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기후재난리포트12 ⑨ 대규모개발사업 | 케이블카, ‘관계인구’의 정체, 개발사업=지역발전 공식 깨져야
2025-08-21 김복연 기자 전국적인 케이블카 건설은 '관계인구' 유치라는 명분과 달리 대부분 적자로 운영되어 그 부담이 결국 주민 세금으로 전가된다. 나아가 기후변화 시대에 산림을 파괴하는 사업은 산사태, 폭염 등 재난 위험을 키우며 지역의...


현장취재 | 산과 자연의 친구 '청년생태학교' | 양수발전소에서 케이블카, 산불 피해지까지, 현장에서 답을 찾다
2025-08-20 김복연 기자 '산과 자연의 친구'가 주최한 제20회 청년생태학교가 홍천 양수발전소부터 울진·안동 산불현장, 문경 케이블카 문제까지 3박 4일간 환경 현안을 직접 탐방하며 에너지 전환과 생태보전의 대안을 모색했다. 고운사 측은...


윤효원의 노동과 정치 | 자본주의와 민주주의, 동시에 흔들리다
자본주의 민주주의 위기, 자본주의와 민주주의의 동시 위기를 분석하며, 글로벌 공급사슬 해체와 자유민주주의 쇠락 현상을 진단한다. 일본 학자들의 탈성장 공산주의와 무의식 민주주의 대안을 소개하며 새로운 해결책을 모색한다.


유성만의 기후테크와 주식ㅣ⑤ 숲으로 가는 돈: REDD+와 탄소 비즈니스
REDD+ 탄소배출권 사업, REDD+는 개발도상국 산림보호를 통해 탄소배출권을 확보하는 국제제도로, 삼성물산·SK디앤디 등 국내 기업들이 해외 산림복원 사업에 참여해 ESG 성과와 탄소중립 목표를 동시에 달성하고 있다.


조인호의 시민형 AI ⑤ 국지성 기상 이변 대응의 새 해법
국지성 기상예측 인공지능, 기후변화로 인한 국지적 기상이변에 대해 시민 참여와 물리 기반 AI 기술의 융합이 필요하다는 것을 설명하고 있다.


박정희의 산주변론(山主辯論) | ② 보유세 면제는 산림의 공익 가치에 대한 인식의 척도
산림 보유세 면제 정책, 박정희의 산주변론에서는 사유림의 공익적 가치를 인정하고, 보유세 면제를 통해 산주를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숲을 가꾸는 산주의 노력이 국민 모두의 자산인 산림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이라는 것이다.


문태훈의 도넛 | ② SDGs의 비전과 목표, 정부 부처의 업무 평가로
<2025년 한국 지속가능발전 목표(SDGs) 이행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의 한국은 상대적 빈곤율이 14.9%로 정체되고, 1인당 연간 유해폐기물 발생량이 증가하며, 육상 생물의 멸종 위험 악화되고 있다. 신재생에너지 생산량이 매우 저조하고 40세 미만 국회의원 비중이 4.7%로 OECD 국가 최하위이다. SDGs 지표들과 정부 부처의 정책 성과 지표를 연계할 필요가 있다.


기후재난리포트12 ⑥ 4대강 재자연화 | 과학으로 입증된 재자연화, 복원에 따른 보상과 지원 병행해야
2025-07-30 김복연 기자 4대강 재자연화를 위한 통합 거버넌스 구축이 필요하다. 이는 단순한 기술 조치가 아닌 강과 인간의 관계를 재설정하는 문제로, 생태적 공존과 정의로운 전환을 위한 사회 합의와 민주주의가 핵심이다. 보 개방, 단순한...
![[사설] ‘공유지의 비극’과 ‘공유부(富) 배당’](https://static.wixstatic.com/media/c15d53_dce9cd16d9254ed39b05ddae1dfe76eb~mv2.jpg/v1/fill/w_334,h_250,fp_0.50_0.50,q_30,blur_30,enc_avif,quality_auto/c15d53_dce9cd16d9254ed39b05ddae1dfe76eb~mv2.webp)
![[사설] ‘공유지의 비극’과 ‘공유부(富) 배당’](https://static.wixstatic.com/media/c15d53_dce9cd16d9254ed39b05ddae1dfe76eb~mv2.jpg/v1/fill/w_234,h_175,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c15d53_dce9cd16d9254ed39b05ddae1dfe76eb~mv2.webp)
[사설] ‘공유지의 비극’과 ‘공유부(富) 배당’
공유부 배당 기후위기 해결, 기후위기와 공유부 배당의 관계를 설명하는 글이다. 공유지의 비극을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대안으로 공유부 배당이 주목받고 있으며, 이를 통해 기후정의와 포용경제 실현을 모색하고 있다.


