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뒷날 풍경ㅣ우리의 1980년대 ② 격렬한 시대와 86세대
80년대 86세대 학생운동, 1980년 광주항쟁부터 1991년까지 격렬했던 80년대와 학생운동의 중심에 섰던 86세대의 경험과 의미를 당시 운동가 출신이 회고하며 분석한다. 12·3 내란 사태를 계기로 되돌아본 그 시대의 투쟁과 좌절을 담았다.
![[현장취재] 생명지킴이대회 | '생명의 편에 선 사람들', 개발로 사라진 생명들에게 위령제 열다](https://static.wixstatic.com/media/f6a7df_e6294a886fe747de911cecfc5cf35ea1~mv2.jpg/v1/fill/w_334,h_250,fp_0.50_0.50,q_30,blur_30,enc_avif,quality_auto/f6a7df_e6294a886fe747de911cecfc5cf35ea1~mv2.webp)
![[현장취재] 생명지킴이대회 | '생명의 편에 선 사람들', 개발로 사라진 생명들에게 위령제 열다](https://static.wixstatic.com/media/f6a7df_e6294a886fe747de911cecfc5cf35ea1~mv2.jpg/v1/fill/w_234,h_175,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f6a7df_e6294a886fe747de911cecfc5cf35ea1~mv2.webp)
[현장취재] 생명지킴이대회 | '생명의 편에 선 사람들', 개발로 사라진 생명들에게 위령제 열다
2025-09-09 김복연 기자 '생명의 편에 선 사람들'이 2025년 9월 6일 광화문에서 대규모 집회를 열고 정부의 무분별한 개발 정책을 비판했다. 이들은 전국 각지의 생태계 파괴 현장에서 모여 4대강 보 해체, 공항 및 댐 건설, 케이블카...


인사이트 | 숨탄것들 | 청년이 본 개발의 시대, 지속가능성을 묻는다
청년 단체 ‘숨탄것들’은 개발이 제도의 무력화와 생태계 파괴로 이어진다고 비판하며 보존을 전제로 한 관광과 방치 시설의 재활용 등 대안적 개발 방향을 제시한다. 지역의 지속가능성을 위해서는 보존과 활용의 병행, 다양한 주체 간 협의 구조, 전문가·청년의 참여가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기후재난리포트12 ⑨ 대규모개발사업 | 대규모 개발, 공존을 위한 '합의'가 먼저다
한국의 대규모 개발사업이 정치적 이해관계에 좌우되며 주민 참여가 배제되는 문제를 분석하고, 기후위기 시대 민주주의 발전을 위한 숙의 민주주의와 시민 참여 확대 방안을 제시한다.


리얼픽션 '더 체인'ㅣ#6화. 워싱턴
한미 군사동맹 전략적 유연성. 평화연구소 소장 이한결이 2005년 미국 펜타곤을 방문해 주한미군 전략적 유연성과 대만 문제를 논의하며, 제주 해군기지와 평택 미군기지 이전 갈등 속에서 한국의 안보 딜레마를 고민한다.


기후와 경제ㅣ기후 트라우마와 생태사회를 향한 상상력
기후위기 정치적 해결방안, 기후위기가 야기한 '기후 트라우마'와 이에 대한 정치적 상상력을 다룬다. 자연이 통제 불가능한 재앙적 존재로 돌아왔다는 신호 속에서, 생태 사회주의, 생태경제학, 탈성장론 등 다양한 대안을 모색하며 지역 단위의 실험들을 소개하고 있다.


박한용의 개헌 현대사 | ⑨ 시민이 다시 헌법을 쓰다 – 1987년 6월 항쟁과 9차 개헌
1987년 개헌 민주화운동, 1987년 6월 항쟁과 9차 개헌을 통해 국민이 주권자로 돌아온 민주주의 회복의 역사를 설명하고 있다. 현대사의 개헌 과정을 통해 권력자가 아닌 시민이 헌법을 만드는 주체임을 보여준다.


박한용의 개헌 현대사 | ⑧ 헌법 위에 세운 피의 권력 – 전두환 정권의 8차 개헌
전두환 8차 개헌 역사, 1980년 10월 전두환 정권의 8차 개헌은 민주주의를 무력화시키고 군부의 권력을 강화한 야만적인 헌법 개정이었다. 그러나 1987년 6월 항쟁을 통해 국민의 힘으로 이를 무력화시키고 민주주의를 쟁취했다는 내용이다.


