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대선기획 | 기후국가 10대 미션 | ⑧ 강과 물 정책의 대전환

최종 수정일: 6월 14일

2025-06-06 정리 최민욱 기자

인사이트

염형철 | 사회적협동조합 '한강' 공동대표 | '개발' 관점에서 '문화' 관점으로

ree

국가 물 정책의 전환, 물 공급에서 생태계를 가꾸는 단계로


우리나라의 강과 물 관리는 상당히 빠르고 명확하게 발전했다. 초기 물 관리 사업의 핵심은 물 공급이었다. 196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는 농사용수와 생활용수를 공급하는 것이 중심이었다. 급속한 산업화와 도시화로 물 부족 문제가 심각했던 시기다. 농사용수와 생활용수 문제가 어느 정도 해결된 1970년대에는 홍수를 대비하는 치수 정책이 물 관리의 핵심으로 떠올랐다. 당시 국토부 또는 건설부에 물 관련 부서들이 대부분 집중되어 있었다. 제방 건설과 댐 건설이 주요 사업이었다. 1970년대 초까지도 일부 구간에서는 수영할 수 있었지만,...



ree
ree
ree
ree
ree
ree
ree
ree
ree
ree
ree
ree
ree
ree
ree
ree
ree

Comments

Rated 0 out of 5 stars.
No ratings yet

Add a rating

ㅇㅇㅇ

회원님을 위한 AI 추천 기사

loading.jpg

AI가 추천 기사를
선별중입니다...

loading.jpg

AI가 추천 기사를
선별중입니다...

loading.jpg

AI가 추천 기사를
선별중입니다...

유저별 AI 맞춤 기사 추천 서비스

로그인한 유저분들께만
​제공되는 기능입니다.

유저 찾는중..

유저 찾는중..

유저 찾는중..

유저 찾는중..

유저 찾는중..

유저 찾는중..

유저 찾는중..

​이 기사를 읽은 회원

​로그인한 유저들에게만 제공되는 기능입니다. 로그인 후에 이용 가능합니다.

이 기사를 읽은 회원

유저 찾는중..

유저 찾는중..

유저 찾는중..

유저 찾는중..

​로그인한 유저분들께만 제공되는 기능입니다

유저별 AI 맞춤
기사 추천 서비스

로그인한 유저분들께만
제공되는 기능입니다.

​ㅇㅇㅇ

회원님을 위한 AI 추천 기사

loading.jpg

AI가 기사를 선별하는 중입니다...

loading.jpg

AI가 기사를 선별하는 중입니다...

loading.jpg

AI가 기사를 선별하는 중입니다..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