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927기후정의행진 | ‘정의로운 전환'의 재정의, 불평등을 딛고 연대로
기후재난 이주노동자 산업재해, 기후위기로 인한 폭염이 건설현장 이주노동자들의 생명을 위협하고 있다. 산업재해 통계와 구조적 문제점을 분석하며, 노동권과 기후정의가 연결된 사회적 전환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특별인터뷰 | 박주석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정책실장 | 기후재난, 인류의 '취약성'이라는 장애를 일깨우다
전장연 박주석 정책실장은 기후재난 상황에서 장애인이 희생되는 것은 개인의 장애 때문이 아니라, 사회 시스템이 애초에 장애인을 배제했기 때문이라고 지적한다. 재난 담당 부처와 장애인 부처 간의 책임 전가(핑퐁), 그리고 **'도와줄 사람을 지정하라'**는 식의 개인 책임만 묻는 매뉴얼이 문제의 근원이다.
특히, 폭염에 전동 휠체어가 고장 나거나 공공임대주택 설계 시 배리어 프리가 배제되는 등 일상적인 취약성이 재난 시 생존권 위협으로 이어진다. 박 실장은 이러한 기후 위기를 **"인류가 장애를 입게 되는 것"**에 비유하며, 성장 중심주의를 버리고 장애 운동의 연대와 상호 의존의 방식을 통해 새로운 사회적 대안을 모색하자고 말한다.


특별인터뷰 | 장희지 동물해방물결 활동가 | 복날의 착취를 멈추고 돌봄의 보금자리를
동물해방물결 장희지 활동가는 기후 재난 시대, 축산 시스템에 갇힌 동물들이 겪는 '기후 불평등'을 고발한다. 복날 삼계탕 문화는 산업 자본주의가 만든 착취 시스템이며, 개인의 육식 소비는 환경과 노동자를 착취하는 거대 구조를 직접적으로 '펀딩'하는 정치적 행위다. 장 활동가는 동물에게 '삶을 선사'하는 보금자리 같은 대안을 통해, 윤리적 소비가 사회 체제를 바꾸는 시작점임을 역설하며 기후 정의 실현을 촉구한다.


순환경제 | 순환경제 생태계, 현재의 재활용 시스템으로는 어려워
순환경제 자원회수 공공화, 이재명 정부의 순환경제 정책이 구조적 한계에 직면했다. 재활용률 정체, 사모펀드 시장 진입, 민간 위탁 시스템의 불안정성 등으로 자원 회수 시스템의 공공화가 시급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기후와 경제ㅣ모두를 위한 에너지 전환: 기후위기와 불평등의 이중 과제
정의로운 에너지 전환, 2050년 기온 3도 상승 시 세계 GDP 50% 감소 전망 속에서, 재생에너지 전환이 기후위기와 불평등 해결의 핵심 과제로 부상했다. 탄소배당과 이익공유 제도를 통한 정의로운 에너지 전환 방안을 제시한다.


기후재난리포트12 ⑩ 양수발전 | '효율'의 함정과 '정의'로운 전환
2025-08-28 김복연 기자 홍천 양수발전소 갈등은 ‘효율’이라는 좁은 계산 논리가 주민 권리와 공동체를 억누르는 현실을 보여 준다. 국제사회는 이미 정의로운 전환을 기후 대응의 필수 원칙으로 삼고 있으며, 해외 사례도 효율 중심 전환이...


지오북ㅣ우리는 어떻게 미래를 팔았는가, 성장과 자본이 훔친 기후의 시간
기후위기 구조적 원인,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해 개인의 실천만으로는 한계가 있음을 지적하며, 기후위기의 근본 원인인 자본주의 체제의 구조적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사설] ‘공유지의 비극’과 ‘공유부(富) 배당’](https://static.wixstatic.com/media/c15d53_dce9cd16d9254ed39b05ddae1dfe76eb~mv2.jpg/v1/fill/w_333,h_250,fp_0.50_0.50,q_30,blur_30,enc_avif,quality_auto/c15d53_dce9cd16d9254ed39b05ddae1dfe76eb~mv2.webp)
![[사설] ‘공유지의 비극’과 ‘공유부(富) 배당’](https://static.wixstatic.com/media/c15d53_dce9cd16d9254ed39b05ddae1dfe76eb~mv2.jpg/v1/fill/w_233,h_175,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c15d53_dce9cd16d9254ed39b05ddae1dfe76eb~mv2.webp)
[사설] ‘공유지의 비극’과 ‘공유부(富) 배당’
공유부 배당 기후위기 해결, 기후위기와 공유부 배당의 관계를 설명하는 글이다. 공유지의 비극을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대안으로 공유부 배당이 주목받고 있으며, 이를 통해 기후정의와 포용경제 실현을 모색하고 있다.
![[사설] 이재명 정부의 ‘진짜 성장’과 ‘기본소득 사회’](https://static.wixstatic.com/media/c15d53_8cc7095820e74b4c9064a0d7c67c9774~mv2.png/v1/fill/w_334,h_250,fp_0.50_0.50,q_35,blur_30,enc_avif,quality_auto/c15d53_8cc7095820e74b4c9064a0d7c67c9774~mv2.webp)
![[사설] 이재명 정부의 ‘진짜 성장’과 ‘기본소득 사회’](https://static.wixstatic.com/media/c15d53_8cc7095820e74b4c9064a0d7c67c9774~mv2.png/v1/fill/w_234,h_175,fp_0.50_0.50,q_95,enc_avif,quality_auto/c15d53_8cc7095820e74b4c9064a0d7c67c9774~mv2.webp)
[사설] 이재명 정부의 ‘진짜 성장’과 ‘기본소득 사회’
지속가능한 성장 가능성, 지속가능한 성장의 가능성과 그 모습을 탐구하다. 자본주의의 무한성장 신화에 의문을 제기하며, 기술발전과 기본소득 연계 등 대안을 모색하고 있다.