김우성칼럼 다짜고짜 기후 | 우리는 채식주의자가 될 수 있을까?
기후변화와 채식주의 선택, 저자 김우성이 식물성 식단과 대체육, 배양육의 환경 영향을 다루며 채식주의에 대한 고민을 표현하고 있다.
![[사설] 이재명 정부의 ‘진짜 성장’과 ‘기본소득 사회’](https://static.wixstatic.com/media/c15d53_8cc7095820e74b4c9064a0d7c67c9774~mv2.png/v1/fill/w_334,h_250,fp_0.50_0.50,q_35,blur_30,enc_avif,quality_auto/c15d53_8cc7095820e74b4c9064a0d7c67c9774~mv2.webp)
![[사설] 이재명 정부의 ‘진짜 성장’과 ‘기본소득 사회’](https://static.wixstatic.com/media/c15d53_8cc7095820e74b4c9064a0d7c67c9774~mv2.png/v1/fill/w_234,h_175,fp_0.50_0.50,q_95,enc_avif,quality_auto/c15d53_8cc7095820e74b4c9064a0d7c67c9774~mv2.webp)
[사설] 이재명 정부의 ‘진짜 성장’과 ‘기본소득 사회’
지속가능한 성장 가능성, 지속가능한 성장의 가능성과 그 모습을 탐구하다. 자본주의의 무한성장 신화에 의문을 제기하며, 기술발전과 기본소득 연계 등 대안을 모색하고 있다.


박정희의 산주변론(山主辯論) | ① 보상 없는 공익용 산지 제한, 시장경제 원칙에 벗어나
새 정부가 출범했다. 기후위기 대응하기 위해서, 산림의 경영이 중요해지고 있다. 이미 조림된 숲은 관리되어야만 숲의 생태적 기능이 정상적으로 돌아온다. 우리 숲을 경영하는 주체인 산림경영인들의 목소리가 산림 정책에 반영되기를 기대하면서, 산림 분야 개혁 과제들을 제안한다. 공익용 산지의 가치에 따른 사용료 지불, 산지보유세 면제, 청년 임업인 지원, 국내산 원목 이용 활성화, 국내 원목 무관세 지원, 식량위기 대비 축산 농가 지원, 울폐도 낮추기, 임목재해보험 적용 등 임업의 활성화를 위한 제안을 펼친다.


뒷날 풍경ㅣ광물의 역설
광물 에너지 전환 문제, 광물 부족이 신재생에너지 전환을 위협하는 역설적 상황을 다룬다. 전기차와 태양광 발전 등에 필수적인 광물 공급을 지구가 감당할 수 있을지에 대한 우려와 딜레마를 설명하고 있다.


[사설] 폭염시대에 전기가 갖는 의미
기후재난관리청 신설 필요성, 기후에너지부 신설과 함께 기후재난 대응을 위한 '기후재난관리청' 설립이 필요하다. 기후위기에 따른 자연재난과 사회재난의 복합재난은 국민의 생명과 직결되기 때문이다.


기후재난리포트12 ③ 폭염 | 기후재난의 시대, 메가 이벤트의 딜레마
기후위기 올림픽 탄소배출, 2024 파리 올림픽의 에어컨 설치 계획 철회가 보여준 기후위기 시대 메가 이벤트의 딜레마. 환경보호와 선수 안전 사이의 균형을 찾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내용이다.


기후와 경제ㅣ생태경제, 성장을 다시 설계하자
생태경제학 성장 전환, 생태경제학은 무한한 경제성장이 생태계 파괴를 초래한다며, 성장의 질적 전환을 주장한다. 기술혁신과 생태적 지혜가 함께 작동하는 '살아남는 번영'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기후재난리포트12 ② 홍수 | 저류시스템, 패러다임 전환 필요해
도시홍수 저류시설 해법, 기후위기로 인한 폭우로 침수가 심각해진 도시들이, 그린 인프라와 그레이 인프라를 전략적으로 결합하여 홍수를 예방할 수 있다는 내용이다.


기후재난리포트12 ② 홍수 | 스폰지 도시, 폭우를 재난이 아닌 자원으로 바꾸는 도시 설계 개념
2025-07-03 김복연 기자 기후위기로 인한 국지성 폭우와 홍수가 반복되는 상황에서 물 순환을 회복하는 스폰지 도시 개념이 주목받고 있다. 중국, 유럽, 북미 사례를 통해 도시의 물 순환 전략을 살펴보고, 한국 도시 설계의 혁신이 필요함을...


문태훈의 국가와 돈 | ⑥ 한국의 기후위기 대응 정부조직 구조 — 기후환경에너지부와 환경·사회·경제 3부총리 협의체 정부
기후위기 정부조직 개편방안, 새 정부가 기후환경에너지부 신설을 논의하고 있으나, 기존 방식을 답습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저자는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부총리급 기후환경에너지부와 경제·사회·환경 3부총리 협의체 구축을 제안하고 있다.


오충현의 무방비 생태계 | ⑥ 생물다양성 보전과 시민 참여
생물다양성 시민 참여 방안,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시민 참여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설명하고 있다. 교육, 참여, 인식 증진 등 다양한 방법으로 시민들이 적극적인 역할을 할 수 있으며, 특히 시민과학 활성화가 중요하다고 말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