.com/media/f8a1d4_c0e7156920074a228d74cda42d1f3512~mv2.jpg/v1/fill/w_333,h_250,fp_0.50_0.50,q_30,blur_30,enc_avif,quality_auto/f8a1d4_c0e7156920074a228d74cda42d1f3512~mv2.webp)
![[연대요청] 제주해녀 이유정, 해군UDT,어촌계, 공동체가 지켜가는 바다](https://static.wixstatic.com/media/f8a1d4_c0e7156920074a228d74cda42d1f3512~mv2.jpg/v1/fill/w_233,h_175,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f8a1d4_c0e7156920074a228d74cda42d1f3512~mv2.webp)
[연대요청] 제주해녀 이유정, 해군UDT,어촌계, 공동체가 지켜가는 바다
제주해녀 해양정화 활동, 제주해녀 이유정과 해군UDT, 중문어촌계가 14일 중문항에서 해양정화활동을 공동 실시했다. 환경다큐 '씨그널' 주인공 이유정이 이끄는 제주좀녀팀이 참여해 수중쓰레기를 수거하며 바다보호 실천의지를 보여줬다.


기획 | 교란종을 먹어 없애면 생태계를 지킨다?
외래생물을 소재로 한 자극적인 먹방 콘텐츠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무분별한 포획 대신 예방과 공존을 통한 생태계 보전 방안을 제시한다. 자연의 회복력을 신뢰하며 인간의 책임있는 접근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외래종 유입 | 시장경제가 만든 구조적 침입, 생명윤리 기반의 전환 필요해
시장경제의 논리가 외래생물 유입을 유해-무해로 가르는 기준이 되고 있다. 인간에게 ‘이득이 되는가’를 중심으로 생물의 존재를 평가하는 방식은 생명의 본질을 훼손하며, 생물 이동의 관리 역시 통합적이고 생명윤리 기반의 접근이 필요하다. 개별국가의 방역 체계를 넘어서 국제기구를 통한 공적 기준 수립과 감시 체계의 협력이 요구된다. 생태계를 지키기 위해선 무역·시장·법이 생명을 존중하는 방향으로 재편돼야 한다.


인사이트 | 김현수 교수 | '기후 부정 심리'부터 '생태불안'까지, 기후위기가 초래한 마음 병의 스펙트럼
기후위기 정신건강 영향, 김현수 명지병원 교수가 기후위기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심각한 영향을 분석했다. 생태불안, 기후 트라우마 등 새로운 정신건강 문제와 한국의 대응 방안을 제시한다.


기후재난리포트12 ② 홍수 | '알림'만 있고 '행동'은 없다: 무용지물 재난 경보 시스템과 훈련의 부재
재난경보시스템 문제점 해결, 재난 문자 경보의 실효성 저하와 구체적 행동요령 부족, 성인 대상 재난 훈련 부재 등 한국의 재난대응 체계의 문제점을 다루는 기사이다.


오충현의 무방비 생태계 | ⑥ 생물다양성 보전과 시민 참여
생물다양성 시민 참여 방안,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시민 참여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설명하고 있다. 교육, 참여, 인식 증진 등 다양한 방법으로 시민들이 적극적인 역할을 할 수 있으며, 특히 시민과학 활성화가 중요하다고 말하고 있다.


오충현의 무방비 생태계 | ⑤ 도시 생태계와 자연기반해법
도시생태계 자연기반해법, 도시화로 인한 생태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연기반해법의 중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녹지 확보, 물 순환 회복, 폐기물 관리 등 다양한 방안을 통해 도시 생태계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고자 하는 내용이다.


국민이 답하다 | 정여진 | 직장인 | 기후위기가 내 일상이 되기까지
일상속 기후위기 대응법, 30대 정여진 씨는 기후위기에 대한 관심과 고민을 나누며, 일상에서 체감되는 변화로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말한다. 기후정책의 시민 참여를 강조하며, 세대 간 격차를 넘는 기후 콘텐츠가 필요하다고 제안한다.