기후재난리포트12 ③ 폭염 | 폭염은 왜 이리 불평등한가
2025-07-09 김복연 기자 기후변화로 심각해진 폭염에 가장 취약한 사람들은 사회적 약자들이다. 인도의 SEWA가 실험한 '폭염 파라메트릭 보험'은 노동자들이 스스로 작업을 중지할 권리를 보장하는 혁신적인 제도이다. 노동자가 스스로 일을...


역대 첫 ‘기후정부’ 출범, 이재명 대통령에게 쏟아진 기대들
제21대 이재명 대통령이 만들어갈 국민주권정부는 역대 첫 '기후정부'가 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높다. 대선기간동안 이재명대통령은 다른 후보자들과 달리 '기후'에 대한 공약을 제시하고, 기후위기 대응과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통합 컨트롤타워인 '기후에너지부'의 신설을 약속했기 때문이다. 온실가스 감축과 재생에너지 전환, 정의로운 전환을 핵심 정책으로 하는 '기후정부'에 시민사회단체들이 제안하는 기후정책들을 소개한다.


기획 | AI와 민주주의: 기술은 어떻게 권력 공유의 인프라가 되는가
2025-06-05 김복연 기자 Decidim과 vTaiwan은 AI를 활용해 시민 제안의 자동 분류, 의견 분석, 실시간 시각화 등을 통해 대규모 시민 참여와 정책 숙의의 효율성을 크게 높이고 있다. 이들 플랫폼은 소수 의견도 반영하고, 공통...


기획 | 물 부족은 전 지구적 생존의 문제이다
기후위기 물부족 해결방안, 물 위기는 전 지구적 문제로, 기후변화와 자원 불평등이 겹치며 깨끗한 물 접근성이 인권과 지속가능성의 핵심이 되었다. 세계 22억 명이 여전히 안전한 식수를 얻지 못하고 있으며, 생수 산업의 과도한 지하수 사용과 플라스틱 오염이 문제로 부상하고 있다.
![[사설] 햇빛과 바람이 기본소득이 되는 세상](https://static.wixstatic.com/media/c15d53_cf2b1e71eecd4451bd530d8338d6d30e~mv2.jpg/v1/fill/w_334,h_250,fp_0.50_0.50,q_30,blur_30,enc_avif,quality_auto/c15d53_cf2b1e71eecd4451bd530d8338d6d30e~mv2.webp)
![[사설] 햇빛과 바람이 기본소득이 되는 세상](https://static.wixstatic.com/media/c15d53_cf2b1e71eecd4451bd530d8338d6d30e~mv2.jpg/v1/fill/w_234,h_175,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c15d53_cf2b1e71eecd4451bd530d8338d6d30e~mv2.webp)
[사설] 햇빛과 바람이 기본소득이 되는 세상
공유부 기본소득 재생에너지, 태양광과 풍력발전으로 얻는 공유부 배당금이 국민 모두의 기본소득이 되는 미래사회를 제시하고 있다.


이준이의 급격한 기후변화 | ① 기후위기 대응, 우리 사회의 우선 순위로 삼아야
기후위기 심각성과 대응방안, 기후위기가 심각한 상황이며, 이에 대한 대응을 우리 사회의 최우선 과제로 삼아야 한다는 내용이다.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가 증가하고 있으며, 공정성과 형평성 문제와도 연결되어 있다. 이제 기후위기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리더십과 사회적 협력이 필요하다는 것이 핵심 메시지이다.


기획 | 탄소감축정책, 중앙 중심에서 지방정부 중심으로 변해야
지방정부 탄소배출권 역할, 지방정부가 탄소중립을 위한 배출권거래제와 자발적 탄소시장의 실행자이자 설계자가 되어야 한다는 주장이다. 기업의 탄소 감축을 실질적으로 유도하고, 투명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중앙정부에서 지방정부로의 정책 전환이 필요하다고 말하고 있다.


김우성칼럼 다짜고짜 기후 | 아빠의 술안주 고르기
친환경 술안주 선택법, 기후변화 문제를 고려하며 지속가능한 술안주를 고르는 아빠의 모습을 담은 칼럼이다. 지역에서 생산된 막걸리와 닭고기, 해산물, 두부 등을 선택하고 음식 낭비를 줄이는 방법을 소개하며, 술상에서도 더 나은 세상을 꿈꾼다.


인터뷰 | 이준이 교수 | 기후과학자의 경고
기후변화 과학적 평가, 부산대 기후과학연구소 이준이 교수가 IPCC 6차 평가보고서 총괄 주저자로 참여하며 기후변화 문제의 심각성과 해결 방안을 소개하고 있다.


인사이트 | 이준이 부산대 기후과학연구소 교수 | IPCC보고서를 작성하는 과학자들의 고뇌
IPCC 기후변화 보고서, IPCC 보고서를 작성하는 과학자들은 지구 온난화로 인한 극한 기상 현상의 심각성을 강조하며, 기후 변화 대응이 모두에게 이익이 될 수 있다고 말하고 있다.


기획 | 정의로운 전환(Just Transition)
정의로운 전환 정책방향, 정의로운 전환을 위해 노동자와 지역사회 보호가 필요하다. 정부는 사회적 대화와 산업전환 지원책을 마련하여 일자리 창출과 보장에 힘써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