조인호의 시민형 AI | ② 지식의 불확정성을 알고 나면
인공지능 지식 권력관계, 인공지능은 지식의 불확정성을 인정하고 다양한 관점을 균형있게 담아내야 한다. 이는 민주주의 실현을 위한 핵심과제로, 단순한 기술 정확성을 넘어 지식의 사회적 구성과 권력 관계를 성찰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오충현의 무방비 생태계 | ⑥ 생물다양성 보전과 시민 참여
생물다양성 시민 참여 방안,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시민 참여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설명하고 있다. 교육, 참여, 인식 증진 등 다양한 방법으로 시민들이 적극적인 역할을 할 수 있으며, 특히 시민과학 활성화가 중요하다고 말하고 있다.


기획 | 국민주권정부, '시민형 AI'가 실현한다
시민형 인공지능 민주주의, 2025년 이재명 대통령이 추진하는 '국민주권정부' 구상에서, '시민형 AI'는 숙의민주주의를 실현할 핵심 기술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사설] 기후민주주의에 인공지능(AI)이 필요한 이유](https://static.wixstatic.com/media/c15d53_fb22750e94d148b0922b2b991aad457d~mv2.jpg/v1/fill/w_333,h_250,fp_0.50_0.50,q_30,blur_30,enc_avif,quality_auto/c15d53_fb22750e94d148b0922b2b991aad457d~mv2.webp)
![[사설] 기후민주주의에 인공지능(AI)이 필요한 이유](https://static.wixstatic.com/media/c15d53_fb22750e94d148b0922b2b991aad457d~mv2.jpg/v1/fill/w_233,h_175,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c15d53_fb22750e94d148b0922b2b991aad457d~mv2.webp)
[사설] 기후민주주의에 인공지능(AI)이 필요한 이유
기후민주주의 인공지능 활용, 기후변화 해결에 있어 시민 참여와 공정성을 높이기 위해 인공지능(AI) 기술이 필요하다. 기후민주주의를 실현하는 과정에서 AI가 복잡한 정보를 시각화하고 정책 제안의 영향을 예측하여 시민의 판단을 돕는다..


기획 | AI와 민주주의: 기술은 어떻게 권력 공유의 인프라가 되는가
2025-06-05 김복연 기자 Decidim과 vTaiwan은 AI를 활용해 시민 제안의 자동 분류, 의견 분석, 실시간 시각화 등을 통해 대규모 시민 참여와 정책 숙의의 효율성을 크게 높이고 있다. 이들 플랫폼은 소수 의견도 반영하고, 공통...


현장취재 | 그린피스 활동가들, 한국에서 출국 정지돼... 각국에서 빠른 송환 요청
그린피스 활동가 출국정지 논란, 그린피스 활동가 5명이 4개월째 한국에서 출국정지 상태라는 논란. 그들은 플라스틱 감산을 요구하며 평화적으로 시위했지만, 과도한 조치라는 입장이다. 그린피스는 2050년까지 3배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플라스틱 생산량 감축이 시급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인사이트 | 하승우 | 탄소 감축 주체로서의 주민, '이후'가 중요하다
시민참여 탄소감축 정책, 정부 중심의 탄소감축 정책에서 벗어나 시민이 실질적인 힘을 발휘하는 사회 참여형으로 전환이 필요하다. 정보 공개, 지역 맞춤형 정책, 생활 속 실천이 탄소 중립 사회로 나아가는 첫걸음이 될 것이다.


기획 | 구조적 설계로 시민 참여 유도해야
도시인프라 시민참여 활성화,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시민참여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정부의 투명한 정보 공개와 실질적인 참여 제도 마련, 그리고 인센티브 제공이 필요하다는 내용이다.


기획 | 탄소중립포인트제
탄소중립포인트제 국민참여 개선, 탄소중립포인트제는 국민의 실천을 전제로 하지만, 복잡한 가입 구조와 제한적 접근성으로 인해 국민의 참여가 저조하다. 이제는 국민이 제도의 주체자가 되어 함께 설계하고 실천해야 탄소중립이 실현될 수 있다는 내용이다.


문태훈의 국가와 돈 | ② 환경위기와 기후위기 대응 정책들과 방향
환경정책 기후대응 방향, 환경·기후문제에 대한 교육, 규제, 분배, 재분배 정책의 중요성을 다루며, 한국의 지속가능발전 수준이 낮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환경부의 국립공원 케이블카 확대 시도 규탄 기자회견 열려
국립공원 케이블카 설치 논란, 환경단체들이 환경부의 국립공원 케이블카 확대 시도를 규탄하는 기자회견이 열렸다. 이들은 케이블카 사업이 국립공원 환경을 훼손하며, 관련 정책을 즉각 중단할 것을 요구했다.


대선기획 | '지구의 날' 메시지로 본 대선후보 기후 리더쉽
대선후보 기후위기 대응, 대선 후보들의 '지구의 날' 메시지를 통해 기후 리더십을 살펴본 결과, 이재명 후보만이 지속가능한 대한민국을 강조하며 기후위기 대응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했다.