이순형의 에너지 꽈당 | ③ 기술은 있다, 쓸 의지가 필요하다
에너지 전환 기술정책, 이순형이 기술자 부재로 인한 에너지 정책의 문제점을 지적하며, 기술중심의 접근이 필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기술은 이미 준비되어 있으나, 정책 결정 과정에서 기술자의 참여가 부족하여 바람직한 방향으로 정책이 수립되지 않고 있다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사설] 탄소 배출 감축은 정부 중심에서 시민 참여 주도로](https://static.wixstatic.com/media/c15d53_af953fda2ecf485091b20e08283aad53~mv2.jpg/v1/fill/w_334,h_250,fp_0.50_0.50,q_30,blur_30,enc_avif,quality_auto/c15d53_af953fda2ecf485091b20e08283aad53~mv2.webp)
![[사설] 탄소 배출 감축은 정부 중심에서 시민 참여 주도로](https://static.wixstatic.com/media/c15d53_af953fda2ecf485091b20e08283aad53~mv2.jpg/v1/fill/w_234,h_175,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c15d53_af953fda2ecf485091b20e08283aad53~mv2.webp)
[사설] 탄소 배출 감축은 정부 중심에서 시민 참여 주도로
탄소중립 시민참여 정책, 정부 주도의 탄소감축에서 벗어나 개인의 일상적 참여와 수요 변화가 기후위기 대응의 중요한 축이 되어야 한다. 탄소 기본소득, 카본 크레딧 등 시민참여를 유도하는 정책이 필요하며, 기후 문해력을 키우는 공교육 의무화도 중요하다.


인사이트 | 제종길 해양학자 | 해양국가 로드맵이 필요하다
해양생태계 기후위기 대응, 제종길 박사는 해양학자로, 해양 없는 기후정책은 불완전하다고 말한다. 바다를 지키는 길은 교육부터 시작하며, 블루 이코노미를 통해 지속가능한 미래를 만들어가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배이슬의 기후월령가 | 흔들어 깨우는 시간, 경칩
봄철 농사 시작법. 봄이 오는 소리에 깨어나는 자연의 시간, 경칩. 농부가 씨앗의 겨울잠을 깨우는 방법 세 가지를 풀었다. 이불 걷어젖히기, 물끼얹기, 등짝 때리기. 영등할매바람이 부는 때가 경첩이다.


배이슬의 기후월령가 | 우수수수 녹은 눈 사이로 봄이 솟는, 우수
정월 장담그기 우수절기, 배이슬의 기후월령가 '우수'를 설명하고, 음력 정월달 장 담그기, 씨앗 심는 등 농사일을 다루고 있다.


기획 | 재생에너지, 동향과 전망
2025-02-20 최민욱 기자 국제에너지기구(IEA), 재생에너지 설치량 중 80% 이상이 태양광이라고 보고 국제에너지기구(IEA)는 'Renewables 2024' 보고서에서 전 세계 재생에너지 설비용량은 2030년까지 2022년 대비 약...


기획 | '미래 세대'의 '기후우울증'이 시급하다
미래세대 기후우울증 영향, 기후변화로 인한 기후우울증이 미래세대에 심각한 정신건강 문제를 야기할 것으로 우려된다. 특히 청소년과 젊은층의 불안, 우울, 무력감이 증가하며 이는 학업, 사회생활 등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것이다.
![[사설] 기후 언론과 대중의 각성](https://static.wixstatic.com/media/c15d53_7463740170fd4f6795de38c2f9e85e75~mv2.jpg/v1/fill/w_334,h_250,fp_0.50_0.50,q_30,blur_30,enc_avif,quality_auto/c15d53_7463740170fd4f6795de38c2f9e85e75~mv2.webp)
![[사설] 기후 언론과 대중의 각성](https://static.wixstatic.com/media/c15d53_7463740170fd4f6795de38c2f9e85e75~mv2.jpg/v1/fill/w_234,h_175,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c15d53_7463740170fd4f6795de38c2f9e85e75~mv2.webp)
[사설] 기후 언론과 대중의 각성
기후위기 시민 각성 필요, 기후위기 극복을 위해 기후 리터러시 증진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기후 언론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내용의 기사다.


김우성의 생태포럼 | 소금이 만드는 숲
맹그로브 해안숲 생태계, 따뜻한 남쪽나라의 맹그로브 숲을 소개하다. 맹그로브 숲은 소금기를 걸러내며 물에 잠긴 진흙에서도 살아갈 수 있는 적응력을 보여준다. 맹그로브 숲은 다양한 생물의 보금자리이자 인간을 재해를 막아 주는 자연의 선물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